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 [[파일:external/torrentkim3.net/2083859853_894YdqxT_COVER.jpg|width=60%]] || ||<-6><#e4eff1> '''[[UNVEILING|{{{#1d1f1f UNVEILING 1CD}}}]]''' || ||<:> {{{#1d1f1f 트랙}}} || {{{#1d1f1f 곡명}}} || {{{#1d1f1f 러닝타임}}} || {{{#1d1f1f 작사}}} || {{{#1d1f1f 작곡}}} || {{{#1d1f1f 편곡}}} || || 8 || '''하루만 빌려줘''' || 4:07 || 최성일, 민연재 || 최성일, 이세환 || 최성일 || ==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PD-56Xkc6Q,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75D86T3_oM,width=100%,align=center)]}}} || ||<:> ''' ▲ 음원''' ||<:>'''▲ 2014년 3월 15일 7집 발매 콘서트 부산 라이브''' || == 가사 == ||
<:> {{{#1d1f1f '''{{{+3 하루만 빌려줘}}}'''}}}|| ||<:> 볼 만한 영환 없는지 오늘 날씨는 어떤지 이젠 아무 상관없어 내 곁에 네가 없어서 하루가 왜 이리 긴지 이리 할 일이 없던지 오늘 한 일을 손꼽아보니 네 생각밖에는 없어 [* '''전조 : C → A'''] 네가 없단 '''{{{#yellowgreen 게 서러}}}{{{#green 워서}}}''' 혼자란 게 막막'''{{{#yellowgreen 해서}}}''' 뭔가'''{{{#yellowgreen 에 미}}}'''{{{#blue,#dodgerblue 친}}} {{{#green 사}}}{{{#yellowgreen 람}}}{{{#red 처}}}{{{#green 럼}}} 소리 '''{{{#yellowgreen 내}}}''' 흠뻑 울'''{{{#yellowgreen 었}}}{{{#green 어}}}{{{#yellowgreen ㅡ}}}''' 1분 1초가 1년만 '''{{{#yellowgreen 같}}}'''ㅡ아 시간이 굳어버린 '''{{{#yellowgreen 것}}} {{{#green 같아}}}{{{#yellowgreen ㅡ}}}''' {{{#blue,#dodgerblue hoo}}} 나 하루라도 살 수 있게 숨{{{#blue,#dodgerblue 쉴}}} {{{#orange 수}}} {{{#blue,#dodgerblue 있게}}}{{{#green ㅡ}}} '''{{{#yellowgreen 하}}}'''루만 널 빌'''{{{#yellowgreen 려}}}{{{#green 줘}}}{{{#yellowgreen ㅡ}}}''' [* '''전조 : A → C'''] 안 하던 운동을 하고 혼자서 옷도 고르고 너 없이 잘 지내고 싶은데 그게 맘처럼 잘 안 돼 [* '''전조 : C → A'''] 네가 없단 '''{{{#yellowgreen 게 서러}}}{{{#green 워서}}}''' 혼자란 게 막막'''{{{#yellowgreen 해서}}}''' 뭔가'''{{{#yellowgreen 에 미}}}'''{{{#blue,#dodgerblue 친}}} {{{#green 사}}}{{{#yellowgreen 람}}}{{{#red 처}}}{{{#green 럼}}} 소리 '''{{{#yellowgreen 내}}}''' 흠뻑 울'''{{{#yellowgreen 었}}}{{{#green 어}}}{{{#yellowgreen ㅡ}}}''' 1분 1초가 1년만 '''{{{#yellowgreen 같}}}'''ㅡ아 시간이 굳어버린 '''{{{#yellowgreen 것}}} {{{#green 같아}}}{{{#yellowgreen ㅡ}}}''' {{{#blue,#dodgerblue hoo}}} 나 하루라도 살 수 있게 숨{{{#blue,#dodgerblue 쉴}}} {{{#orange 수}}} {{{#blue,#dodgerblue 있게}}}{{{#green ㅡ}}} 하루 종일 머릿속에 너를 비워도 내일이면 가슴속에 차'''{{{#yellowgreen 는}}} {{{#green 너}}}{{{#yellowgreen 라}}}'''서 매일 난 혼자 이별하'''{{{#yellowgreen 며}}} {{{#blue,#dodgerblue 살}}}{{{#orange 고}}} {{{#blue,#dodgerblue 있어}}}{{{#green ㅡ}}} {{{#blue,#dodgerblue 