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라오]][[분류:미라]] [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고대 이집트 제21왕조 제3대 파라오[br]{{{+1 프수센네스 1세}}}[br]Psusennes 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lden_Mask_of_Psusennes_I.jpg|width=100%]]}}} || ||<-3> {{{-2 프수센네스 1세의 황금 마스크}}} || ||<-2> '''이름''' ||프수센네스 1세(Psusennes I) || ||<-2> '''출생''' ||미상 || ||<-2> '''사망''' ||기원전 1001년 || ||<-2><|2> '''재위 기간'''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1047년 ~ 기원전 1001년[br]'''(약 46년)''' || ||<-2> '''전임자''' ||아메넴네수 || ||<-2> '''후임자''' ||[[아메네모페]] || ||<-2> '''부모''' ||[[아버지]] : 피네젬 1세[* 파라오가 아니라 [[테베]]의 아문 대신관이다.][br][[어머니]] : 헤누타위 || ||<-2> '''배우자''' ||무트노지메트, 위아이 || ||<-2> '''자녀''' ||[[아메네모페]] || ||<-2> '''무덤'''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제3중간기]] 제21왕조의 제3대 [[파라오]]. 46년이라는 기나긴 세월 동안 재위했지만 남긴 업적은 특기할만한 것이 없으며 그의 재위기간 내내 이집트는 몰락했다. 한가지 특이한 점으로 그의 무덤은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파라오들 중 유일하게 무덤이 도굴당하지 않은 사례]]'''인데,[* 그 [[투탕카멘의 무덤]]도 고대에 소규모로 몇 차례 도굴당했다.] 하필이면 침수가 잘되는 장소에 무덤을 지어 심각하게 파손되었을 뿐만 아니라 애초에 부장품도 별로 없는 초라한 무덤이어서 대중들에게 인지도는 거의 없다. '''은의 파라오'''라고 불리기도 한다. 독특하게도 무덤 내부에 있던 그의 관이 순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당시 고대 이집트에서는 은을 저멀리 [[시나이 반도]]나 외부에서 수입해와야 했기에 은이 가치가 굉장히 높았다. 따라서 비싼 은으로 관을 만들 여력이 있었다는 것 자체가 프수센네스 1세의 왕권이 다른 혼란기의 파라오들에 비해서 안정적이었다는 걸 의미한다. == 통치 == ||[[파일:Psusennes-Gold-Mask-Side-View.jpg|height=300]]||[[파일:tumblr_7d5e9fb2f151cae7063d24433730a175_aaf97021_500.jpg|height=300]]|| ||황금 마스크 ||프수센네스의 은제 관 || 한때 고대 이집트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황금기를 이끌었던 [[이집트 신왕국]]은 [[람세스 2세]] 사후 차차 쇠락하더니 결국 제20왕조 들어서는 약소한 왕권과 국력의 저하로 신음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파라오의 권위가 약해짐과 동시에 상이집트의 [[룩소르|테베]]를 중심으로 한 [[아문]]의 대신관들의 권력은 날로 강해졌고, 신왕국의 마지막 파라오 [[람세스 11세]] 시대에는 거의 한 나라 안에 두 정부가 있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 정도로 아문 신관들의 힘이 강력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람세스 11세가 30년의 재위를 끝마치고 사망하자 죽은 파라오의 장례를 집전한 스멘데스 1세가 왕위에 올라 제21왕조를 열었다. 그러나 스멘데스 1세를 포함해 제21왕조의 역사는 내내 파라오의 왕권 약화와 지방의 할거, 그리고 외세의 침략 등 부정적인 것들로만 가득했다. 스멘데스 1세가 새로운 파라오가 되기는 했으나 그의 영향력은 오직 하이집트 일대에만 머물렀고, 이집트 중부와 상이집트는 테베의 아문 신관들이 차지한 채 명목상으로만 파라오를 받들었다. 스멘데스 1세는 무려 26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분열된 이집트를 통치했고, 결국 테베의 신관과 상이집트를 다시 파라오의 권위에 되돌려놓지 못한 채 기원전 1052년 경에 사망한다. 스멘데스 1세가 죽자 아메넴니수가 잠깐 동안 재위했다가 바로 프수센네스 1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프수센네스 1세는 46년을 통치하였으나 별다른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 46년이라는 기나긴 세월 동안 천천히 이집트가 무너졌다는 것만 알려졌을 뿐 그의 재위기에 대해서 알려진 것도 딱히 없다. 그나마 그의 재위기에 [[타니스]] 주변에 거대한 성벽을 둘러 요새화시키면서 이집트의 수도가 완전히 [[멤피스]]에서 [[타니스]]로 옮겨졌다는 것 정도가 있다. 참고로 프수센네스 1세가 상대적으로 테베의 아문 대신관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기에 프수센네스 1세 사후 즉위한 [[아메네모페]] 역시 형식상으로나마 테베의 신관들에게 전 이집트의 군주로 인정받았다. 프수센네스 1세가 그나마 유명한 이유는 '''파라오들 중 유일하게 단 한번도 도굴당하지 않은 무덤의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슷하게 무덤의 발견으로 유명해진 [[투탕카멘]]과 달리 프수센네스 1세는 거의 아는 사람이 없는데, 이유는 프수센네스 1세의 부장품의 양이 너무나 적어서(...).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은 [[나일 강]] 하류의 침수가 잘되는 곳에 지어져 수 천년 동안 물이 찼다빠졌다를 반복하며 안의 목재 부장품들이 모두 썩어버렸다. 게다가 쇠락기 시절의 파라오였기에 애초에 부장품의 양도 별로 없었으며 질도 확연히 떨어진다. 심지어 신왕국 시대의 별볼일없던 파라오 투탕카멘보다도 훨씬 비참한 수준. 더 자세한 내용은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