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시리즈 [목차] == 개요 == [[피렉시아]]에 의해 개조되고 감염되어 타락한 플레인즈워커들의 카드화를 다루는 문서. [[진보의 폭군, 진-기탁시아스]]에 의해 피렉시아의 기름이 플레인즈워커들을 감염시킬 수 있게 되며 탄생하게된 존재들이다. 본디 플레인즈워커의 스파크는 영혼이 없는 존재에는 점화하지 못하기에 영혼이 없는 존재인 피렉시안들은 플레인즈워커가 될 수 없었으나, 기탁시아스는 영혼이 실물인 '카미'로 구현화된 세계인 카미가와에서 연구를 계속하여 영혼이 없는 피렉시안에 플레인즈워커의 스파크를 보존할 수 있게되는 방법을 찾고만다. 이 결과로 [[뉴 피렉시아]]의 기름은 플레인즈워커들을 그대로 감염시킬 수 있도록 발전되었고,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에서는 이에 당하여 완벽화된 피렉시안 플레인즈워커들이 등장한다. 피렉시안 플레인즈워커들은 공통적으로 '''"완성됨 (Compleated)"''' 능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피렉시안 플레인즈워커를 상징하는 피렉시아 마나를 사용함으로써 충성도를 두 개 감소시키는 디버프 능력이다. == 목록 == === [[카미가와: 네온 왕조]] === * [[완성된 현자, 타미요]] (Tamiyo, Compleated Sage) ===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 === * [[Ajani, Sleeper Agent|잠입 요원, 아자니]] (Ajani, Sleeper Agent) ===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본 세트의 피렉시안 플레인즈워커들은 전부 과거 등장한 카드의 아트 구도를 재현하고 있다. 5장 모두 일반판 아티스트는 [[아몬케트]]의 신들을 그린 Chase Stone. ==== Jace, the Perfected Mind ==== || '''영어판 명칭''' || '''Jace, the Perfected Mind''' ||<|6> [[파일:피렉시아_제이스.png|width=240]]|| || '''한글판 명칭''' || '''완벽해진 정신, 제이스''' || || '''마나비용''' ||<:><#0000ff>{{{#ffffff {2}{U}{U/P}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플레인즈워커]] — [[제이스 벨레렌|제이스]] || ||<-2>'''완성됨''' ({U/P}는 {U}, 또는 생명 2점으로 지불할 수 있다. 생명점이 지불되었다면, 이 플레인즈워커는 충성 카운터를 두 개 적게 가지고 들어온다.) ------ +1: 생물을 최대 한 개까지 목표로 정한다. 당신의 다음 턴까지, 그 생물은 -3/-0을 받는다. ------ -2: 플레이어를 목표로 정한다. 그 플레이어는 카드 세 장을 민다. 그 후 한 무덤에 카드가 스무 장 이상 있다면, 당신은 카드 세 장을 뽑는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카드 한 장을 뽑는다. ------ -X: 플레이어를 목표로 정한다. 그 플레이어는 X의 세 배만큼 카드를 민다. || || '''충성도''' || 5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미식레어 || 아트 구도는 [[Jace, the Mind Sculptor]]를 재현하고 있다. 스포일러 시절에는 효과가 그 갓제의 발끝만치도 못 따라간다고 투덜대던 사람들이 많았지만, 밀덱에서는 갓제를 뛰어넘는 아주 좋은 카드라는 것이 판명되면서 오히려 모던에선 퇴물이 된 갓제가 안보이는 것과는 반대로 밀덱에서는 보인다. 아니메 버전 얼터 아트에서는 제정신일때 엘스페스에게 룩시오르로 찔리고 사망한 후, 엘레쉬 노른에게 피렉시안으로써 부활당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 Vraska, Betrayal's Sting ==== || '''영어판 명칭''' || '''Vraska, Betrayal's Sting''' ||<|6> [[파일:피렉시아_브라스카.png|width=240]]|| || '''한글판 명칭''' || '''배신의 독침, 브라스카''' || || '''마나비용''' ||<:><#000000>{{{#white {4}{B}{B/P}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플레인즈워커]] — [[브라스카]] || ||<-2>'''완성됨''' ({B/P}는 {B}, 또는 생명 2점으로 지불할 수 있다. 