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피크민 시리즈]][[분류:2023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게임 합본]][[분류:피크민 2]]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피크민, top2=피크민 2)] [include(틀:피크민 시리즈)] ||<-2>
{{{+1 '''피크민 1+2'''}}}[br]'''ピクミン 1+2'''[br]'''Pikmin 1+2'''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크민 1+2 배너.jpg |width=100%]]}}} || || '''개발 / 유통''' ||[[닌텐도]] || || '''플랫폼''' ||[[Nintendo Switch]] || || '''ESD'''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 '''장르''' ||[[실시간 전략 게임|AI액션]] || || '''발매일''' ||'''다운로드 버전'''[* 피크민 1, 피크민 2의 다운로드 버전, 그리고 두 소프트의 세트 상품][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2]] [[2023년]] [[6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파일:대만 국기.svg|width=22]] [[2023년]] [[9월 22일]] ---- '''패키지 버전'''[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2]] [[2023년]] [[9월 22일]]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플레이 인원수''' ||'''피크민 1''': 1명 '''피크민 2''': 1~2명|| || '''용량''' ||'''피크민 1''': 1.09GB '''피크민 2''': 1.04GB '''피크민 1+2''': 2.13GB || || '''공식 사이트''' ||[[https://www.nintendo.co.kr/switch/bamea/|한국]] [[https://www.nintendo.co.jp/switch/bamea/index.html|일본]] [[https://www.nintendo.com/pikmin-1-2/|북미]]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covHVE8_hk)]}}}|| || '''발매 트레일러''' [[https://youtu.be/xVuVaMkgBEg|{{{#fff 북미}}}]] || [[피크민|피크민 1]], [[피크민 2]]의 [[Nintendo Switch]]용 이식 합본. 1, 2의 개별 소프트웨어도 다운로드 버전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1+2 합본으로 구매하면 따로 살 때보다 14,800원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패키지 버전은 1+2 합본으로만 제공된다. 피크민 1,2 개별 소프트의 정가는 각 34,800원[* 일본 각 3,000엔(소비세 포함), 북미 29.99달러], 피크민 1+2 합본은 54,800원[* 일본 4,980엔(소비세 포함), 북미 49.99달러]이다. 본 문서는 피크민 1+2 합본 뿐만 아니라 피크민 1, 피크민 2 각 소프트의 닌텐도 스위치 버전에 관한 내용도 다룬다. == 발매 전 정보 == [[2023년]] [[6월 21일]], [[닌텐도 다이렉트]]를 통해 피크민 1, 2의 [[Nintendo Switch]]로의 이식이 발표되었다. 다이렉트 종료 후 [[닌텐도 e숍]]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패키지 버전, 다운로드 버전 모두 [[2023년]] [[9월 22일]]에 발매되며, 한국어에 대응한다. [[https://www.nintendo.co.kr/news/article/yH5AqBMPhiG5kJWcCxje4|한국닌텐도 기사]] 2023년 8월 25일 오전 9시에 한국 패키지 버전의 예판이 시작되었다. 2023년 9월 18일 한국 공식 홈페이지가 공개되었다. 한국어는 2023년 9월 21일부터 무료 업데이트를 통해 지원된다. == 이전 버전과의 차이점 == * 공통 변경사항 * [[Wii]] 버전을 기반으로 이식됐으며,[* [[피크민 2]]는 북미 Wii 버전을 기반으로 한다.] 인게임 및 프리렌더 컷신이 1080p 해상도로 업스케일링되었다. [[슈퍼 마리오 3D 컬렉션]]에서 먼저 쓰였던 Hagi 에뮬레이터를 사용한다. 해상도와 아래의 보물 텍스처 변경을 제외하면 괄목할만한 그래픽 변경점은 없다. * 피크민을 뽑고 던지기 쉽도록 개선되었다. * Nintendo Switch의 플레이 환경에 맞는 조작법을 사용하며, 옵션에서 커서 조작 시 자이로 센서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조작' 문단 참고. * 사랑의 노래, 씨앗의 노래 관련 요소가 삭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구 버전의 게임플레이 소개 영상과, 피크민 2에서 피크민이 노래를 부르는 이스터에그가 사라졌다. * 타이틀 화면에서 오래 기다리면 재생되는 게임플레이 소개 영상이 삭제되었다. * [[피크민|피크민 1]]의 변경사항 * 엔딩 중 원주생물 소개 부분에서 컷신이 새로 녹화되었고, 원주생물의 등장 순서도 바뀌었다. * [[피크민 2]]의 변경사항 * [[https://youtu.be/NJCpITDYbVs|실존했던 상표를 사용한 보물들의 텍스처가 전부 변경되었다.]] * 보물 구성은 모든 언어에서 북미 구 버전 기준으로 통일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어는 일본 구 버전에 없었던 일부 보물의 명칭과 도감 메모가 새로 작성되었다.