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퀸즈 퀘스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야시시타우타미네임카드.png|width=100%]]}}} || || '''{{{+5 {{{#!html 林下 詩美 / Utami Hayashishita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스타덤하야시시타우타미.png|width=330]]}}}|| ||<-2><#f70285> {{{#ffffff '''STARDOM'''}}} || || 본명 || 林下 詩美 || || 링네임 || '''林下 詩美''' [br] 中野ぅたみ || || 별명 || '''スターダムの逸材'''[* 스타덤의 일재] [br] ビッグダディ三女[* 빅 대디의 세번째 딸] [br] スーパールーキー[* 슈퍼 루키] [br] ビッグルーキー[* 빅루키] [br] 赤いきつね[* 붉은 여우] || || 생년월일 || [[1998년]] [[9월 14일]]([age(1998-09-14)]세)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가고시마현]] [[아마미시]] || || 신장 || 166cm || || 체중 || 65kg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파워하우스|파워하우스]] || || 피니쉬 무브 || '''아르젠틴 백브레이커''' [br] '''코오모리 츠리오토시'''[* 상대 다리를 꼬아 시전하는 에어 레이드 크래쉬. 요시마 마리코가 전수해준 기술.] [br] BT 밤[* 스윙잉 크루시픽스 파워밤.] || || 주요 커리어 ||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1회 [br] 퓨쳐 오브 스타덤 챔피언 1회 [br] 갓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br]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1회 [br] [[SWA 월드 챔피언십|SWA 월드 챔피언]] 1회 [br] EVE 인터내셔널 챔피언 1회 || || 테마곡 || [[https://youtu.be/S7jLM5VUPkU|Crusade]]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tami0914, 크기=24)] || ||
테마곡 : '''{{{#fff Crusade}}}''' || ||[youtube(S7jLM5VUPkU, width=100%, height=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고시마현 출신의 여성 프로레슬러. 어린 시절부터 텔레비전 프로그램 「통쾌! 빅 대디」로 생활에 밀착되고 있었다. 중학교 3학년 때 WWE의 [[타지리]]의 경기를 관전한 이래 동급생이 [[니시노 카나]]의 곡을 듣고 있는 동안, 좋아하는 프로레슬러의 입장곡을 들으면서 등교할 정도로 프로레슬링을 좋아해 고등학교 졸업 후 음식일을 하면서 동생들의 학비를 공면, 지불을 마친 후 스타덤의 프로테스트를 수험해 프로레슬러가 된다. == 커리어 == 2018년에 [[스타덤]]에 데뷔하면서 스타덤에서 카게츠에게서 트레이닝을 받게되고, 단기간에 주목받는 선수가 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한다. 싱글과 태그팀 경기를 번갈아 가며 출전하면서 커리어를 차츰 늘려나가고 있다. 슈리와 치른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경기가 [[데이브 멜처]]로부터 5.5성을 받으면서 세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5성 초과 여성 경기를 보유한 선수가 되기도 했다. 2019년에 첫 해외진출도 하면서 스타덤이 미국투어 차에 잠시 가보고 영국의 EVE에 출연해 [[유우(프로레슬러)|유우]]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고, [[파이퍼 니븐|바이퍼]]와 팀을 이뤄 [[제이미 헤이터]] & 카게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EVE 인터내셔널 챔피언 자리를 걸고 제이미 헤이터, [[니나 새뮤얼스]]와의 트리플 쓰렛 일리미네이션 매치에서 제이미 헤이터가 승리를 거두면서 챔피언 벨트를 뺏긴다. [[AZM(프로레슬러)|AZM]]를 제외한 나머지 퀸즈 퀘스트 멤버들 연패에 2023년 5월 4일 후쿠오카에서 열린 경기에서 [[줄리아(프로레슬러)|줄리아]]와 [[마이카(프로레슬러)|마이카]]에게 패한 뒤 인터뷰에서 [[카미타니 사야]]와 언쟁이 있었으며 얼음주머니를 얼굴에다가 던졌다. 퀸즈 퀘스트가 위기에 처해져있는 상황이다. 6월 25일 오오에도대 와의 패자유닛 강제 탈퇴 조건으로 철창 탈출 매치에서 [[카미타니 사야]]의 도움으로 마지막까지 탈출할 수 있었고 경기 후 서로 화해했다. 경기 후에 [[카시마 사키]]가 오오에도 대에서 추방당하고, 퀸즈 퀘스트 멤버들이 카시마 사키에게 동정을 표하지만 카시마 사키는 이들을 거부하며 나간다. 2023년 중순에 오랜만에 미국무대에서 경기를 가지게 되면서 GCW에서 [[빌리 스타크즈]], [[루피스토]]와의 경기에서 각각 승리를 거두고, JCW에선 [[자나이 카이]]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다가 잠시 WWE에도 입단관련으로 방문하게 된다. 그러다가 [[AEW(프로레슬링)|AEW]]가 인수한 [[ROH]]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트리쉬 아도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잠시동안의 체류여서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 스타덤 활동에만 몰두하고, 미국을 방문하게 된 진짜 이유는 [[메간 베인]]을 데려오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 기타 == * 유도 초단이다. * 위상으로나 입지로나 그렇고 스타덤의 [[오카다 카즈치카]] 포지션으로 평가받는다. 오카다 역시 어린 나이에 신일본을 이끄는 간판 스타로 군림하기 시작한 것도 그렇고 우타미도 단기간에 스타덤의 간판 스타로 자리매김하면서 성장 배경까지 비슷하다 * 팬 시절에 가장 좋아했던 선수들로는 [[나이토 테츠야]]가 이끄는 [[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이라고 한다. * 헤어스타일을 짧게 바꾼 뒤로 카리스마와 잘생긴 외모가 살아나 많은 여성팬들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이따금 [[나카노 타무]]와 경쟁할 때 마다 그녀의 귀척을 따라하고 자신은 '''나카노 우타미'''라며 조롱하는 갭[* [[파일:林下たむ.jpg|width=350]]]을 보여주기도 한다. == 둘러보기 == ||<-5>
