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한지우/포켓몬/오리지널)] ||<-3>
'''{{{#white {{{+1 피죤투}}}}}}'''[br]'''{{{#white ピジョット | Pidgeo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6A2bUaEAIQshT.jpg|width=100%]]}}} || || '''첫등장''' ||<-2><|2> 무인편 3화 <포켓몬! GET이다!> || || '''포획 시기''' || || '''몬스터볼''' ||<-2>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 || '''타입''' ||<-2> [include(틀:노말타입)][include(틀:비행타입)] || || '''성별''' ||<-2> 수컷 || || '''특성''' ||<-2> 불명 || || '''진화 시기''' ||<-2> 피죤[br]↓[br]피죤투 무인편 83화 <태초마을! 새로운 여행>[* 일본판 [[1999년]] [[1월 28일]], 더빙판 [[2000년]] [[6월 15일]] 방영] || ||<|2> '''성우'''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하야시바라 메구미]] ||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선주]] {{{-2 (무인)}}} → ??? {{{-2 (BW)}}} || [목차] [clearfix] == 개요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등장 포켓몬. == 상세 == 지우가 두 번째로 잡은 포켓몬이자, 최초의 비행 타입 포켓몬. 이후 새로운 지방에서 포켓몬을 잡을 때마다 비행 타입 포켓몬은 꼭 잡는다는 것은 지우의 [[클리셰]] 중 하나다. 구구가 진화한 형태지만, 처음 만났을 때에는 피죤 상태였다.[* 이 점을 따 와 [[포켓몬스터 피카츄|피카츄 버전]]에서 야생으로 등장한다.] 다만, 당시 생초보 트레이너였던 지우는[* 처음엔 뭣모르고 몬스터볼부터 냅다 던지나, 피죤은 일찌감치 눈치를 깠는지 뒤돌아보지도 않고 한쪽 날개로 쳐내버린다. 물론 지우도 아주 몰라서 그런 건 아니고 먹이를 먹고 있는 상태라는 걸 이용하여 냅다 던졌지만 결과는...] '''벌레 타입인 [[캐터피]]를 내보냈다가'''[* [[최이슬|이슬이]]가 캐터피에게 하도 매몰차게 굴어 마음에 상처를 입은 탓에 캐터피가 몬스터볼에 콕 틀어박힌 일 때문에 감정적으로 흥분한 상태이기도 했다.] 피죤에게 캐터피는 당연히 일방적으로 당해버리지만, [[피카츄(한지우)|피카츄]]의 전기 공격으로 포획에 성공한다. 물론 이슬이에게는 감탄은 커녕 "새 포켓몬이 벌레를 잡아먹는 건 상식인데 그것도 모르냐?"라며 구박만 오질라게 당했다. 그래도 잡자마자 지우 명령에는 잘 따른다. 주된 역할은 비행 타입답게 정찰, 로켓단의 연막 날리기, 열기구 쪼아서 터뜨리기. 리그나 배틀에서는 선봉으로 나와서 상대 포켓몬의 수준을 파악하고 당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 그래도 [[블루시티]]에서 이슬이의 [[아쿠스타]]를 쓰러뜨리고, [[상록시티]] 체육관에서 근성으로 [[이판사판태클]]을 이용해 [[코뿌리]]를 쓰러뜨리는 기염을 토했다. 후에 오렌지제도로 여행을 떠나기 전 지우가 태초마을에 돌아왔을 때 다시 조명받는 에피소드가 배정되는데, 지우 말을 드럽게 안 듣는 [[리자몽(한지우)|리자몽]]과는 달리 피죤은 지우의 말을 잘 듣는 착한 모습이 부각된다.[* 지우가 초보 시절에 잡은 포켓몬이고 피죤은 이미 진화한 포켓몬이라 지우 말을 무시할 법도 한데도 그런 모습을 보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이 때문에 피카츄가 지우의 말을 종종 무시하던 [[버터플(한지우)|버터플]]은 염동력이 없어 가루 기술이 안 통하면 피죤보다 전투력이 뒤떨어지는 편이었기 때문에 한지우는 피죤을 주로 메인으로 사용했다.] 그러다 83화에 1번 도로 근처 숲에서 깨비참 무리를 이끌며 구구와 피죤들을 괴롭히고 영역에서 몰아내던 [[깨비드릴조]][* 1화에서 피카츄와 지우를 습격한 그 [[깨비참]]이 진화했다.]와 싸우다 처음엔 밀리지만 곧 피죤투로 진화해서는 깨비드릴조를 압도적인 날개의 풍압만으로 발라버리는 활약을 했다.