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로필 == ||<-3> [[파일:하야부사프로필.jpg|width=500]] || || '''링네임''' || 에자키 에이지 [br] [ruby(H, ruby=えいち)][* 맨얼굴로 활동할 때의 링네임. 본명의 '에이지'가 알파벳 H(에이치)와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사용하던 링네임이다.] [br] '''하야부사(ハヤブサ)''' || || '''본명''' || 에자키 에이지 [br] [ruby(江崎, ruby=え ざき)] [ruby(英治, ruby=えい じ)] || || '''생년월일''' || 1968. 11. 29 || || '''사망''' || 2016. 3. 3 (향년 47세) [br] [[도쿄도]] [[오타구]] 자택[* 카마타(蒲田)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 || '''신장''' || 183cm || || '''체중''' || 105kg || || '''출생지''' || [[일본]] [[구마모토현]] [[야츠시로시]][[파일:야츠시로시장.png|width=24]] || || '''학력''' || 구마모토상과대학 중퇴[* 현 구마모토학원대학] || || '''유형''' || '''[[하이 플라이어]]'''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드코어|하드코어]] || || '''시그니쳐 무브''' || 하이킥, 소배트, 롤링 소배트 [br] 레그 드랍[* 슬링샷식으로도 사용했다.] [br] 각종 스완다이브식 공중기[* 영미권에서는 스프링보드식이라고 하며, 점핑 엘보, 래리어트, 페이스크러셔, 센톤, 코크스크류 센톤 등등 온갖 공중기를 스완다이브식으로 쓴 스완다이브식 공중기의 달인이었다.] [br] 프랑켄 슈타이너 [br] 문설트, 아사이 문설트 [br] 코크스크류 센톤 [br] H 엣지[* 우라나게] [br] ___팔콘 애로우___ || || '''피니쉬 무브''' || ___팔콘 애로우___ [br] 파이어버드 스플래시 [br] H 썬더[* 고각 사이드 슬램] [br] ___'''피닉스 스플래시'''___ || || '''별명''' || '''불사조([ruby(不死, ruby=ふ し)][ruby(鳥, ruby=ちょう)])'''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UZT1HuWXtLg|FIGHT WITH DREAM]] (1995 - 1996) [br] [[https://www.youtube.com/watch?v=FHUAXe14vLE|WELCOME TO THE DARKSIDE]] (1998 - 1999)[* 하야부사의 또다른 자아이자 악역 버전인 '다크사이드 하야부사'일 때 사용하던 테마곡.] [br] [[https://www.youtube.com/watch?v=E-9o532aaH8|SILVER RESISTANCE]] (1999 - 2000)[* 맨얼굴로 활동하던 H 시절 사용하던 테마곡.] [br] '''[[https://www.youtube.com/watch?v=M-qcrwFxeLg|FIGHT WITH DREAM Ⅱ]]''' (1996 - 1999, 2000 - 2001) || || '''데뷔''' || 1991년 5월 5일 [[나고야국제회의장]] [br] '''FMW'''[* Frontier Martial-Arts Wrestling] SE・N・RI・TSU 9일차 [br] vs 레이 판디타[* 플라잉키드 이치하라라는 링네임으로 더 유명하다.] & 우에노 유키히데[* 초전전사 바토레인저Z라는 링네임으로 더욱 유명. [[이시이 토모히로]]의 데뷔전 상대이기도 하다.] [br] (w/아미고 울트라) || || '''마지막 경기''' || 2001년 10월 22일 [[코라쿠엔 홀]] [br] '''FMW''' 파워 스플래시 2001 최종전 [br] vs [[맘모스 사사키]] || ||[youtube(QjkUGA5tClk)]|| || DVD 전설 불사조 하야부사 오프닝 || > '''" お[ruby(楽, ruby=たの)]しみは、これからだ! " [br] (즐거움은, 이제부터다!)''' == 소개 == || [youtube(KhDgvSmIj8c)] || || 헌정 영상 || 일본의 프로레슬러. [[FMW]]의 간판스타. [[루차 리브레|공중살법]]에 관해선 최고라 일컬어졌던 인물이다. 원래 신인 시절에는 경량급의 선수였지만 자신에게 모자란 위력을 보충하기 위해 체중 증량을 감행하였고, 중량급의 힘과 [[루차도르]]로서의 기술을 겸비한 선수로 거듭나게 되었다. 특유의 신비주의 컨셉과 더불어 거구라고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긴 체공시간과 깔끔한 착지 기술, 그리고 중량급에서 우러나오는 육중한 파워로 인해 한때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주력 피니시 무브는 피닉스 스플래쉬, 파이어버드 스플래쉬(450도 스플래쉬), 팔콘 애로우, H 엣지, H 썬더. 이 중에서 피닉스 스플래쉬와 팔콘 애로우는 하야부사의 오리지널 기술이다. 파이어버드 스플래쉬와 피닉스 스플래쉬는 고난이도의 공중기술이다. 21세기엔 선수들끼리의 노하우가 전수되는데다가 전체적인 기술적 측면에서의 난이도 상승으로 어느 정도 보편화가 된 기술이지만, 여전히 고난이도이고 특히 하야부사 수준의 덩치에서는 아직도 손에 꼽을 정도로 사용자가 적다.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프로그 스플래쉬, 파이어버드 스플래쉬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받는 [[슈팅스타 프레스]]는 좀 어설프게 쓴 편이었다. 