[include(틀:저장성의 행정구역)] [[파일:하이닝시 전경.png]] 도심부 전경 [[파일:중국피혁성.jpg]] 중국 피혁성 하이닝 (모피 공업 도시)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gold [[중국|{{{#gold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gold 저장성}}}]]의 [[현급시|{{{#gold 현급시}}}]]}}}''' || ||<-3> '''{{{+1 [ruby(海宁市, ruby=hǎi níng shì)]}}}[br]하이닝시 | Haining'''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이닝시, 너비=100%, 높이=100%)]}}}|| ||<-2> '''시정부 소재지''' || 하이저우가도 하이저우시로 226호[br]海洲街道海州西路226号 || ||<-2> '''지역''' || [[화둥]] / [[저장성]] [[자싱시]] 남부 || ||<-2> [[중국/행정구역|{{{#fff '''행정구역 분류'''}}}]] || [[현급시]],,([[자싱시]] 관리),, || ||<-2> '''하위 행정구역''' || 4가도(街道), 8진(鎭) || ||<-2> '''면적''' || 863km² || ||<-2> '''인구''' || 1,076,199명 ,, (2020년 상주인구),, || ||<-2> '''인구밀도''' || 1,247명/km² ^^(2020)^^ || ||<|2> '''GRDP''' || '''전체''' || 1,030.78억 위안 ^^(2020)^^ || || '''1인당''' || ○○○ 위안 ^^(2020)^^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차량번호''' || '''浙F''' || || '''지역전화번호''' || '''0573''' || || '''우편번호''' || '''3144'''00 || || '''행정구역코드''' || '''33'''0481 ||}}}}}}}}} || ||<-3> [[http://www.haining.gov.cn/| {{{#fff '''시정부 홈페이지'''}}}]] || [[파일:중국 자싱 8.jpg|width=490]] 9세기 [[당나라]] 대에 세워진 안국사 (安国寺) 경통 유적 [목차] [clearfix] '''''' == 개요 == [[저장성]] [[자싱시]] 산하의 현급시. 자싱 남쪽의 평야에 자리하며, 첸탕강 하구를 사이에 두고 [[사오싱]]과 마주보고 있다. 과거 오월 지역의 주요 항구 중 하나로써 경제적으로 번영하였다. 현대에는 모피로 굉장히 유명한 도시이며 전세계에 판매되고 있는 모피가 여기서부터 시작한다고 봐도 좋을정도로 엄청 유명하다. 아래 본문의 고층건물과 문화재를 보면 알겠지만, 지급시 본체가 아닌, 산하의 일개(?) 현급시 치고는 상당히 발달해 있다. 출신 인물로 중국의 문인 쉬즈모, 인문학자 [[왕궈웨이]], 무협 소설가 [[김용(1924)|김용]]이 있다.[* 김용의 소설에서 해녕이 가끔 등장하는 이유이다.] 옛 유적은 주로 20세기 이전 중심지인 첸탄강변의 옌관진 (盐官镇)에 있다. == 역사 == [[파일:혜력사 중국 2.jpg]] 시가지 동북부의 후이리스 (惠力寺, 혜력사) 량주 (良渚) 문화의 발상지 중 하나로, 기원전 7천년부터 인류가 거주하였다. [[후한]] 대인 서기 201년 오군 (吳郡) 산하 해창현 (海昌縣)이 설치되었고, 2년 후 미래의 대도독 [[육손]]이 21세의 나이로 해창 둔전교위로 봉해져 일대의 정무를 맡았다. 해창현은 육손 사후인 258년 염관현 (鹽官縣)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대인 624년 전당현 (錢唐縣)에 흡수되었다가 630년 재차 설립되었고, 이후 [[영파]]와 함께 꾸준히 오월 지역의 항구로 기능하며 성장한 끝에 [[원나라]] 대인 1295년 염관주 (鹽官州)가 설치되었다. 이는 1329년 현재의 지명인 '''해녕주 (海宁州)'''로 개칭되었다. 비록 [[명나라]] 건국 후 1369년 해녕주는 항주부 (杭州府) 산하 해녕현 (海宁縣)으로 격하되었고, [[청나라]] 대인 1773년 재차 해녕주로 승격되었다. 다만 [[신해혁명]] 후 재차 해녕현으로 편성되었다. 역사적으로 해녕현은 염관진 (盐官镇)에 치소가 있었는데, [[중일전쟁]]으로 기존 시가지가 파괴된 후 동북쪽 내륙의 협석진 (硖石镇)으로 옮긴 것이 오늘날의 도심이다. 1949년 5월 [[인민해방군]]이 진주하였고, 자싱전구에 소속되었다. 한때 하이옌 현을 흡수했으나 1961년 분리되었고, 1986년 11월 하이닝은 현에서 현급시로 승격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 교통 == * [[항저우 지하철]]과 연계된 도시철도 [[항하이 광역철도|항하이선]](杭海线)이 2021년 7월 개통되었다. * 고속철도역 [[하이닝시역]]이 있으며, [[후쿤고속철도]]가 경유한다. * 철도역 [[하이닝역]]은 [[후쿤철도]]가 경유한다. == 갤러리 == [[파일:시내 하이닝 중국.jpg]] 시내 중심부 [[파일:중국 하이닝 8.jpg]] 홍샹그룹 빌딩들 [[파일:하이닝 중국 8.jpg]] 하이닝 국제 교구 [[파일:하이닝 중국9.jpg]] 옛 하이닝 성벽 [[파일:하이닝 중국 6.jpg]] 하이닝 문묘 [[파일:중국 성황당.jpg]] [[성황당]]인 하이닝 성황묘 [[파일:중국 하이닝 9.jpg]] 하이닝 해안 방벽 [[파일:중국 하이닝 1.jpg]] 도심의 자미교 (紫薇桥) [[파일:혜력사 중국.jpg]] [[파일:중국 혜력시.jpg]] [[파일:중국 혜력사 2.jpg]] ||[[파일:중국 혜력사 1.jpg|width=426]]||[[파일:혜력사 중국 4.jpg|width=476]]|| [[파일:혜력사 중국 1.jpg]] 19-20세기에 세워진 혜력사 (惠力寺). 앞의 경당은 9세기 당나라 대의 것이다. === 안국사 (安国寺) 당대 경당 === ||[[파일:중국 하이닝 3.jpg|width=261]]||[[파일:자싱 중국 8.jpg|width=324]]||[[파일:중국 자싱8.jpg|width=297]]|| || 회창 2년 (842년)의 경당 || 회창 4년 (844년)의 경당 || 성통 6년 (865년)의 경당 || [[파일:하이닝 중국 4.jpg]] 회창 2년 경당 (좌)과 회창 4년 경당 (우) [[파일:하이닝 중국 5.jpg]] [[파일:중국 자싱 7.jpg]] [[파일:자싱 중국 5.jpg]] [[파일:하이닝 중국 3.jpg]] [[파일:중국 하이닝 2.jpg]] [[분류:저장성의 현급시]][[분류:부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