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하고)] [목차] == 개요 == 95식 경전차 [[하고]]의 실전 기록을 정리한 문서. == [[대전기]] == === [[소련-일본 국경분쟁]] === ==== [[할힌골 전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Go_with_Ki-27_at_Khalkhingol.jpg|width=100%]]}}} || || '''할힌골 전투 당시 진격 중인 관동군 소속 95식 경전차 하고와 Ki-27 전투기''' || 일본군이 이 전차를 운용하는 목적중 하나가 유사시 전차간의 전투가 벌어질 경우, [[대전차 자주포|적의 전차를 잡는 역할]]이었기 때문에 관통력이 떨어지고 고폭탄 위력이 높은 57mm 단포신포를 무장한 [[치하]]보다 관통력이 높아 대전차 능력이 높은 37mm 포를 장착해 [[할힌골 전투]] 때도 소련의 [[T-26]]이나 [[BT 전차]]와 대결하여 짧은 유효사정거리를 고속으로 근접해서 사격하는 방식으로 메꾸는 방식으로 싸움으로서 적어도 치로나 치하보다는 유용함을 보여주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도 보병지원이나 수색용으로도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남방작전]] 당시 [[연합군]]이 생각도 못했던 곳에서도 기어나오는 활약을 펼쳤고, 이는 초창기 일본군 승리의 요인 중 하나로도 평가된다. === [[중일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ntokuo_Hago.jpg|width=100%]]}}} || || '''중일전쟁 당시의 관동군 소속 하고''' || 장갑과 무장이 크게 불충분했지만 속도와 신뢰성이 높아 일본군이 중국 전선 전역에서는 그럭저럭 쓸만했다. 특히 하고의 경우 주로 [[만주]]나 [[둥베이]] 인근에 배치되었는데, 이는 하고가 일본군이 소유한 전차들 중에서 그나마 야지 기동성이 우월했기 때문으로, [[하고/파생형#호쿠만 하고|해당 문서]]에서 볼 수 있듯 그마저도 보기륜 간격이 고랑논에 맞지 않아 추가적인 개수를 행한 모델을 주로 사용하였다. === [[제2차 세계 대전]] === ==== [[태평양 전쟁]] ==== [[필리핀]]에서 미군의 [[M2 경전차|M2A4 경전차]]와 [[스튜어트 전차|M3 스튜어트 경전차]]와 접전을 벌였는데, M2A4, 스튜어트는 장갑과 화력이 하고보다 더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수적으로 열세인데다가 기습당한 상황, 미군 전차병들의 경험이 부족해서 그다지 좋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래도 M2A4, M3가 쏜 포탄이 하고에 명중하면 전면장갑을 뚫고 차체를 지나 후부장갑까지 뚫고 나가는 완전관통이 발생하는 데 반해, 하고가 M2A4와 M3를 명중시키면 철갑탄이 튕겨나가는 엽기적인 상황이 연출됐다. 이게 엽기적인 이유는 세 전차의 포가 둘 다 앞서 언급한 [[독일]] 라인메탈사의 PaK 36을 기반으로 한 포이며, 구경도 37mm로 동등하다는 점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 때부터 하고의 대전차 능력이 37mm [[대전차포]]를 주포로 장비한 전차들 중에서 가장 뒤떨어지는 능력을 보유한다는 사실을 일본군이 알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historyofwar.org/type_95_ha_go_milne_bay.jpg|width=100%]]}}} || || '''진흙탕에 돈좌된 하고 전차들을 조사하는 연합군''' || 두 대가 [[뉴기니]] 섬에 있는 밀른 만 상륙에 투입되어 [[호주군]]을 상대로 선전했지만, 상륙한지 며칠 만에 거의 매일 퍼붓는 폭우 때문에 진흙탕에 빠져 유실되었다. 그래도 해당 지역이 늪과 밀림과 강이 얽힌 지역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일본군의 전차치고는 험지돌파능력이 높았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ype_95_%28AWM_097336%29.jpg|width=100%]]}}} || || '''투항 후 이동중인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하고 부대'''[* 사람과 비교하면 매우 작은 전차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렇듯 초반에는 나름대로 활약했지만 제정신차린 연합군이 등 보다 좋은 전차를 투입하게 되면서 빠른 속도로 전술적 가치가 하락했다. 그런데 이게 연합군이 제정신을 차려서라기 보다는 [[아프리카]]나 유럽 전선에서 도태되는 2, 3선급 장비가 넘겨지는 경우에 가까웠다. 