특히 슈팅스타 프레스를 쓰다가 삑사리 나서 목부터 착지하는 바람에, '''원조 슈팅스타 헤드벗''' 라는 평가까지 받았다.[* 브록 레스너가 레슬매니아 19에서 슈팅스타 프레스를 삑사리 낸 일로 생긴 슈팅스타 헤드벗이라는 명칭의 영향.] H라는 이름으로 가면을 벗고 활약한 적도 있다. 그러다가 하야부사 기믹으로 다시 돌아왔는데, 2001년 10월 22일, 경기 도중 주력기인 아사이 문설트를 선보이다가 로프에서 발이 미끄러져 목이 부러지는 끔찍한 사고가 일어났고, 그 결과 하반신 마비로 프로레슬러 커리어를 끝내게 되었다. 로프에서 발이 미끄러진 이유는 '''로프가 땀에 젖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과거에는 이때의 영상이 "1초 안에 웃기는 영상" 따위의 제목으로 돌아다니기도 했다.] 재활수술을 받고 재활치료를 받은 끝에 2011년, 휠체어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았지만 혼자의 힘으로 일어서서 링에 올라와서 연설을 했고 [[https://www.youtube.com/watch?v=l7gLLqVCsas|#]] 2013년 코바시 켄타의 은퇴 흥행에서 다른 도움 없이 목발만 짚고 마이크 앞에 서서 은퇴식 개최를 선언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O0jAkojnPjA|#]] 이후 '싱어 송 레슬러'를 표방하며 작사, 작곡, 라이브, 집필, 일러스트 제작, 강연회 등의 활동을 펼친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ae206070.jpg]] 가면을 벗은 모습(가운데). 오른쪽은 하야부사의 친구이자 대학 동창이며 선수 시절 절대 악역 기믹으로 하야부사와 대립했던 '''미스터 간노스케'''[* 하야부사와 달리 완전한 중량급 레슬러였는데, 하야부사가 가면을 벗고, H로 활동하던 당시 '''하야부사 II'''를 표방하며 하야부사의 가면을 쓴다던가, [[https://youtu.be/GotoQ0bjaBk|하야부사의 테마곡]]까지 그대로 사용하며 흥미로운 대립을 펼친 바 있다. 아 물론 체급, 체형의 문제로 기술까지는 카피하진 못했다.(...) 애시당초 간노스케는 하야부사와 완전히 레슬링 스타일이 다르며 전형적인 반칙을 동반한 힐 & 브롤러 타입으로써 하야부사에 비해 운동신경도 별로라 같은 기술을 쓰는건 무리다.] 2016년 3월 3일, 지주막하 출혈로 인해 향년 47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아무래도 부상이 컸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추정된다. 헌데 하야부사가 2011년부터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후쿠시마현]]에 5년동안 봉사활동을 갔었다고 한다. 갑작스런 뇌출혈이 [[방사선 피폭]]의 영향이 아니냐는 말도 있다. [[http://m.dcinside.com/board/earthquake/391392|출처]] 실제로 방사능에 피폭당한 사람은 신체의 염색체가 파괴되거나 변형되어 상처가 회복이 안되고 재생능력을 상실하는데 이미 심각한 부상으로 뇌혈관에도 문제가 생겼던 하야부사가 후쿠시마를 주기적으로 방문했다가 피폭당하면서 뇌혈관이 터진 게 아니냐는 것. 정말로 그렇다면 큰 부상으로 고생하는 와중에도 무리하게 후쿠시마현에서 봉사활동을 한 것이 하야부사의 사인인 셈이다. [[파일:ray_fmw.jpg]] 홍콩 출신의 프로레슬러 린 바이론(林白龍)은 하야부사를 계승하는 Ray라는 기믹으로 오랜 기간 활동하기도 했다.[* 오히려 린 바이론으로 활약한 기간은 SMASH 시절 정도로 2년정도에 불과하다. 이때 당시 김남훈과 엮여서 같이 활동하기도 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1549870|#]] ] 특히 하야부사의 고향과도 같은 FMW가 부활 했을때 정식 로스터로 합류하였고 팬들의 좋은 평을 받았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오리지널 하야부사와 마찬가지로 뇌질환 가운데 하나인 뇌종양으로 투병하다 2018년 사망하며 많은 팬들을 안타깝게 했다. == 둘러보기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4|{{{#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투혼상}}}]]'''}}} || || {{{#000000 '''1996'''}}} || {{{#000000 →}}} || {{{#000000 '''1997'''}}} || {{{#000000 →}}} || {{{#000000 '''1998'''}}} || || [[타우에 아키라]] || {{{#000000 →}}} || {{{#000000 '''하야부사'''}}} || {{{#000000 →}}} || [[아키야마 준]]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공로상 (2016년)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야부사, version=111, paragraph=9.1)]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68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2016년 사망]][[분류:야츠시로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