워}}}{{{#orange 어}}}{{{#blue,#dodgerblue 어}}}'''{{{#red 어}}} 어떻게 살'''{{{#yellowgreen 아 나 혼}}}{{{#green 자서}}}''' 이렇게는 못 살'''{{{#yellowgreen 겠어}}}''' 하루'''{{{#yellowgreen 만 내}}}'''{{{#blue,#dodgerblue 게}}} {{{#green 널}}} {{{#yellowgreen 빌}}}{{{#red 려}}}{{{#green 줘}}} 정말 '''{{{#yellowgreen 하}}}'''루면 되'''{{{#yellowgreen 니}}}{{{#green 까}}}{{{#yellowgreen ㅡ}}}''' 내일이 내게 없어도 '''{{{#yellowgreen 좋}}}'''ㅡ아 시간이 굳어버려'''{{{#yellowgreen 도}}} {{{#green 좋아}}}{{{#yellowgreen ㅡ}}}''' {{{#blue,#dodgerblue hoo}}} 나 하루라도 살 수 있게 숨{{{#blue,#dodgerblue 쉴}}} {{{#orange 수}}} {{{#blue,#dodgerblue 있게}}}{{{#green ㅡ}}} '''{{{#yellowgreen 하}}}'''루만 널 빌'''{{{#yellowgreen 려}}}{{{#green 줘}}}{{{#yellowgreen ㅡ}}}''' || ||2옥타브 라(A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green 초록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미(E5)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다장조(C) → 가장조(A) → 다장조(C) → 가장조(A) * 최고음 : '''진성 최고음 3옥타브 레(D5)/가성 최고음 3옥타브 미(E5)''' 정규 7집 [[UNVEILING]]에서 [[그대가 분다]]와 더불어 난이도 투톱 혹은 그 이상의 난이도를 달리는 곡. 벌스부터 2옥타브 초중반을 넘나들어 체력이 깎이고 하이라이트 내내 2옥타브 라(A4)~시(B4)가 난사되며, 잦은 성구전환이 성대에 피로를 쌓이게 하는 건 물론이고 숨쉴 틈을 주지 않는다. 1절과 2절 사이에 간주가 20초 정도 있긴 하지만 2절 후렴구가 끝나고 나서 이어지는 브릿지 부분에서 숨쉴 구간을 단 3초밖에 주지 않는다. 또한 브릿지에 들어가서는 '혼자 이별하며 살'''고''' 있어' 부분에서 '''3옥타브 레(D5)를 어려운 발음으로 찍고''' 3옥타브 도♯(C♯5)~레(D5)로 음을 꺾고 가성으로 '''3옥타브 미(E5)'''를 끌어야 하며, 브릿지 이후 간주 없이 3절로 진입하면서 숨쉴 틈을 철저히 없앤다.[* 참고로 이수는 3옥타브 미를 그냥 '''진성''"으로 찍어버렸던 적도 있다.] 결론적으로 성구전환과 음 끌기가 잦은 상태에서 체력을 유지하는 것이 포인트며, 그만큼 상당한 음역대와 호흡량을 필요로 하는 곡이다. 일각에서 [[어디에도]]보다 어렵다고 평가되기도 할 정도의 난곡으로, 실제로 이수도 콘서트에서 그대가 분다보다 조금 더 힘들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어디에도의 심각하게 긴 러닝타임+질질 끄는 고음폭탄에 다른 한 편에서는 어디에도가 더 어렵다는 얘기도 있다는 걸 생각하면 두 곡 다 비슷하거나 동급의 난이도다. 티어로 나누기 상당히 애매한 곡이다. 일단은 [[바라보기]], [[끝없는 사랑(Moon Child)|끝없는 사랑]], [[어디에도]], [[그대 그대 그대]], [[너의 흔적]], [[안녕을]], [[그대가 분다]], [[처음처럼(M.C The Max)|처음처럼]], [[Returns(M.C The Max)|Returns]]와 함께 '''1.5티어'''로 보는 게 맞다. == 여담 == * 이수도 이 노래가 버거웠는지 [[그대가 분다]]와 마찬가지로 2014년 이후 이 노래를 봉인하고 있다. * 노래방에서 선곡 번호는 TJ에서 37911이고, 금영에서는 77854이다. * 여타 M.C The Max 곡들과는 달리 풍성한 브라스 사운드가 주축이 되는 곡이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UNVEILING]] [[분류:M.C The Max/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4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