[* 진화할 때 [[11번도로]] BGM이 흐르며 환골탈태 하듯이 진화했다. 여기에 지우를 등에 태우고 공중전을 펼친다.] >깨비드릴조 녀석, 어쩌면 또 공격해올지 모르겠어. >피죤투, 넌 당분간 이 숲에서 살면서 네 소중한 친구들을 지켜줘야겠다. >'''"심부름이 끝나면 곧바로 돌아와서 데려갈게"''' >---- >― 한국 더빙판 기준 지우의 대사, 2000년 6월 15일 방영판 이후 지우가 그 구구와 피죤들을 보호해 주라고 풀어주면서[* 자기 동족의 어린 개체들을 보호하라고 주인이 풀어주는 전개는 후에 [[로켓단 삼인방]]의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 [[로이(로켓단 삼인방)|로이]]의 [[또도가스]]와 [[아보크]]에게도 이어진다.] '''나중에 다시 찾으러 오겠다'''는 약속을 하며, 피죤투는 잠시 아쉬운 표정을 짓기는 하지만 그래도 지우의 마음을 이해했는지 이내 고개를 끄덕이고 힘차게 날아오르는 걸로 83화는 끝난다. === 오리지널 83화 이후 ~ [[포켓몬스터W|W]] === 하지만 심부름이 끝나면 다시 데리러 오겠다고 했던 지우의 말과는 달리 오렌지제도편이 끝나고 성도편에 들어선 이후로도 등장이 없다가, 아예 '''오리지널 자체가 끝날 때 까지''' 복귀는 커녕 등장 조차도 하지 못했다. 성도편 131화에서 [[비상(포켓몬스터)|비상]]의 피죤투를 보고 '''사정이 있어서 잠시 놓아줬다''' 라고 잠시 회상하는 것이 전부.[* 해당 에피소드도 비상의 옷차림이 기모노라서 [[왜색]]문제 때문에 한국에서는 미방영했다.] [[포켓몬스터 AG]]의 5번째 엔딩인 "Glory Day"에서 사진으로 잠깐이나 비췄고, 5번째 오프닝인 "Spurt"에서도 같이 놓아줬던 라프라스와 함께 잠깐 비춰주었다. DP 극장판 디아루가VS펄기아VS다크라이 페이크 예고편에서 지우가 피죤투를 타는 장면이 나왔는데 이 때문에 결정탑의 제왕 엔테이에서 지우랑 잠시 헤어진 리자몽이 나타나는 것처럼 피죤투도 지우를 도와주기 위해 나타나거나 TV판에서 합류하는 것을 기대한 사람들도 있었으나, 해당 장면은 커녕 피죤투도 안 나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베스트위시 지우의 피죤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베스트위시 지우의 피죤.jpg|width=100%]]}}}|| 베스트위시 시즌 2 에피소드 N 8화(116화)에서 피죤, 이상해씨, 파이리, 꼬부기, 피카츄와 함께 얼음산에서 조난당해 밤을 지새던 무인편의 크리스마스 에피소드를 회상하는 장면으로 '''정말 오랜만에''' 등장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피죤 몸통에 피죤투 머리를 한 괴상한 작화[* 피죤투는 지우가 방생한 편에서 피죤투로 진화했고, 포획했을 때부터 내내 피죤이였기 때문에 머리까지 피죤으로 나왔어야 했다. 해당 에피소드는 66화. 이와크와 비바크(한국판: 피카츄, 눈산을 넘어라). 원래 에피소드 순서로는 40화로 예정되었는데 [[포켓몬 쇼크]] 탓에 애니메이션이 급히 방영을 중지하면서 봄에 방영이 재개되었으나, 해당 에피소드가 겨울을 배경으로 하고 있던 탓에 반년 뒤인 66화로 조정되었다. 국내판에서는 한술 더 떠서 오렌지제도편에서 방영되었다.]로 나와 피죤투 팬들의 가슴에 칼을 꽂았다. 다행히 DVD 발매 후에는 원래 피죤의 색으로 변경되었다. XY에서는 [[ORAS]]에서 피죤투가 [[메가진화]]를 얻었기 때문에 피죤투가 지우와 재회하고 메가진화를 하는 모습으로 다시 재등장하지 않을까 하는 예상도 있었으나, 정작 메가진화는 커녕 재등장도, 언급도 없었다. 뭣보다도, 애니메이션에서 메가진화란 [[알랭(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알랭]]이나 [[코르니]], [[트로바]], [[파키라(포켓몬스터)|파키라]] 등 엑스트라들에게만 돌아갔으며, '''지우는 마지막까지 리자몽도, 나무킹도, 혹은 그 어떤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도 얻지 못했다.''' 이 시즌에서는 전작 포켓몬들을 다시 쓴 적도 없었다. 썬&문에서 지우가 잠시 관동으로 돌아가는 에피소드가 있기 때문에 재출연하지 않을 까 하는 예상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재등장은 커녕 언급도 없이 끝났다. 