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하동수쿠스}}}[br]Hadongsuchus}}}''' || ||<-2> [[파일:하동수쿠스.jpg|width=100%]] || ||<#F93> '''학명''' || ''' ''"Hadongsuchus acerdentis"'' '''[* 비공식 학명에는 큰따옴표를 붙여야 한다.][br]Young-nam & Hang-jae, 2005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악어상목^^Crocodylomorpha^^|| || {{{#000 '''계통군'''}}} ||악어형류^^Crocodyliform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사르테고수쿠스상과^^Shartegosuchoidea^^||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하동수쿠스속^^“''Hadongsuch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하동수쿠스 아케르덴티스(“''H. acerdentis''“)^^{{{-1 [[모식종]]}}}^^|| [목차] [clearfix] == 개요 == 악어상목 프로토수키아에 속하는 원시 [[악어]]로, 화석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한 무인도에서 [[이융남]] 교수와 이항재 연구원이 발견했다. 다만 하동수쿠스라는 명칭은 공식 학명이 아니기 때문에 논문에 언급될 때마다 따옴표가 이름에 붙는다. 속명의 뜻은 '하동의 악어'. == 연구사 == 육상을 걸어다녔던 원시 악어인 사르테고수쿠스상과에 속하며 몽골에 서식했던 조수쿠스(''Zosuchus'')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고 한다. 국내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척삭동물문|척삭동물]] 화석들이 머리가 제대로 보존되지 않았던 것에 비해 [[두개골]]이 거의 완전하다 시피 보존되어 있었다. 발견 당시 비골, 전전두골, 인골, 방형골, 치골, 각골 등 거의 모든 두개골 조직들이 보존되어 있었으며, 전상악골과 협골, 후안와골, 두정골, 눈꺼풀뼈, 방향협골 등 우측 또는 일부만 조금 손실된 정도였다. 두개골의 길이는 약 5.2cm 높이는 2.5cm로 작았으며, 몸길이는 50cm 정도로 추정된다. 기존 육상 악어들과는 달랐던 종으로 가장 확실한 근거로는 전상악골에 있는 3번째 [[이빨]]을 들 수 있다. 다른 프로토수키안 악어들처럼 완전한 육상 악어였을 것이며, 빠르게 육지를 달리는 것도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 대중 매체 == 한국에서 발견된 [[백악기]] 동물이다 보니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에 나올 수도 있었지만, 등장하지 않았다.[* 정작 등장한 동물들은 대부분 중국, 몽골에서 발견된 동물들이다.] 대신 [[1억년 뿔공룡의 비밀]]에서 두개골 화석이 잠시 소개된다. [각주][[분류:사르테고수쿠스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