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역에 인접한 병기역명이 하라주쿠인 지하철역, rd1=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 {{{+1 '''[ruby(原宿, ruby=はらじゅく)]駅''' '''Harajuku Station'''}}}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50&align=left]]]]}}}[[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대도시근교구간#s-4.1|[[파일:JR-kin.svg|width=20]]]] [[특정도구시내#도쿄야마노테선내|[[파일:JR_area_YAMA.svg|width=20]]]] [[특정도구시내#도쿄도구내|[[파일:JR_area_KU.svg|width=20]]]][br]'''{{{#ffffff {{{+2 하라주쿠역}}}}}}'''|| || [[시부야역|{{{#000000,#e5e5e5 {{{-2 내선순환}}}}}}]][br][[시부야역|시부야]][br]← 1.2 km || [[야마노테선|[[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width=20]]{{{#ffffff {{{#!html
야마노테선
}}}}}}]]{{{#ffffff {{{#!html
(JY 19)
}}}}}} || [[신주쿠역|{{{#000000,#e5e5e5 {{{-2 외선순환}}}}}}]][br][[요요기역|요요기]][br]1.5 km → || ||<-3>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width=17]]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width=17]] 치요다선, 후쿠토신선으로 갈아타기]] || ||<-3> [include(틀:지도, 장소=Harajuku station, 너비=100%, 높이=300px)] || ||<-3> '''주소''' || ||<-3> [[도쿄도]] [[시부야구]] 진구마에1초메 18-20[br]東京都渋谷区神宮前一丁目18-20 || ||<-3> '''역 운영기관''' || || [[야마노테선|{{{#ffffff 야마노테선}}}]] ||<-2> [[JR 동일본]] || ||<-3> '''개업일''' || ||<-3> 1906년 10월 30일 || ||<-3> '''노선거리표''' || || [[시나가와역|{{{#000000,#e5e5e5 {{{-2 시나가와 방면}}}}}}]][br][[시부야역|시부야]][br]← 1.2 km || '''[[야마노테선]]'''[br]하라주쿠 || [[타바타역(도쿄)|{{{#000000,#e5e5e5 {{{-2 타바타 방면}}}}}}]][br][[요요기역|요요기]][br]1.5 km → || || [[파일:Harajuku_stn.png|width=100%]][br]현 역사 || [[파일:Harajuku_fstn.png|width=100%]][br]옛 역사 || ||<-2> [[파일:Harajuku-pf.png|width=100%]][br]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도쿄도]] [[시부야구]]에 있는 [[JR 동일본]] [[야마노테선]] 역이다. [[도쿄메트로]] [[치요다선]], [[후쿠토신선]]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과 환승이 가능하다. 옛 역사(旧 駅舎)는 1924(다이쇼 13)년에 건설되었으며, 도쿄도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목조 2층 건물이다. 서쪽에는 [[메이지신궁]]이 있으며 그 남쪽에는 국립 요요기 경기장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서브컬쳐계나 쇼핑하는 사람들에게는 역명 자체인 '''하라주쿠'''가 더 유명하다. 사실 하라주쿠보다 메이지 신궁에 더 가깝고 오히려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이 하라주쿠에 더 가깝다. 특히 쇼핑객들이 들르는 '하라주쿠'라는 이름을 붙인 숍들은 모두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 출구 주변에 모여 있다고 보면 된다. 이용객 순위는 24위이다. 야마노테선 발차 멜로디는 내선순환은 하라주쿠 A, 외선순환은 하라주쿠 B를 사용한다. == 재건축 == 고풍스러운 역사를 자랑했지만 2016년 6월 8일에 JR 동일본은 '2020년 도쿄 올림픽' 경기가 열리는 국립 요요기 경기장에서 가장 가까운 이 역을 재건축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올림픽을 앞두고 지금의 역이 너무 좁아서 홈이나 화장실 혼잡이 극심하다고 판단을 내린 것이다. 한편 옛 역사 업무는 현 역사로 옮겨지며, [[2020 도쿄 패럴림픽]] 폐막 이후 [[https://www3.nhk.or.jp/news/html/20191119/k10012182911000.html|해체, 재건축 예정이다.]] 역사성을 갖는 건물을 재건축 하기에는 아쉽다는 반발이 많았으나, JR 동일본 측에서 "옛 역사가 불연성 측면에서 약하기 때문에 적합한 목재를 사용해 가능한 한 본래에 가까운 모습으로 재건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림픽은 연기되었지만 예정대로 2020년 8월 24일부터 해체를 진행한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인 1920년대에 지어졌고, 젊은이들의 번화가인 [[신촌]]과 [[하라주쿠]]를 끼고 있는데다가 유서 깊은 옛 역사를 거의 부수다시피 한 게 [[경의선]] [[신촌역(경의선)#s-2.2|신촌역]]과 매우 비슷하다(...)