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mination [[모노리스]]의 [[FPS]] 게임 [[F.E.A.R. 시리즈]]의 등장 존재. [목차] == 소개 == 이름이 말해주듯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실행한 [[프로젝트 하빈저]]의 실패작들이다. 하빈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초능력을 극대화시켜주는 외과 수술을 받은 이후 초능력을 조금 더 증폭시키기 위해 [[알마(F.E.A.R. 시리즈)|알마]]의 초능력과 동조하도록 하였는데, 초능력이 없는 정상의 사람도 알마와 접촉하면 맛이 가는 마당에(닥터 그린이 그러하다) 초능력이 있어서 알마와 더 깊숙히 동조할 수 있었던 실패작들은 오히려 이성을 잃고 흉폭해져서 사람을 공격하며 [[인육]]을 먹는 [[식인종]]이 되어버렸다. 이 때문에 이들은 파라곤 시설(웨이드 초등학교) 지하 속 독방에 유폐되어 있었다. == 특징 == 생긴 건 그야말로 고어 그 자체. 딱 생체실험의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을법한 [[걸레]] 같은 외형을 지니고 있다. 피투성이 신체에 바지 하나, 혹은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는 모습 등... 참고로 '''[[고자]]'''이다. 심의 때문에 그렇게 만든 것일 수도 있지만 게임 자체가 잔혹한 연출이 많아서 딱히 설득력이 없다. 전투적인 측면에서는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달려드는 공격을 하는데 제어할 수 없을뿐 여전히 초능력 사용자여서인지 이동속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그래봐야 맷집은 붙잡혀도 발차기 세 방에 금방 물러나고 샷건에 의해 고깃덩이가 될 정도지만.[* 슬로우 모션 하나면 그 이동속도도 떨어진다. 거기다 안 그래도 외형이 걸레 자체인데 샷건으로 정확히 피니쉬하면 아예 고깃덩이로 변해버린다.] 이러한 초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ATC 사병]]들의 리더 [[리처드 바넥]]은 실패작 하나를 생포하여 [[팩스턴 페텔]] 사후 동작이 중지된 [[복제군인]]을 가동시키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문제는 얼마 안 있어서 그 실패작은 알마에 의해 뼈와 살이 분리되어 버렸다는 것이지만. 그 외의 실패작들은 보통 무리지어서 등장하며, 크게 비명을 질러대므로 멀리서도 이들을 감지해낼 수 있다. 단 실패작들의 경우 사람을 먼 거리에서도 감지해낼 수 있으므로 결국 거기서 거기. 그 외적인 특징으로는 희생자의 피를 이용하여 낙서를 해놓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 중 가장 압권인 것은 'Help me, I'm in HELL' , 'Can he see?' 여기에서 he가 누구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F.E.A.R.2 Reborn]]에서도 등장한다. 마지막 챕터에서 떼를 지어 나오며, 장소가 약간 [[아레나]]같은(가둬 두고 싸우기) 곳이라서 더 껄끄럽다. 이 장소에 처음 진입할 때 한 [[ATC 사병]]이~~(그러고보니 사병이 아직도 살아 있었냐!!!)~~ 이들이 진입해오는 통로인 하수구의 문짝을 닫는 시범(?)을 보이고는 한 실패작에게 살해당하는데, 이와 같이 문짝 달린 하수구로 접근해서 작동 키를 누르면 문짝이 닫히면서 더 이상 실패작들이 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안 그러면 이 실패작들이 그 하수구를 통해 무한증식을 행한다. 참고로 하수구는 한두개가 아니고 십여개 남짓하게 널려있으며 이마저도 위치가 마구잡이로 존재한다. 다 닫는데 성공하면 업적 달성.[* 팁을 하나 쓰자면 마지막 문짝은 하수구 출구와 동떨어진 곳에 있어 일부러 안쪽까지 들어가야 된다.] == 이후 == [[F.3.A.R.]]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 [[복제군인]]이 궤멸된 것을 보아 이들도 다 사라졌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 여담 == * 게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사병들과의 전투에선 압도하지만 [[복제군인]]들과의 전투 내력은 전혀 없다(구성 자체가 그렇게 짜여져 있다). 왠지 전작의 [[UAV]]가 떠오르지만, 적어도 이쪽은 '미쳤다'라는 납득이 가는 이유는 있다. [[분류:F.E.A.R. 시리즈/세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