생명점이 지불되었다면, 이 플레인즈워커는 충성 카운터를 두 개 적게 가지고 들어온다.) ------ 0: 당신은 카드 한 장을 뽑고 생명 1점을 잃는다. 증식한다. ------ -2: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T}, 이 마법물체를 희생한다: 원하는 색의 마나 한 개를 추가한다."를 가진 보물 마법물체가 되고 다른 모든 카드 유형 및 능력을 잃는다. ------ -9: 상대를 목표로 정한다. 그 상대가 독 카운터를 아홉 개 미만으로 가지고 있다면, 상대는 그 차이만큼 독 카운터를 얻는다.|| || '''충성도''' || 6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미식레어 || 아트는 [[보이지 않는 자 브라스카]]를 재현하고 있다. 0은 기본적으로 [[거미 여왕, 롤스|롤스]]의 강화판스러운 효과인데다, -2로 방호 이외에는 저항할 수 없는 생물 디나이얼을 5마나로 나왔을 때 기준 두 번이나 맨땅에서 날려줄 수 있기 때문에 흑색 베이스의 컨트롤 덱이 자주 기용하는 카드. 궁극기는 여전히 승부와 직접 연관되는 댓가로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는 능력이나, 본 세트에서 주로 활용되는 증식 메카니즘과 연계할 수 있어 이전 버전들에 비해 훨씬 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독 메카니즘을 전혀 활용하지 않는 덱에서도, 당장 브라스카로 궁을 켠 후 새로 브라스카를 내서 0을 지르거나 미렉스로 만든 진드기로 한 대 때리면 그대로 킬각이 나온다. ==== Nissa, Ascended Animist ==== || '''영어판 명칭''' || '''Nissa, Ascended Animist''' ||<|6> [[파일:피렉시아_니싸.png|width=240]]|| || '''한글판 명칭''' || '''승천한 정령숭배자, 니사''' || || '''마나비용''' ||<#0f0><:>{{{#black {3}{G}{G}{G/P}{G/P}}}||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플레인즈워커]] — [[니사 레베인|니사]] || ||<-2>'''완성됨''' ({G/P}는 {G}, 또는 생명 2점으로 지불할 수 있다. 생명점으로 지불한 {G/P} 한 개당, 이 플레인즈워커는 충성 카운터를 두 개 적게 가지고 들어온다.) ------ +1: X/X 녹색 피렉시아 괴수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X는 승천한 정령숭배자, 니사의 충성도이다. ------ -1: 마법물체 또는 부여마법을 목표로 정한다. 그 목표를 파괴한다. ------ -7: 턴종료까지, 당신이 조종하는 생물들은 당신이 조종하는 숲 한 개당 +1/+1을 받고 돌진을 얻는다.|| || '''충성도''' || 7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미식레어 || 유일하게 피렉시아 마나를 두 개 지닌 카드. 완성됨의 능력은 피렉시아 마나 한 개당 로얄티를 두 개씩 까버리기 때문에, 만약 피렉시아 마나 두 개를 모두 생명점으로 지불했다면, 니사는 로얄티를 4나 까야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1을 쓰면 5마나로 충성도 4짜리 니사와 4/4 생물 하나를 만들고 시작하므로 최소한의 자기 보호능력은 갖추고 있다. 한편 모든 피렉시아 마나를 제값 주고 발동했을 경우, [[젠디카르의 동맹 기디온|나오자마자 궁극기를 지를 수 있다.]] 참고로 생물의 능력치는 소환되었을때의 니사의 충성치만을 따른다. 따라서 니사에게 피해를 주거나 제거하더라도 생물은 공방이 떨어지거나 죽진 않는다. -1의 성능은 비용치고 나쁘지만 +1이 좋기에 -1은 없는 것보단 나은 보조 역할이다. 궁극기는 7코스트로 내고 내자마자 이길 수도 있게 만들지만 상황을 타는게 단점. 중반에 나와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 강한 토큰을 뽑고, 여차하면 성가신 부여마법이나 마법물체를 제거할 수도 있는데다 게임이 끌릴 때 [[분화구발굽 거대괴물]]처럼 피니셔로 쓸 수도 있어서 스탠 골가리 미드가 한 두장 정도 투입한다. 아트는 [[세계를 뒤흔드는 자, 니사]]를 재현하고 있다. 다른 카드들과 다르게 유일하게 원본 레어도가 레어인 카드. 