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60]]]] [[디즈니+/오리지널 영화 목록|{{{#000 '''오리지널'''}}}]][br]'''{{{+1 하워드}}}''' (2018)[br]Howard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oward poster.jpg|width=100%]]}}} || || '''장르''' ||[[다큐멘터리]], 실존 인물, 음악|| || '''감독''' ||돈 한|| || '''각본''' ||돈 한|| || '''제작''' ||로리 콘지벨[br]조나단 폴렌즈|| || '''출연''' ||[[하워드 애쉬먼]][br]세라 길레스피[br]돈 한[br]빌 러치[br]낸시 페어런트[br][[앨런 멩컨]][br][[제프리 카첸버그]][br]피터 슈나이더[br][[조디 벤슨]]|| || '''편집''' ||스테픈 야오|| || '''음악''' ||[[앨런 멩컨]] ^^스코어^^[br]크리스 베이컨 ^^편곡^^|| || '''시각 효과''' ||아론 차브다[br]스티븐 야오||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스톤 서클 픽처스|| || '''배급사'''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디즈니+]]|| || '''개봉일''' ||[[2018년]] [[4월 22일]] ^^트라이베카 영화제^^[br][[2018년]] [[12월 18일]] ^^제한적 극장 상영^^|| || '''공개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0년]] [[8월 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12일]]|| || '''상영 시간''' ||92분|| || '''독점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https://www.disneyplus.com/ko-kr/movies/howard/5QQfqnXY36eG|▶]]|| ||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극작가, 작사가이자 무대연출가 [[하워드 애쉬먼]]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2018년 제한적으로 개봉한 뒤 2020년 디즈니+ 오리지널의 형태로 공개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QxEh4iadnw)]}}}|| || '''공식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ward poster previous.jpg|width=100%]]}}} || || '''구버전 포스터''' || == 시놉시스 == || 《하워드》는 디즈니 명작들의 숨은 공신, 위대한 작사가 하워드 애쉬먼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다. 《알라딘》, 《미녀와 야수》, 《인어공주》 뿐 아니라 《흡혈식물 대소동》 같은 뮤지컬의 창작자. 단 한 번도 공개되지 않았던 기록 영상 최초 공개! 세계적인 가족 영화들을 탄생시킨 하워드의 작사가 인생 여정을 탐구한다. || == 등장인물 == * 돈 한 ([[윤동기]])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의 제작자이자 본 영화의 감독 * 세라 길레스피 ([[최하나]]) - 하워드의 여동생 * 셜리 애쉬먼 ([[전숙경]]) - 하워드의 어머니 * [[하워드 애쉬먼]] ([[류승곤]]) * 카일 레닉 ([[김기철(성우)|김기철]]) - WPA 극장 운영 감독 * 낸시 페어런트 ([[최수진(성우)|최수진]]) - 하워드의 친구이자 동료. [[인디애나 대학교]]의 동문이며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도 함께 일했다. * 데니스 그린 - 작사가. 뮤지컬 《Kurt Vonnegut's God Bless You, Mr. Rosewater》를 공동작사했다. * [[앨런 멩컨]] ([[하성용]]) - 작곡가, 작사가. 뮤지컬 《Kurt Vonnegut's God Bless You, Mr. Rosewater》, 《[[리틀 샵 오브 호러스]]》, 영화 《[[흡혈식물 대소동(1986)|흡혈식물 대소동]]》(1986),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의 작곡가이다. * 피터 슈나이더 ([[사성웅]]) - 뮤지컬 《[[리틀 샵 오브 호러스]]》의 컴퍼니 매니저였으며 당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회장 * 빌 라우치 ([[최한]]) - 하워드의 동반자 * 마빈 햄리시 - 작곡가, 작사가. 뮤지컬 《Smile》의 작곡가이다. * [[조디 벤슨]] - 배우. 뮤지컬 《Smile》의 도리아 허드슨 역을 초연했고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의 [[에리얼]] 역을 연기했다. * [[제프리 카첸버그]] - 당시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의 회장 * 랜디 카트라이트 - 당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터 * 론 클레멘츠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와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의 감독 * 존 머스커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와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의 감독 * 마이크 가브리엘 - 당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터 * 크리스 몬탄 - 당시 디즈니 음악 감독 * 롭 민코프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의 캐릭터 디자이너. [[우르슬라(디즈니 캐릭터)|우르슬라]]를 디자인했다. * 로저 앨러스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의 스토리 아티스트이며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의 스토리 부서장 * 글렌 킨 - 당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터 * 로이 디즈니 - 당시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부회장 * 게리 트라우스데일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의 스토리보드 아티스트이며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의 감독 * 커크 와이즈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의 감독 * 토마스 슈마허 - [[디즈니 시어트리컬 그룹]]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howard, critic=76, user=tbd)]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howard_2020, tomato=93, popcorn=78)] [include(틀:평가/IMDb, code=tt7682430, user=7.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howard-2018, user=3.7)]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65402, presse=없음, spectateurs=3.2)]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howard, user=7.0)] [include(틀:평가/TMDB, code=512191-howard, user=69)]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2010, user=4.1)]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8065, user=미정)]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220647, user=미정)]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gjRwz, user=없음)]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84120,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0260, user=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howard-m100123804,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howard-movie-review-2020, user=3.5)] == 기타 == [[분류:디즈니+ 오리지널]][[분류: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2018년 영화]][[분류:앨런 멩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