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플레시오사우루스}}}[br]Plesiosau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Plesiosaurus_in_Japan.jpg|width=100%]]}}} || ||<#F93> '''학명''' || ''' ''Plesiosaurus dolichodeirus'' '''[br]Conybeare, 1824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장경룡목^^Plesiosaur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플레시오사우루스상과^^Plesiosauroide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플레시오사우루스과^^Plesi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플레시오사우루스속^^''Plesi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플레시오사우루스 돌리코데이루스(''P. dolichodeirus'')^^{{{-1 [[모식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lesiosaurus_3DB.jpg|width=100%]]}}} || || 복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dolichodeirus.jpg|width=100%]]}}} || || [[런던]] 국립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플레시오사우루스 표본들 중 하나 || [목차] [clearfix] == 개요 == [[쥐라기]] 전기 [[영국]]에서 발견된 [[장경룡]]. 속명의 뜻은 '도마뱀에 가까운 것'이다. == 연구사 == [[중생대]] 바다에서 번성한 '''플레시오사우루스상과'''(Plesiosauroidea)를 대표하는 종으로, 한때 여러 종이 있었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모식종을 제외하고는 전부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1800년대의 고생물학자 [[메리 애닝]]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크티오사우루스]]의 발견과 함께 그녀의 명성을 드높여준 대발견이었다.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노아]]의 대홍수를 거치면서 멸종한 [[파충류]]의 일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lesioscale.png|width=100%]]}}} || || 사람과의 크기 비교도 || 몸길이는 2.87~3.5m에 몸무게는 185kg에 달하며, 넓고 납작한 몸과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 전후방으로 헤엄을 치거나 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노와 비슷한 커다란 사지를 이용했을 것이며, 현생 [[물개]]와 비슷한 삶을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Walking with Dinosaurs]]에서 묘사한 플레시오사우루스류 해양 파충류인 [[크립토클리두스]]가 마치 물개가 바닷가 육지에서 쉬는 것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실제 이런 습성이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목은 [[뱀]]처럼 길었으나 유연하지는 않았고[* 각 뼈마디마다 1~2도 정도만 구부릴 수 있었는데, 대신 목뼈가 최대 74개까지 있었기에 심각하게 뻣뻣한 수준은 아니었다.] 콧구멍은 두개골 뒤쪽의 눈 주변에 있었으며 구개는 단단한 편이었다. 어식성으로 턱에는 길고 날카로운 이빨이 있었으며, 물고기나 두족류 떼를 헤치면서 머리를 좌우로 휘둘러 잡아먹는 식으로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플레시오사우루스류 장경룡들이 점차 이러한 방식의 사냥에 특화되면서 후대로 갈수록 [[엘라스모사우루스]]처럼 훨씬 목이 긴 녀석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들은 같은 장경룡류인 '플리오사우루스상과(Pliosauroidea)' 집단이 백악기 초에 쇠퇴한 것과는 달리 백악기가 끝날 때까지 살아남았다. [[네시]]와 셀마를 비롯한 수생 [[크립티드]]를 생존한 플레시오사우루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플레시오사우루스가 지금까지 생존했을 가능성은 사실상 없으며 [[네시]]와 셀마는 호수에서 목격된 크립티드라서 해양에서 서식했던 플레시오사우루스와는 별개의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 == 등장 매체 == 플레시오사우루스가 장경룡 중에서는 대표적이라 할 정도의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서인지 게임이나 만화 등에서 모티브로 자주 쓰이며, 굳이 관련이 없더라도 플레시오사우루스와 비슷하게 붙여지기도 한다. * [[고고 다이노#s-5|고고다이노 공룡탐험대]] - 플레오(Pleo) * [[공룡메카드]] - 플레시오 * [[디지몬 시리즈]] - [[플레시오몬]] * [[먼 바다에서 온 COO]] - COO * [[MAZICA PARTY/애니메이션|MAZICA PARTY]] - 스플레시온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가노토토스]]의 영어명칭 Plesioth[* 단, [[가노토토스]]의 경우 어류를 모티브로 한 종으로, 플레시오사우루스나 장경룡과는 관계가 없다.] * [[뿌요뿌요!! 퀘스트]] Arcade - 플레시 * [[오모로이드]] - 글링크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플레시오네[* [[카트리느 비통]]의 로봇들 중 하나다.] * [[유희왕]] - [[기해룡 플레시온]] * [[퍼즐앤드래곤]] - [[퍼즐앤드래곤/몬스터 개요/드래곤|얼음용 뎁스 플레시오]] * [[포켓몬스터]] - [[라프라스]][* 정확히 말하면 [[네시]]가 모티브. 다만 네시 자체가 장경룡을 모델로 그려진다.], [[루기아]], 설정상으로만 존재하는 이름 불명의 화석 포켓몬[* 파치르돈, 어치르돈의 재료가 되는 화석긴목의 원본. 이 포켓몬에 대한 단서는 몸의 얼음에 먹이를 냉장 보관했다는 것 정도이다.] *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돗시]]'의 생김새와 '[[플레시(마리오 시리즈)|플레시]]'의 이름도 이 장경룡을 모티브로 했다. * [[슈퍼전대 시리즈]] 중 하나인 [[수전전대 쿄류저]]에서 플레시오사우루스 수전룡인 [[수전룡#s-2.9.|프레즈온]]이 등장하면서 시리즈 최초로 장경룡을 모델로 한 기체가 되었다. * [[스미코구라시]]에 등장하는 토카게도 몸의 색깔과, 생선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어(도마뱀으로 위장) 장경룡이 모티브인 것으로 추정된다. *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전시 가능한 생물로 나온다. * [[ARK: Survival Evolved]]에서는 [[장경룡]]을 뜻하는 'Plesiosaur'를 오역하여 플레시오사우루스로 굳어졌다. 도감상의 실제 표기는 [[엘라스모사우루스]]다.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수중생물#플레시오사우루스|플레시오사우루스]] 문단 참고. [[분류:고생물]][[분류:플레시오사우루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