일러스트레이터의 말에 따르면 원래 머리카락을 그릴 예정이었다고 하나, 막상 대머리 모습이 마음에 들어서 빡빡이 상태로 놔두었다고 한다. ==== Lukka, Bound to Ruin ==== || '''영어판 명칭''' || '''Lukka, Bound to Ruin''' ||<|6> [[파일:피렉시아_루카.png|width=240]]|| || '''한글판 명칭''' || '''파멸의 길을 걷는 자, 루카''' || || '''마나비용'''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ff00, #ff0000)" {{{#ffffff {2}{R}{R/G/P}{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플레인즈워커]] — [[구리 코트 추방자, 루카|루카]] || ||<-2>'''완성됨''' ({R/G/P}는 {R}, {G}, 또는 생명 2점으로 지불할 수 있다. 생명점이 지불되었다면, 이 플레인즈워커는 충성 카운터를 두 개 적게 가지고 들어온다.) ------ +1: {R}{G}를 추가한다. 이 마나는 생물 주문을 발동하거나 생물의 능력을 활성화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1: 독성 1을 가진 3/3 녹색 피렉시아 야수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 -4: 생물 및/또는 플레인즈워커를 원하는 수만큼 목표로 정한다. 루카는 그 목표들에게 피해 X점을 당신이 분배한 대로 입힌다. X는 당신이 이 능력을 활성화하면서 당신이 조종하고 있던 생물들 중 가장 높은 공격력을 가진 생물의 공격력이다. || || '''충성도''' || 5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미식레어 || -4 능력에는 X 값이 "능력을 활성화한 순간"에 결정된다는 단서 조항이 붙어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생물덱이 아니면 제 성능을 못내는 주제에 생물덱조차 이런 쓰레기는 안 쓴다. 아트는 [[구리 코트 추방자, 루카]]를 재현하고 있다. 하지만 구부정한 자세 때문에 그다지 비슷해 보이지는 않는다. 허접한 성능만큼이나 스토리도 최후도 허접하다. [[기계군단의 행진]]에서 이코리아를 정복하겠다고 하면서 "거기서 뭘 얻을 수 있냐"는 [[엘레쉬 노른]]의 물음에 이코리아의 괴수들을 합류시킬 수 있다는 식의 허접한 대답[* 당장 [[아자니 골드메인]]이 테로스의 필멸자들을 피렉시안으로 만들면서 그 신앙에 직접 영향을 받는 '''테로스의 신들까지 피렉시안으로 만든''' 크나큰 성과를 이룬 것과 대조된다.]으로 노른에게도 불신을 사고[* 참고로 [[오조리스]] 때문에 이코리아의 괴수들은 피렉시아화에 저항력이 있다. 그야말로 헛수고(...)] 타미요한테는 "쟤 이코리아에서 죽을 듯요" 하고 대놓고 까이기도 했으며(...), 실제로 이코리아에서도 별 활약도 못 하고 바드로크와 비비안에게 당해 죽었다고 한다. 피렉시아에서 카드화된 5인방 중 혼자서 사망. ==== Nahiri, the Unforgiving ==== || '''영어판 명칭''' || '''Nahiri, the Unforgiving''' ||<|6> [[파일:피렉시아_나히리.png|width=240]]|| || '''한글판 명칭''' || '''용서하지 않는 자, 나히리''' || || '''마나비용'''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00)" {{{#fff {1}{R}{R/W/P}{W}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플레인즈워커]] — [[나히리]] || ||<-2>'''완성됨''' ({R/W/P}는 {R}, {W}, 또는 생명 2점으로 지불할 수 있다. 생명점이 지불되었다면, 이 플레인즈워커는 충성 카운터를 두 개 적게 가지고 들어온다.) ------ +1: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당신의 다음 턴까지, 그 생물은 가능한 한 매 전투마다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1: 카드 한 장을 버린 후, 카드 한 장을 뽑는다. ------ 0: 당신의 무덤에 있는 마나 값이 나히리의 충성도보다 적은 생물 또는 장비 카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카드를 추방한다. 그 카드의 복사본인 토큰 한 개를 만든다. 그 토큰은 신속을 얻는다. 다음 종료단 시작에 그 토큰을 추방한다. || || '''충성도''' || 5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미식레어 || 아트는 [[고대인들의 계승자, 나히리]]를 재현하고 있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플레인즈워커]][[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