[* 참고로 한국어 명칭은 새로 작성된 일본어를 기준으로 번역되었다.] * 피크민 2의 일부 보물, 원주생물의 영어 명칭이 바뀌었다. * 보물 '욕망의 방망이'의 일본어 텍스트가 일부 바뀌었다. * 피크민을 종류별로 20마리씩 데리고 다녀도 사랑의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 조작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2> '''액션''' ||<-2> '''게임큐브''' ||<-2> '''Wii'''[* [[Wii 리모컨]] + 눈차크] ||<-2> '''Switch'''[* [[Joy-Con]] 1쌍 잡기, [[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 휴대 모드 및 [[Nintendo Switch Lite]] 등] || || '''피크민 1''' || '''피크민 2''' || '''피크민 1''' || '''피크민 2''' || '''피크민 1''' || '''피크민 2''' || || 리더 이동 ||<-2><|2> 컨트롤 스틱 ||<-2> 컨트롤 스틱 ||<-2> L 스틱 || || 커서 이동 ||<-2> 포인터 ||<-2> L 스틱[br]A/B+자이로[* L 스틱 버튼으로 커서 리셋] || || 뽑기/피크민 던지기 ||<-2> A ||<-2> A ||<-2> A || || 피크민 불러 모으기 ||<-2> B ||<-2> B ||<-2> B || || 해산(색깔별로) || X || X {{{-2 (짧게)}}} || C || C {{{-2 (짧게)}}} ||<-2> X || || 대열 지시 ||<-2> C스틱 ||<-2> 포인터+십자↓ ||<-2> L 버튼+R 스틱 || || 리더 교대 || · || Y || · || (-) || · || Y || || {{{-1 색깔별로 피크민 바꿔잡기}}} || · || A+십자←→ ||<-2> A+B ||<-2> A+R || || {{{-1 성장 단계별로 피크민 바꿔잡기}}} || · || A+십자↑↓ ||<-2> A+십자↓ ||<-2> A+X || || 시점 조작(좌우) ||<-2> L+컨트롤 스틱 ||<-2> Z+컨트롤 스틱 ||<-2> R 스틱←→ || || 시점 조작(상하) ||<-2> Z ||<-2> 십자↑ ||<-2> R 스틱↑↓ || || 시점 줌 || R || R {{{-2 (짧게)}}} || 십자←→ || 십자←→ {{{-2 (짧게)}}} || ZR || ZR {{{-2 (짧게)}}} || || 시점을 지면 높이로 이동 || · || R {{{-2 (길게)}}} || · || 십자←→ {{{-2 (길게)}}} || · || ZR {{{-2 (길게)}}} || || 시점 리셋 ||<-2> L {{{-2 (짧게)}}} ||<-2> Z {{{-2 (짧게)}}} ||<-2> ZL || || 드러눕기 || 십자↓ || X {{{-2 (길게)}}} || (2) || C {{{-2 (길게)}}} ||<-2> R 스틱 버튼 || || 쓴맛/불맛 분무기 || · || 십자↑/↓ || · || (1)/(2) || · || ▲/▼ || || 일시 정지 메뉴 ||<-2> START/PAUSE || (-) || (+) || (-) || (+) || || 정보 화면 || Y || · || (+) || · || (+) || (-)[* 조작 확인] || }}} 비교를 위해 이전 버전의 조작법도 함께 작성했다. 스위치 버전의 조작 체계는 [[피크민 3 디럭스]]나 [[피크민 4]]와 비슷하며, 피크민 1과 2 이전 버전의 편의 개선 사항 또한 계승하고 있다. 이전 버전들은 1, 2편 사이에서 일부 액션의 조작부의 차이가 있었던 반면, 스위치 버전은 두 게임의 조작 체계 사이의 일관성이 높다. 커서 조작은 평소에는 게임큐브 버전과 마찬가지로 L 스틱으로 이동과 함께 이루어지지만, 피크민을 손에 든 상태에 한해 자이로 센서로 커서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가까운 시기에 발매된 [[피크민 4]]와 같은 조작 방식이며, [[스플래툰 시리즈]]나 3D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조준 액션처럼 스틱으로 커서를 대강 맞춰 놓고 자이로 센서로 미세 조정하는 식의 조작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것은 커서 이동에 완전히 특화된 Wii 버전의 조작을 대체하는 수준은 아니며, 게임큐브 버전의 버튼 조작을 중심으로 커서 이동을 개선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좌우 시점 조작은 처음으로 이동 조작과 분리되었다. [[게임큐브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는 있으나, 진동 기능과 L/R 트리거 버튼의 깊이 조절을 지원하지 않고 (-) 버튼, ZL 버튼, 스틱 버튼에 할당된 액션을 사용할 수 없는 등 조작상의 한계가 있다. == 평가 == ||<-4>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구분'''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3>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B500; font-size: 0.75em" {{{#fff 피크민 1+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ikmin-1-plus-2, g=, score=7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ikmin-1-plus-2, code=user-reviews/, g=, score=8.5)]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B500; font-size: 0.75em" {{{#fff 피크민 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ikmin, code=critic-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g=, score=8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ikmin, code=user-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g=, score=9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B500; font-size: 0.75em" {{{#fff 피크민 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ikmin-2, code=critic-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y=, score=66)]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ikmin-2, code=user-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g=, score=8.7)] || {{{#!wiki style="max-width:800px; width:100%; margin: 0px auto; word-break: keep-all" ||<-3>
[[오픈크리틱|[[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width=100]]]] || ||<-3>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B500; font-size: 0.75em" {{{#fff 피크민 1}}}}}} || || [[오픈크리틱#s-2|[[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60]]]] || [[https://opencritic.com/game/15132/pikmin-1| {{{#333333,#ffffff '''평론가 평점'''}}}[br]{{{#333333,#ffffff '''80 / 100'''}}}]] || [[https://opencritic.com/game/@code@/@title@| {{{#333333,#ffffff '''평론가 추천도'''}}}[br]{{{#333333,#ffffff '''77%'''}}}]] || ||<-3>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B500; font-size: 0.75em" {{{#fff 피크민 2}}}}}} || || [[오픈크리틱#s-2|[[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60]]]] || [[https://opencritic.com/game/15133/pikmin-2| {{{#333333,#ffffff '''평론가 평점'''}}}[br]{{{#333333,#ffffff '''78 / 100'''}}}]] || [[https://opencritic.com/game/@code@/@title@| {{{#333333,#ffffff '''평론가 추천도'''}}}[br]{{{#333333,#ffffff '''71%'''}}}]] ||}}} 해상도 업스케일링 위주의 단순 이식으로, 피크민 1,2를 [[Nintendo Switch]]에서 다시 플레이하는 용도로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커서 조작에 자이로 센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된 점 역시 대체로 호평이다. 하지만 게임 시스템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아 지금 시점에서 하기에는 불편한 면이 있다. 이 점은 최근작에 비해 시스템이 잘 정리되지 않았고 난이도도 높았던 [[피크민 2]]에서 더욱 두드러져 평가 하락에 크게 작용했다. 피크민 2에서 나름대로 일상 속 물건을 바라보는 재미가 있었던 실제 상품들의 디자인을 변경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는 의견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피크민, version=267, paragraph=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