그나마 로토무가 오박사 연구소에서 찍은 관동 포켓몬 사진들 중에 피죤투가 피죤 무리를 이끄는 모습이 비추어져 이 피죤투가 지우의 피죤투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으나[* 로토무가 찍은 사진들 중 선글라스를 낀 지우의 꼬부기도 찍혔다.]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 확실치는 않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 6화 피죤투.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r88382.png|width=100%]]}}}|| W 6화에서 고우가 관동의 포켓몬들을 잡는 도중 지우와 잠시 떨어져 있을 때 도중에 숲 속에서 묘한 분위기로 하늘을 나는 피죤투의 모습이 나오는데 고우가 포켓몬들을 잡는 와중에 지우가 잠시 피죤투를 만난 게 아니냐는 설도 있다. 그 근거로 고우가 로토무 도감으로 주변에 잡을 수 있는 포켓몬들 목록을 확인하였는데 피죤투 계열에서 피죤투는 없고 구구와 피죤만 있어 이 근거로 잠시 모습을 비췄던 피죤투가 지우의 피죤투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W 68화에서는 지우와 고우가 오박사 파크를 탈출 한 초염몽을 찾으러 나서던 와중 파크 바로 근처에 야생 피죤과 조우한다. 기존의 포켓몬들과 재회를 이루는 에피소드였던 만큼 드디어 피죤투를 언급 할 것을 기대했으나 언급은 없었다. W 132화에서 쓰러지기 직전의 피카츄의 정신속에서 지우의 포켓몬들이 피카츄를 응원해주는데 이때 관동 초창기 멤버들[* 버터플, 리자몽, 꼬부기, 이상해씨]과 함께 정말 오랜만에 '''모습을 비췄다.''' W 135화에선 지우의 회상에서 버터플과 성원숭, 라프라스, 꼬부기 등과 함께 잠시 등장하였다. === [[내 꿈은 포켓몬마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kemonanimation-20230324-200716-006-resize.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6A2bUaEAIQshT.jpg|width=100%]]}}}|| 드디어 마침내 최종화인 11화에서 피카츄가 로켓단에게 납치되고 배틀할 포켓몬이 없던 지우가 곤란해하던 찰나에 등장해서 피카츄를 구하는 맹활약을 했다. 구구 무리도 피죤으로 진화한 개체가 생기면서 피죤투가 돌아와도 문제가 없었는지[* 문제의 원흉이었던 깨비드릴조가 어떻게 되었는지 언급이 없었으나 무리들이 강해져서 복수했거나, 공격을 포기하고 도망간 것으로 추정.] 다른 놓아준 포켓몬들과 달리, 완전히 지우의 포켓몬으로 복귀하며 '''24년 만에''' 떡밥이 회수됐다.[* 일본판 기준으로 피죤투를 놓아준 무인편 83화가 [[1999년]] [[1월 28일]]에 방영되었으니 장장 24년 만이다.] == [[유기]] 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리러온다며.jpg|width=100%]]}}} || || {{{#WHITE '''데리러 온다며.jpg''' }}} || '''"다시 데리러 오겠다"'''고 한 지우의 말과는 달리 83화에 놓아준 이후로 오리지널이 끝날 때까지 데리러 오지 않았고, 그 후 W까지 등장은커녕 언급도 없었다 보니 애니메이션 팬덤에는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아예 상단 이미지로 대표되는 유기 [[밈(인터넷 용어)|밈]]까지 생겼다. 사실 지우의 포켓몬이 더 중요한 일이 있어서 헤어지게 되는 전개는 그 뒤로도 많이 있고, 지우가 방생한 포켓몬이 피죤투만 있는것도 아니다. 무인편의 버터플과 라프라스, 성도편의 에버라스, XY에는 미끄래곤까지 지우가 놓아준 포켓몬은 제법 되는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죤투에게만 [[유기]] 밈이 붙은 건 '''방생한 게 아니라 [[떡밥|다시 데리러 오겠다고 분명히 말했기 때문]]이다'''. 단순히 "피죤투, 너는 앞으로 여기서 구구와 피죤들을 깨비드릴조로부터 지키면서 살아." 