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7F01B {{{+2 '''플루토에서 아침을'''}}} (2005) [br] ''Breakfast On Plut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eakfast on Pluto.jpg|width=100%]]}}} || ||<-2> {{{#f7f01b,#191919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해외 포스터 ▼ [[파일:Breakfast on pluto.jpg|width=100%]] }}}}}}}}} || || {{{#ccffff '''장르'''}}} ||[[코미디]], [[드라마]], [[퀴어]]|| || {{{#ccffff '''감독'''}}} ||[[닐 조단]]|| || {{{#ccffff '''제작'''}}} ||[[닐 조단]][br]엘런 맬러리[br]스테판 울리|| || {{{#ccffff '''각본'''}}} ||[[닐 조단]]|| || {{{#ccffff '''원작'''}}} ||패트릭 맥케이브의 소설 Breakfast On Pluto|| || {{{#ccffff '''출연진'''}}} ||[[킬리언 머피]][br][[리암 니슨]][br][[스티븐 레이]][br][[브렌던 글리슨]] 외|| || {{{#ccffff '''음악'''}}} ||애나 조던|| || {{{#ccffff '''촬영'''}}} ||데클런 퀸|| || {{{#ccffff '''편집'''}}} ||토니 로슨|| || {{{#ccffff '''제작사'''}}} ||[[파테|[[파일:1200px-Pathe_logo.svg.png|width=50]]]]|| || {{{#ccffff '''배급사'''}}} ||[[소니 픽처스 클래식|[[파일:Sony Pictures Classics_logo.png|width=110]]]][br][[파테|[[파일:1200px-Pathe_logo.svg.png|width=50]]]]|| || {{{#ccffff '''개봉일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07년]] [[5월 4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05년]] [[9월 3일]]|| || {{{#ccffff '''러닝 타임''' }}} ||128분|| || {{{#ccffff '''북미 박스오피스''' }}} ||'''$828,699''' (최종)|| || {{{#ccffff '''월드 박스오피스''' }}} ||'''$3,942,254''' (최종)|| || {{{#33cccc,#32cbcc '''[[영상물 등급 제도|{{{#ccffff 국내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px]]]]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 '''{{{#ccffff 해외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2.5px]]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Breakfast On Pluto 2005년에 개봉한 [[킬리언 머피]] 주연의 영화. 동명의 소설을 감독인 [[닐 조단]]이 각본한 영화로, MTF [[트랜스젠더]]의 삶을 다루고 있다. 영화는 36개의 챕터 형식으로 진행된다.[* 챕터 하나하나가 그렇게 길지 않다.] 2008년 10월 12일에 [[KBS 1TV]] [[명화극장]]로 방영했다.[* 하지만 방영 시간은 새벽 1시 [[암흑 시간대|암흑 시간]]에 방영했으며 이후 재방송도 하지 않았다.] == 시놉시스 == >'''Hey ,You! 나와 사랑에 빠져 볼래요?''' 장미와 캔디 그리고 미니스커트, 모피, 스타킹, 샤넬 No.7… 이게 다 뭐냐고요? 모두, 제가 사랑하는 것들이랍니다. 전 남자아이에요. 여자가 되고 싶은… 이름은 패트릭이죠. 하지만 그냥 키튼이라 불러 주세요. 전 그 이름이 좋거든요. 전 갓난 아기였을 때 성당 앞에 버려졌어요. 저를 버린 엄마는 아마 제가 이렇게 섹시한 여자로 자란 걸 보면 좀 후회할 지도 모르죠. 저는 엄마를 ‘유령 숙녀’라 부른답니다. 엄마는 잠들지 않는 도시 런던이 삼켜버렸대요. 전 어렸을 때 그 이야기를 들었고, 어느 날 유령 숙녀를 찾으러 런던으로 떠날 결심을 했답니다. 런던은 사실, 최악이었어요. 런던엔 심각한 일들만 가득한 거 같아요. 그렇다고 우울해할 제가 아니죠. 전 딱딱한 건 질색이거든요. 제가 과연 유령 숙녀를 찾을 수 있을까요? 이 길고 긴 여행을 마치면 달콤하고 평화로운 아침을 먹을 수 있을까요? 제 이야기의 끝을 두고 내기를 걸어보는 건 어때요? 일단 나는 해피엔딩에 나의 소중한 한표를 던지죠~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8944943)]}}} || == 줄거리 == 영화는 공사현장의 인부들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 공사현장을 유모차를 밀며 지나가는 한 여성이 있는데 어느 인부가 여성을 키튼이라 부르며 추파를 던진다. --[[무슨 지거리야]]-- 키튼이라고 불린 여성은 유모차 안의 아기에게 키튼이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받던 화려한 스타였다고 말해준다. 그러면서 본인은 태어난 뒤 어느 집 앞에 버려졌었다는 말을 하며 본인의 출생의 비밀을 아는것은 날아다니는 울새들 뿐이라고 말한다.[* 이 영화에는 울새가 두 마리가 나오는데 --2005년도의 CG를 감상해보자-- 중간중간에 나와서 나래이션 같은 대화를 몇 번 하며 영화 진행을 도와(?)준다. --거의 조연급--] 그렇게 영화는 챕터 1이 시작된다. 성당 앞에 어느 여성이 다가와 아기가 있는 바구니를 내려놓고는 노크를 두어번한 뒤 돌아서서 나가버린다. 그리고 심란해하는 리암 신부가 나오고 앵글은 울새들의 대화로 넘어간다. 울새들은 밋지 게이너라는 금발 영화 배우를 닮은 성당에서 일하던 여성이 나가서 신부가 심란해하는건가 하는 등의 말을 한다. == 한국판 성우진(KBS) == * [[김승준(성우)|김승준]] - 패트릭([[킬리언 머피]]) * [[장광]] - 리엄 신부([[리암 니슨]]) * [[김정애]] - 로렌스(세뮤얼 라일리) * [[안경진]] - 캐롤린(샬린 맥케나) / 교사(라이낙 오그래디) * [[김옥경]] - 브래이든 부인(루스 맥케이브) / 나이트클럽 여인(앤토니아 캠벨휴즈) / 가정부(메리 코클란) * [[차명화(성우)|차명화]] - 엘리(에바 버시슬) / 패트릭의 이복동생(시드 영) * [[이재용(성우)|이재용]] - 버티([[스티븐 레이]]) / 발리의 친구(이몬 오웬) / 교사(팻 맥케이브) * [[김관진(성우)|김관진]] - 발리(게빈 프라이데이) / 나이트클럽 남자([[도미닉 쿠퍼]]) * [[이선(성우)|이선]] - 찰리([[루스 네가]]) / 어린 패트릭(코너 맥케보이) * [[이장원(성우)|이장원]] - 교장(오웬 로우) / 형사(스티븐 워딩턴) * [[고재균]] - 존([[브렌단 글리슨]]) / 주교(톰 힉키) / 아나운서 * [[변현우(성우)|변현우]] - 어윈(로렌스 킨런) / 월리스 형사([[이안 하트]]) / 불량배(리엄 커닝엄) / 발리의 친구(시아란 놀란) * 우리말 연출: [[하인성(PD)|하인성 PD]]([[KBS 미디어]]) == 여담 == 주인공 역을 맡은 킬리언 머피는 역할 공부를 위해 실제 [[드랙퀸]]으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2007년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아카데미상(IFTA Award)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분류:2005년 영화]][[분류:영국의 코미디 영화]][[분류:아일랜드의 코미디 영화]][[분류:영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아일랜드의 드라마 영화]][[분류:영국의 퀴어 영화]][[분류:아일랜드의 퀴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