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white Plains to Hill}}}''' || || [[파일:attachment/oldPlainstohill.jpg|width=100%]] || [[파일:플투힐.png|width=100%]] ||[[파일:attachment/Plainstohill.jpg|width=100%]] || [[파일:attachment/PlainstohillD.jpg|width=100%]] || || '''정글 1.00 버전''' || '''정글 1.07 버전''' || '''정글 2.1 버전 ''' || '''데저트 버전''' || ||<#FF2400><:><-4> '''맵 정보''' || ||<:> '''사이즈''' ||<-3> 128 × 128 || ||<:> '''인원수''' ||<-3> 4인용 || ||<:> '''타일셋''' ||<-3> Jungle World[* 1.07/2.1버전], Desert[* Desert 버전] || ||<-4><#FF2400> '''{{{#white 이 맵이 사용된 공식대회}}}''' || ||<-4> [[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s-3.1|2001 KPGA 10월 대회]] [br] [[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s-3.1|2001 KPGA 11월 대회]] [br] [[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s-3.1|한빛소프트배 2001 위너스 챔피언십]] [br] [[2002 KPGA 투어 1차 리그]] [br]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 [br] [[펩시 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 리그]] [br]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br] [[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s-4.2|2003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br] [[팀리그#s-2.1.1|계몽사배 KPGA 팀리그]](Desert 버전) [br] [[팀리그#s-2.1.2|라이프존 KPGA 팀리그]](Desert 버전) [br] [[KT-KTF 프리미어 리그#s-3.1|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Desert 버전) || ||<-4><#FF2400> '''{{{#white 종족별 밸런스}}}''' || ||<-3> 테란 : 저그 || 120:94 || ||<-3> 테란 : 프로토스 || 49:53 || ||<-3> 저그 : 프로토스 || 65:66 || 과거 [[MBC GAME]]이 [[MBC GAME 스타리그|MSL]]의 전신인 KPGA 투어를 주관할 때 사용했었던 맵이다. 타일셋은 정글이었으나 [[팀리그#s-2.1.1|계몽사 KPGA 팀리그]]부터 데저트 타일셋로 바뀐다. 제작자는 [[장재혁(동명이인)#s-5|장재혁]] PD(Sir Lupin).[* 정글 버전 한정] 1, 5, 7, 11시 외진 곳에 스타팅 포인트가 있으며, 각 스타팅 포인트에서 중앙으로 약간 진출한 부분의 언덕 위에 멀티기지가 있다. 중앙에 힘싸움을 할 수 있는 아주 큰 평지가 존재하며 평지에서 각 언덕 위 멀티에 대한 공략이 가능하다. 그외 12, 3, 6, 9시에 섬멀티가 있다. 맵 이름과 그 특성이 상당히 조화로운데, 이름 그대로 언덕 위에 있는 멀티를 먹어야 어느 정도 싸울 만하기 때문이다. 아니 애초에 언덕 멀티가 앞마당이다. 안 먹고 이기려야 이길 수가 없다. 오리지널 버전은 멀티기지 빼고는 전부 다 지형이 낮았으며, 본진에서 멀티 입구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2.03으로 버전업하면서 다리를 빼고 본진쪽에 조그마한 언덕을 추가하였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밸런스가 딱딱 맞는 편이었다. 심지어 테란판이었던 시대에 정글 버전은 [[인디안 라멘트]]와 더불어 테프전에서 토스가 테란을 상대로 32승 18패를 기록했다. 심지어 저프전 밸런스까지 저그 35:30 프로토스로 거의 대등하다. 이후 데저트판으로 바뀌어서 또 쓰였지만, 이때부터는 [[테란맵]]으로 악명을 떨치게 된다.[* 테란 59:37 저그, 테란 31:21 프로토스.] 타일셋과 12시, 6시 가스가 삭제되었으며, 정글 버전에서 사용하지 않던 미네랄 타입 3이 사용이 된 것뿐인데 결정적으로 중앙부에 건물을 지을 수 없었던 정글버전과는 달리 사막버전은 중앙에 건물 건설이 가능해져서 [[미사일 포탑|미사일 터렛]]을 박기가 가능해졌기 때문. 사실 자신의 앞마당에 엎어지면 상대 앞마당으로 시즈탱크가 포격 가능한 거리이고 배럭 하나로 입구가 막히는 맵인데 이렇게 밸런스가 정글 버전을 쓰는 2년 동안 유지됐다는 게 신기할 지경이다. 아마 KPGA 4차 이후로 [[이윤열]]-[[김현진(e스포츠)|김현진]]-[[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에 의해 [[더블 커맨드]]가 보편화된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 시절이야 [[잃어버린 사원#s-1|로스트 템플]]이 국민맵이던 시절이기 때문에 2010년대 이후에 보면 테란맵이라고 까일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이런 맵에서 맵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기 보다는 프로게이머들이 다양한 수를 연구해 밸런스를 뒤집기도 했다. [[홍진호]]의 도망자저그나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의 양섬 먹고 목동저그, [[강민]]의 다수 셔틀 운용 등등 다양한 전략이 나와 트렌드를 이루던 시절로, 로템형 힘싸움맵을 만드는 점이 독특한 컨셉을 좋아하던 [[OGN|온게임넷]]과 차별화된 요소로 받아들여졌다. MBC GAME의 광활한 센터맵의 시발점인 맵으로 생각외로 오래 사용되었다.[* KPGA TOUR 월별대회~2002 KPGA TOUR 4차리그/계몽사 KPGA Team League/라이프존 KPGA Team League/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에서 쓰였다. 총 3년을 쓴 셈. 그나마 이와 맞먹는 맵으로는 2년 반 동안 사용된 [[레퀴엠(스타크래프트)|레퀴엠]]이 있다.] 그리고 이윤열의 역사적인 리그 3연패를 마무리 지은 것도 이 맵.[* 조용호가 앞마당 언덕 앞에 해처리를 짓고 수비적으로 나오자 마린+메딕으로 스팀팩을 빨고 성큰을 무시하고 들어가 경기를 끝내버렸다.] 데저트 버전의 센터 터렛 박기가 악명을 높이며 테란맵화 돼버리자 MBC GAME은 그 이후 넓은 센터를 가진 맵은 전부 건물 건설 불가 타일을 깔아 터렛 박기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버렸다. 대표적인 예가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로, 이쪽은 입구에 두뎃을 박아 [[입구막기#s-1]]까지 봉쇄했다. 이 맵에서 나온 유명한 관광경기로는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이 [[기욤 패트리]]에게 당한 [[정찰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카웃]]관광이 있다.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