[[파일:1280px-WWRS.svg.png|width=200]] || ||<-6> '''가드니스 오브 스타덤 태그 리그 토너먼트 우승자''' || || [[블레어 대번포트|비 프리스틀리]] [br] 켈리 클라인 [br] (2017) || → || '''[[와타나베 모모|{{{#000000 와타나베 모모}}}]] [br] 하야시시타 우타미[br](2018)''' || → || 호시키 아리사 [br] [[나카노 타무]] [br] (2019) || ||<-6> '''트리오스 태그팀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퀸즈 퀘스트[br](2019)''' || → || 미정 || ||<-6> '''5★ 그랜드 프릭스 토너먼트 우승자''' || || [[기무라 하나]] [br] (2019) || → || '''하야시시타 우타미[br](2020)''' || → || [[슈리(프로레슬러)|슈리]] [br] (2021)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7|{{{#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신인상}}}]]'''}}} || ||<:> [[아오야기 유마]] [br] (2017) || → ||<#FFFFA1><:> '''하야시시타 우타미 [br] (2018)''' || → ||<:> 슈퍼 스트롱 머신 J [br] (2019)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8|{{{#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여성 프로레슬링 대상}}}]]'''}}} || ||<:> [[줄리아(프로레슬러)|줄리아]] [br] (2020) || → ||<#FFFFA1><:> '''하야시시타 우타미 [br] (2021)''' || → ||<:> [[슈리(프로레슬러)|슈리]] [br] (2022) || ||<-5>
<#000000><:> [[파일:Gx5aH4qH1.png|width=13%]] {{{#FFFFFF '''올해의 아웃스탠딩 퍼포먼스 어워드'''}}} || ||<:> [[KAIRI|호죠 카이리]][br](2015) ||<:> {{{+1 → }}} ||<#FFFFA1><:> '''{{{#000 하야시시타 우타미 [br](2018)}}}''' ||<:> {{{+1 → }}} ||<:> 호시키 아리사[br](2019) || ||<-5><#000000><:> [[파일:Gx5aH4qH1.png|width=13%]] {{{#FFFFFF '''올해의 태그팀 어워드'''}}} || ||<:> [[기무라 하나]] & 카게츠[br](2017) ||<:> {{{+1 → }}} ||<#FFFFA1><:> '''{{{#000 [[와타나베 모모|{{{#000000 와타나베 모모}}}]] & 하야시시타 우타미[br](2018)}}}''' ||<:> {{{+1 → }}} ||<:> [[정글 쿄나]] & [[코나미(프로레슬러)|코나미]][br](2019) || ||<:> [[정글 쿄나]] & [[코나미(프로레슬러)|코나미]][br](2019) ||<:> {{{+1 → }}} ||<#FFFFA1><:> '''{{{#000 [[카미타니 사야|{{{#000000 카미타니 사야}}}]] & 하야시시타 우타미[br](2020)}}}''' ||<:> {{{+1 → }}} ||<:> [[하즈키(프로레슬러)|하즈키]] & [[코구마(프로레슬러)|코구마]][br](2021) || ||<-5><#000000><:> [[파일:Gx5aH4qH1.png|width=13%]] {{{#FFFFFF '''올해의 루키 어워드'''}}} || ||<:> [[아오야기 유마]][br](2017) ||<:> {{{+1 → }}} ||<#FFFFA1><:> '''{{{#000 하야시시타 우타미 [br](2018)}}}''' ||<:> {{{+1 → }}} ||<:> 스트롱 머신 J[br](2019) || ||<-5><#000000><:> [[파일:Gx5aH4qH1.png|width=13%]] {{{#FFFFFF '''올해의 MVP 어워드'''}}} || ||<:> [[줄리아(프로레슬러)|줄리아]][br](2020) ||<:> {{{+1 → }}} ||<#FFFFA1><:> '''{{{#000 하야시시타 우타미[br](2021)}}}''' ||<:> {{{+1 → }}} ||<:>[[슈리(프로레슬러)|슈리]][br](2022) || ||<-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MVP 여성 레슬러 부문'''}}} || || [[베일리(프로레슬러)|베일리]][br](2020) || {{{+1 → }}} || '''{{{#000000 하야시시타 우타미[br](2021)}}}''' || {{{+1 → }}} || [[슈리(프로레슬러)|슈리]][br](2022) || ||<-5>
[[파일:Gx5aH4qH1.png|width=13%]] {{{#white '''{{{#white 스타덤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연간 최고 시합상}}}'''}}}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0년''' [br] 11월 15일 || [[월드 원더 링 스타덤]] [br] 스타덤 센다이 신데렐라 ||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br] [[이와타니 마유]](C) vs ___'''하야시시타 우타미 '''___ || ||<-3>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1년'''[br]6월 12일 || [[월드 원더 링 스타덤]][br]스타덤 도쿄 드림 신데렐라 스페셜 에디션 ||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더블 KO 판정으로 인한 무승부][br][[슈리(프로레슬러)|슈리]] vs '''하야시시타 우타미'''(C) || [[분류:여성 프로레슬러]][[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아마미시 출신 인물]][[분류:1998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