[* 옛 신촌역사는 좌우대칭으로 이동시켜서 원형과 달라졌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역사 신축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2020년 3월 21일. 하라주쿠역은 현재 모습으로 리모델링 되었다[* [[신오쿠보역|또 다른 역]]도 2020년에 리모델링이 되었다.] == 그 외 == * JR 동일본 야마노테선 2번 승강장에 있던 나무가 1번 승강장을 덮치는 사고가 있었다. 해체차량까지 동원을 했다고 한다. * 한국 빙수 체인 [[설빙]] 일본 1호점이 가까이에 있었으나, 2020년 1월 31일부로 폐점하였다. * 애니에 많이 나오는 [[타케시타도오리]]는 하라주쿠역과 메이지신궁앞역 모두 비슷비슷하다. 이 주변이 바로 [[데레마스]] 애니판 10화 주 배경이 되었다. * [[도쿄 정글]]에서 나온 역이기도 한다. 위치는 야마노테선(서)에 위치하고 있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7> ↑ [[요요기역|요요기]] || || {{{#ffffff 2}}} || ㅣ || || {{{#ffffff 1}}} || ㅣ || ㅣ || ㅣ || ||<-7> [[시부야역|시부야]] ↓ || || {{{#ffffff 1}}} ||<|3>[[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width=17]] [[야마노테선]]|| 내선순환 ||[[시부야역|시부야]] · [[시나가와역|시나가와]] · [[도쿄역|도쿄]] 방면|| || {{{#ffffff 2}}} ||<|2> 외선순환 ||<|2>[[신주쿠역|신주쿠]] · [[이케부쿠로역|이케부쿠로]] · [[우에노역|우에노]] 방면|| 2면 2선식 승강장이다. 우측 2선은 [[야마노테 화물선]] ([[쇼난신주쿠라인]], [[사이쿄선]])이다. 2번은 과거 새해 첫날 [[메이지신궁]] 참배객을 위한 임시 승강장이었으며, 이때는 승객 수용량을 늘리기 위해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섬식+1 승강장]]처럼 운용하였었다. 현 역사 영업개시와 동시에 2번 승강장이 현재 위치로 이동하였다.[* 비슷한 예로 [[외대앞역]]이 있다.] 1, 2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북쪽으로 더 올라가면 야마노테 화물선쪽에 '''[[http://cfile24.uf.tistory.com/image/26724743561A4EDA0105F3|황실 전용 승강장]]'''이 붙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용된 것은 2001년 5월로, [[헤이세이]]에서 [[레이와]]로 연호가 바뀐 이후인 2021년 기준으로 약 20년간 사용되지 않았다.[* 2016년 10월 30일에 개업 110주년 기념으로 일반개방을 했지만 열차가 운행되지는 않았다.] 이전에도 1979년 [[201계 전동차]] 시제차 전시 등 이벤트용으로 일반개방된 적이 있다. 지금은 이 승강장이 연결된 선로에 [[사이쿄선]]과 [[쇼난신주쿠라인]]이 다니면서 용량이 넉넉치 않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 승강장이 활용되는 모습을 보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황실 인사들은 공무로 인해 열차를 이용할 때 [[도쿄역]]을 주로 이용한다. === 인접 정차역 === ||<-4><:>[[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width=17]] [[야마노테선|야마노테선]]|| ||<:> {{{-2 [[시부야역|{{{#000000,#ffffff 시부야}}}]]·[[시나가와역|{{{#000000,#ffffff 시나가와}}}]]·[[도쿄역|{{{#000000,#ffffff 도쿄}}}]] {{{#000000,#ffffff 방면}}}}}}[br][[시부야역|시부야]][br]← 1.2 km||<:>{{{#ffffff {{{-2 내선순환[br]内回り}}}}}}||<:>{{{#ffffff {{{-2 외선순환[br]外回り}}}}}}||<:>{{{-2 [[신주쿠역|{{{#000000,#ffffff 신주쿠}}}]]·[[이케부쿠로역|{{{#000000,#ffffff 이케부쿠로}}}]]·[[우에노역|{{{#000000,#ffffff 우에노}}}]] {{{#000000,#ffffff 방면}}}}}}[br][[요요기역|요요기]][br]1.5 km →|| == 일평균 승차량 == ||<-10>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 ||1989년||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1998년|| ||70,838명||69,709명||69,331명||68,156명||67,208명||66,301명||67,265명||70,586명||71,819명||71,946명|| ||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 ||71,946명||71,364명||72,392명||72,463명||72,400명||71,685명||73,446명||75,149명||76,788명||74,524명||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75,581명||71,456명||69,750명||71,472명||70,866명||70,766명||73,733명||'''76,084명'''||74,353명||75,341명||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90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야마노테선]][[분류:야마노테선(운행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