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하영선}}}[br]河英善 | Young-Sun H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영선.jpg|width=100%]]}}} || ||<|2> '''출생''' ||[[1947년]]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현직'''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br][[https://www.eai.or.kr/new/ko/main/|동아시아연구원{{{}}}]]이사장 || || '''학력''' ||[[경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2 (정치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br][[워싱턴 대학교|워싱턴 대학교 대학원]] {{{-2 (국제정치학 / 박사)}}} || || '''경력''' ||대통령 국가안보자문단 위원[br]한국평화학회 회장[br][[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초청연구원[br][[조선일보]] 객원 논설위원[br][[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장[br][[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br][[프린스턴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초청연구원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이다. 현재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겸 동아시아연구원(EAI) 이사장이다. == 상세 == 1947년 서울 출생. [[경기고등학교]] 졸업 후, 1967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에 진학하여 정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한국 국제정치학의 비조 [[이용희(1917)|이용희]] 교수의 지도 아래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석사 학위를 마치고 도미하여 패권안정론을 연구한 [[https://en.wikipedia.org/wiki/George_Modelski|조지 모델스키]]의 지도 아래 1979년 [[워싱턴 대학교|워싱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0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교수 재직 시절 본 전공인 [[국제관계학]] 이론 외에도 당시 외교학과의 [[노재봉]] 교수가 연구하는 [[정치철학|정치사상]], [[김용구(교육자)|김용구]] 교수가 연구하는 [[구한말]] 한국외교사 등에도 폭넓은 관심을 보였다.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는 탈근대 시기의 국제정치 변화 양상으로도 연구 주제가 확장되었다. 이외에도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에 7년가량 국제정치 칼럼을 게재하는 등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였다. 2002년 창립된 동아시아연구원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는데, 2012년 서울대학교 정년 퇴임 후 [[이홍구(정치인)|이홍구]] 전 [[국무총리]]의 뒤를 이어 제2대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동아시아연구원에서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EAI 사랑방"이라는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매년 두 번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다. 그리고 2020년부터 동아시아연구원에서 "EAI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개설해 매년 30여명 정도의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참여하고 있다. 국제정치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참고할 만한 부분. [[분류: 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1947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