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의 대공비[br]{{{+1 하노버의 알렉산드라}}}[br]Prinzessin Alexandra von Hannover'''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00px-Grand_Duchess_Alexandra_of_Mecklenburg-Schwerin.jpg|width=100%]]}}} || || '''이름''' ||알렉산드라 루이제 마리 올가 엘리자베트 테레제 베라[br](Alexandra Louise Marie Olga Elisabeth Therese Vera) || || '''출생''' ||<-2>[[1882년]] [[9월 29일]][br][[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버외스터라이히]] 그문덴 컴벌랜드 성|| || '''사망''' ||<-2>[[1963년]] [[8월 30일]] (향년 80세)[br][[서독]]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글뤽스부르크 글뤽스부르크 성 || || '''배우자''' ||<-2>[[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br],,(1904년 결혼 / 1945년 사망),, || || '''자녀''' ||<-2>프리드리히 프란츠,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올가, 티라, 아나스타시아 || || '''아버지''' ||<-2>[[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하노버의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 '''어머니''' ||<-2>[[덴마크의 티라|덴마크의 티라 공주]] || || '''형제''' ||<-2>마리 루이제, 게오르크 빌헬름, 올가,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브라운슈바이크)|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하노버의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와 [[덴마크의 티라|덴마크의 티라 공주]]의 차녀. == 생애 == [[1982년]] [[9월 29일]]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와 덴마크의 티라 공주의 3남 3녀 중 차녀(셋째)로 태어났다. 1904년 6월 7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문덴에서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와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의 외아들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와 결혼했다.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는 알렉산드라에게 파베르제의 다이아몬드와 아쿠아마린 티아라를 결혼 선물로 줬다. 1913년 남편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와 함께 슈베린 성에서 손님들과 식사하고 있는데, 슈베린 성에서 화재가 발생하자마자, 전원 다 안전하게 대피했다. 하지만 셀 수 없이 많은 예술 작품들과 중요한 방들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75만 달러의 재산 피해를 보았다. 일부 기사에서는 복수심에 불탄 하인이 화재를 일으켰다고 비난했지만, 공식 법원에서는 단순히 전기 문제일 뿐이라고 밝혀졌다. 1918년 남편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가 독일 11월 혁명으로 대공 작위를 상실하고, 어머니 티라 공주의 고향이자, 큰올케 [[알렉산드리네 아우구스테|알렉산드리네 왕비]]가 있는 덴마크로 망명했다. 1945년 남편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가 세상을 떠나고, 18년 후 1963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글뤽스부르크 성에서 숨을 거두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하노버 왕국|하노버]]의 알렉산드라 공주[br]{{{-2 (Princess Alexandra of Hanover)}}} ||<|6>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하노버의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br]{{{-2 (Ernest Augustus, Crown Prince of Hanover)}}} ||<|3> [[게오르크 5세]][br]{{{-2 (George V)}}} ||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br]{{{-2 (Ernest Augustus)}}}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 여공작]][br]{{{-2 (Duchess Frederica of Mecklenburg-Strelitz)}}} || ||<|3> [[작센알텐부르크의 마리|작센알텐부르크의 마리 공녀]][br]{{{-2 (Princess Marie of Saxe-Altenburg)}}} || || [[요제프(작센알텐부르크)|작센알텐부르크 공작 요제프]][br]{{{-2 (Joseph, Duke of Saxe-Altenburg)}}} || || [[뷔르템베르크]]의 아멜리 여공작[br]{{{-2 (Duchess Amelia of Württemberg)}}} || ||<|7> [[덴마크의 티라|덴마크의 티라 공주]][br]{{{-2 (Princess Thyra of Denmark)}}} || ||<|3>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br]{{{-2 (Frederick William, 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Glücksburg)}}} || || 헤센카셀의 루이제 카롤리네 공녀[br]{{{-2 (Princess Louise Caroline of Hesse-Kassel)}}} || ||<|3>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 헤센카셀의 빌헬름 공자[br]{{{-2 (Prince William of Hesse-Kassel)}}} || || [[덴마크의 샤를로테|덴마크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of Denmark)}}}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세자 프리드리히 프란츠[br]{{{-2 (Friedrich Franz, Hereditary 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 || [[1910년]] [[4월 22일]] || [[2001년]] [[7월 31일]] || 카린 엘리자베트 폰 샤퍼[* 이혼 후 재혼했다.] || || '''2남''' ||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공작[br]{{{-2 (Duke Christian Ludwig) }}} || [[1912년]] [[9월 29일]] || [[1996년]] [[6월 18일]] || [[프로이센]]의 바르바라 공주[*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하인리히 왕자]]와 [[이레네 루이제 마리아 아나|헤센의 이레네 공녀]]의 손녀이다.][br]슬하 2녀 || || '''1녀''' || 올가 여공작[br]{{{-2 (Duchess Olga)}}} || [[1916년]] || [[1917년]] || || || '''2녀''' || 티라 여공작[br]{{{-2 (Duchess Thyra) }}} || [[1919년]] [[6월 18일]] || [[1981년]] [[9월 27일]] || || || '''3녀''' || 아나스타시아 여공작[br]{{{-2 (Duchess Anastasia) }}} || [[1922년]][* [[1923년]] 이라는 설도 있다.] || [[1979년]]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br]슬하 4녀 || == 여담 == * [[조지 3세]]의 현손녀로서, 1917년까지 [[영국]]의 공주이기도 했다. [[분류:1882년 출생]][[분류:1963년 사망]][[분류:하노버 가문]][[분류:메클렌부르크슈베린 가문]][[분류:하노버의 공주]][[분류:영국의 공주]][[분류: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