같은 식으로 말한 뒤 놓아줬다면 [[밈(인터넷 용어)|밈]]이 붙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누가봐도 말의 뉘앙스가 놓아준 것이 아니라 잠깐 임무를 줬다는 느낌이고, 방생하면서 눈물을 보였던 버터플[* 게다가 버터플은 나중에 데코로라제도에서 다른 버터플을 키워서 보내줬을 때도 그때가 생각났는지 눈물을 보였을 정도였다.]과는 달리 보내고 난 뒤 아쉬운 표정을 짓긴 했지만 그래도 눈물을 보이진 않았기 때문. 무엇보다도 피죤투를 놓아준 것은 1번 도로쯤 되는 태초마을 인근 숲속[* [[상록숲]]으로 추정.]이었기 때문에 지우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것도 아니고 보려고 한다면 충분히 보러 갈 수 있는 거리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리러 오기는커녕 언급조차도 하지 않으니 유기 밈이 붙을 수밖에 없는 것. 이는 한동안 유행한 '[[한지우/인성 왜곡|한지우 인성 왜곡]]'의 연장선인데, 작중 캐릭터들이 느끼는 시간의 흐름과 시청자들이 느끼는 괴리가 매우 큰 것이 주요 원인이다. 작중은 [[사자에상 시공]]에 가까운지라 지우가 늙지 않지만 팬들은 20년 동안 애니를 지켜보면서 피죤투가 진작에 늙어 죽었을 법한 세월의 흐름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무언가가 작품 내에서 모종의 이유로 하차한 뒤 다시 재등장할 거 같이 복선을 깔아놓고도 장기간 잊혀졌을 때 해당 물체의 앞글자를 넣고 ''''X죤투행''''이라고 하는 밈이 생겼다.[* 포켓몬 이외 타 매체에서 피죤투처럼 [[미회수 떡밥|다시 만날 것처럼 보였지만 잊혀져서]] 유명한 캐릭터가 있는데, 바로 원피스의 [[깅]]이다. 깅 역시 잊혀진 기간이 피죤투와 엇비슷한 20년이라서 [[:파일:깅1.jpg|피죤투랑 같이 엮였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kemonanimation&no=210081|해외에서도 유명한 밈]]이다. 일본에서는 니코동이나 2ch 등지에서는 '피죤 씨', '팔콘'.[* [[유희왕]]의 [[바쿠라 료]] 성우가 지우와 [[마츠모토 리카]]로 동일하기에 생긴 [[성우 개그]]로, [[비행현자 팔코스]]를 말한다. 바쿠라가 카드명을 외치는 장면이 '팔콘!(ファルコーン!)'으로 들리고 이게 포켓몬스터 관련 MAD에서 쓰이면서 그대로 새 포켓몬들, 특히 피죤투의 별명이 되었다.]이라 불리며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구미권에서는 아예 한술 더 떠서 '피죤투가 왜 복귀하지 못했는가?'를 주제로 토론까지 할 정도다. 더 비참한건 공식에서도 유기 밈을 의식한건지는 몰라도, 피죤투의 재등장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듯한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가령 DP 극장판 예고편이나 베스트위시의 과거 회상, W 20화에 지우가 아이들을 데리고 지나가는 피죤과 피죤투 무리가 지나갈 때 도감으로 피죤을 설명하고 다음 피죤투 차례일 때 하필 시합 신청이 들어와 지우의 피죤투 이야기를 잠시 기대했던 사람들 통수치는 듯한 전개가 일어나는 것이 그 예. 이쯤되면 지우의 피죤투로 페이크 치는 것을 제작진들이 즐기는 것이 아니냐는 말도 있었다. 워낙 밈이 유명하다 보니 포켓몬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각 세대별 한지우의 비행타입 포켓몬 6마리의 인기투표를 시행하면서 피죤투에 해시태그로 장난치기도 했다. [[https://www.instagram.com/p/CQzczg2DOZh/|#]][* 해시태그 전문: #포켓몬스터 #포켓몬애니 #포켓몬 #나의최애 #TV시리즈 #비행타입 '''#[[피죤투]] #지우야 #기다리고있어''' #[[야부엉]] #[[스왈로]] #[[찌르호크]] #[[켄호로우]] #[[파이어로]] ] 결국 상술한대로 [[내 꿈은 포켓몬 마스터]] 마지막화에서 재등장하여 피카츄를 구하는 맹활약을 하고 지우의 포켓몬으로 돌아오면서 지우와 피카츄의 최종장을 화려하게 장식하였고 피카츄를 제외한 지우의 포켓몬중 마지막으로 등장한 영예를 누린만큼 그동안 놀림받은 것에 대한 보상을 확실하게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작품 외적으로는 똑같이 잊혀진 캐릭터 취급이라는 공통점 때문인지 뜬금없이 [[원피스(만화)|원피스]] 팬덤 내에서 [[깅]]과 엮는 밈이 존재하기도 했다. 