즉, 영미 연합군의 도태장비보다 못한 일본군의 주력전차라는 의미. ==== [[프랑스-태국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ype_83_victory_parade.png|width=100%]]}}} || || '''프랑스-태국 전쟁 승전 퍼레이드의 타이 왕립 육군 소속 83식'''[* 1941년 5월 19일 촬영된 사진이다.] || 프랑스-태국 전쟁 당시 태국군의 주력 기갑차량으로 막 수입된 하고가 투입되었는데, 당시 프랑스 원정군은 잘해봐야 1차 대전 말 ~ 전간기 중반급의 장비만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반면 태국은 일본으로부터 각종 무기 및 영국으로부터 [[빅커스 Mk. E]] B형 등 강력한 기갑장비와 [[폼폼 포]] 등의 대공화기 및 함선까지 소유하고 있었기에 프랑스군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일본 제국의 중재로 전쟁은 태국의 승리에 가깝게 종결되었으며, 태국 또한 일본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추축국에 가입하게 되었다. ===== 알류샨 제도 전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erican Tractors pass an Abandoned Japanese Ha-Go Tank - Aleutian Islands, Alaska.webp|width=100%]]}}} || || '''알류샨 제도 전역 당시 격파된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하고''' || 알류샨 제도 전역에서도 사용되었다. 1942년 6월 초 슘슈 섬에 주둔하던 제11전차연대 소속 95식 경전차 하고 중 극소수가 알류샨 제도의 키스카 섬 침공에 투입되었다. 1943년 미군의 키스카 섬 탈환 작전인 Cottage 작전 당시 95식 경전차 하고 2대가 미군에게 노획되어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미국 메릴랜드의 애버딘 병기 시험장으로 보내졌다. === [[소련-일본 전쟁]] ===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ype 95 Ha-Go captured by the Red Army in Harbin, August 1945.jpg|width=100%]]}}} || || '''만주 작전 당시의 소련 육군이 노획 하고 전차들'''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당시 소련군에 대항할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엄청난 전력차와 더불어 구식인 하고는 전혀 쓸모가 없었고, 외려 전차병들이 이를 버리고 가 소련군으로 편제되어 극동군 소속으로 사용되었다. == [[냉전]] == === [[국공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inese_civil_war_Ha-go_1.jpg|width=100%]]}}} || || '''국공내전 시기 훈련 중인 중국공농홍군 소속 95식 경전차''' || 팔로군이 관동군 및 일본군에게서 탈취한 100여량의 하고를 주력 경전차로 운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 톈진 전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inese_civil_war_Ha-go_2.jpg|width=100%]]}}} || || '''톈진 전투 당시 공세를 가하는 중국공농홍군 소속 95식 경전차 소대''' || 국공내전 중, 팔로군 소속의 하고가 큰 활약을 한 사례로는 톈진 전투가 있는데, 이 당시 [[치하]]와 함께 다수가 투입되어 톈진을 장악하는데 공을 세웠다. === 1947년 태국 쿠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aicoupdetatHAGO.jpg|width=100%]]}}} || || '''태국 쿠데타 당시 방콕에서의 반란군 소속 83식''' || 1947년 발발한 태국 쿠데타 당시에도 반란군의 주력 기갑 차량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 [[인도차이나 전쟁]]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dochina_war_hago.jpg|width=100%]]}}}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의 캄보디아 기갑특공대 소속 하고'''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 프랑스령 캄보디아의 캄보디아 기갑특공대 측에서 하고 및 이고를 수습하여 장갑 증강 후 1달여간 사용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이후 영국제 장갑차와 [[M24 채피]] 등으로 대체되어 사라졌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고, version=638)] [[분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