이른바 '''깅피대전'''. 둘 다 20년이 넘도록 감감무소식이었던 탓에 둘 중 누가 먼저 작품에 다시 나오는지 치열한 대결구도를 이은 적이 있으나, 피죤투가 애니메이션 마지막에 지우의 포켓몬으로 돌아온 데 반해 깅은 아직도 모습을 드러내지 못한 탓에 '''결국 이 싸움은 피죤투의 승리로 끝나게 되었다'''.[* 훗날 드라마판 5화에서 등장하긴 했지만 거기선 돈 클리크가 미호크에게 털린 것으로 나오고, 깅은 얌전히 밥만 먹고 가는 걸로 바뀌었다.] === 복귀가 늦었던 이유? === 피죤투가 왜 오리지널이 끝날 때까지 복귀하지 못했는지는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팬덤 사이에서 간간히 회자되는 소재다. 여기에 제작진은 피죤투가 왜 복귀하지 못했는지에 대해 어떠한 공식 입장을 내놓은 적이 없기 때문에 더더욱 의문이 갈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팬덤에서는 [[GS볼]]이 [[미회수 떡밥]]으로 전락한 걸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꼽고 있다. 지우가 피죤투랑 헤어지기 전에 언급한 심부름은 GS볼의 조사를 마치는 것이었다.[* 오래된 애니메이션이라 일부 팬들은 심부름을 체육관/리그 도전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원래 이 GS볼과 관련해서 [[세레비]]가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3기까지만 예정되어 있었던 극장판은 그 뒤로도 계속 만들어졌고, 세레비가 4기 극장판인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의 주역으로 등장하면서 애니메이션에서 GS볼은 용도가 사라져 버려 [[강집]]에게 맡겨진 이후 아무런 언급조차도 안 나온 채로 오리지널이 종영되어서 결국 미회수 떡밥으로 끝나버렸다. == 전적 및 사용 기술 == 사용기술은 [[바람일으키기]] / [[전광석화]] / [[모래뿌리기]] / [[날려버리기]] / [[날개치기]] / [[이판사판태클]] ||<-100> '''전적''' || ||<-100> '''무인''' || ||<-100> 3화에서 한지우에게 포획[* 상대는 [[피카츄(한지우)|피카츄]]] || || EP || 상대 || 트레이너 || 비고 || 결과 || || 4 || [[뿔충이]] || 야생 || 포획 || 무[* 사무라이 소년의 난입으로 [[뿔충이]]가 도망감, 나중에 유기밈이 나올때 시간이 너무 지나 비행타입이 벌레타입에게 무승부 당했다는 식으로 왜곡되었고 지우가 버려도 킹정이라는 반응이 생겼다.] || || 4 || [[쁘사이저]] || 사무라이 소년 || - || 패 || || 5 || [[꼬마돌]] || 웅 || 체육관전 || 패 || || 7 || [[아쿠스타]] || 이슬 || 체육관전 || 승 || || 8 || [[꼬렛]] || 엑스트라 || - || 승 || || 8 || [[고지(포켓몬스터)|모래두지]] || 아키라 || - || 패 || || 32 || [[도나리]] || 독수 || 체육관전 || 패 || ||<-100> 83화에서 피존투로 진화 그리고 지우가 놓아줬으나 [[포켓몬스터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11화에서 다시 지우의 포켓몬으로 돌아옴 || ||<-100> 7전 2승 4패 1무 승률 0.333 || == 전투력 == 승률은 낮아 보이지만 첫 비행 멤버로서 역할을 톡톡히 했던 초기 지우를 캐리한 공신 중 하나이다.[* 버터플의 경우에는 피죤이 포획된 후 진화했다.] 지우가 8번째 뱃지를 받는 역전 공신이기도 했다. 버터플과는 다르게 리그 때까지 파티에 남아있었으나 아쉽게도 리그 출전 기록은 전혀 없다. 하지만 로켓단으로 인해 배틀에 늦을 뻔 한 지우를 경기장에 통째로 옮겨줌으로서[* 진화도 하지 않은 피죤이었다.] 지우의 실격패를 막았다. 피죤투로 진화한 이후에는 피죤 시절보단 강해졌지만 진화한 후 지우가 놓아주면서 깨비드릴조를 이긴 거 외에는 배틀을 하지 않아 정확한 전투력은 알 수 없다. [[분류:한지우/소유 포켓몬]][[분류:포켓몬스터/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