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독일의 군인]][[분류:1705년 출생]][[분류:1781년 사망]][[분류:작센안할트 주 출신 인물]][[분류:독일의 귀족]] ||<-2> '''안할트데사우의 공자[br]{{{+1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오이겐}}}[br]Prinz Friedrich Heinrich Eugen von Anhalt-Dessau'''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iedrich_Heinrich_Eugen_von_Anhalt-Dessau_(1705-1781).jpg|width=100%]]}}} || || '''이름'''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오이겐 폰 안할트데사우[br](Friedrich Heinrich Eugen von Anhalt-Dessau)|| || '''출생''' ||[[1705년]] [[12월 27일]][br][[데사우]]|| || '''사망''' ||[[1781년]] [[3월 2일]] (향년 75세)[br][[데사우]]|| || '''아버지''' ||안할트데사우 공 레오폴트 1세|| || '''어머니''' ||아나 루이제 푀제|| || '''형제''' ||빌헬름 구스타프, 레오폴트 2세, 다이트리히, 헨리에테 마리 루이제, 루이제, [[모리츠 폰 안할트데사우|모리츠]], 아나 빌헬미네, 레오폴디네 마리, 헨리에테 아말리|| [목차] [clearfix] == 개요 == [[7년 전쟁]] 시기 작센군 기병대 [[지휘관]]. == 일생 == 오이겐은 안할트-데사우 가문의 분가인 아스카니아 가문 출신의 독일 왕자였다. 그는 1750년 12월 27일 프로이센의 유명한 장군인 안할트-데사우 공 레오폴트 1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또한 그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사촌이었다. 1717년, 오이겐은 12살의 나이에 흉갑기병 제6 연대 의 대위로서 프로이센군에 입대했다. 1722년, 오이겐은 소령으로 진급했고 1732년에 드래곤 제7연대 지휘관이 되었다. 이후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자, 오이겐은 라인강 전선에 참여해 1735년까지 전쟁에 임했다. 오이겐은 1735년 12월 23일부터 1740년 7월 7일까지 제1 후사르 연대의 지휘관으로 복무했다. 또한 1737년 12월 23일부터 흉갑기병 연대장으로서 복무했다. 1740년 소장으로 진급한 오이겐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발발 직후 슐레지엔을 침공한 프리드리히 대왕과 함께 했다. 그러나 1742년 5월 20일 크라노위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기병대에게 패퇴한 후 프리드리히 대왕으로부터 비난을 받은 그는 1744년 1월 8일 프로이센군을 떠나 오스트리아군에게 귀순하여 오스트리아군 최고 사령관 [[카를 알렉산더]]의 지휘 아래 라인강 전선의 자유 연대 지휘를 맡았다. 그가 귀순을 택한 경위에 대해서는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질책받은 것에 분노했다는 설,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총애를 잃자 오스트리아군에 들어가는 게 미래에 낫다고 판단했다는 설 등이 제기되지만 자세한 이유는 알 수 없다. 1746년 6월, 오이겐은 작센군에 입대하였고, 1749년 2월에 비텐베르크 총독이 되었다. 1749년, 오이겐은 슈바르츠부르크-손더하우센 흉갑기병 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죽을 때까지 이 연대를 지휘했으며, 1754년에는 기병대 장군으로 승진했다. 그러던 1756년 프리드리히 대왕의 프로이센군이 작센을 침공하자, 오이겐은 흉갑기병 1개 여단을 지휘해 이에 맞섰으나 중과부적으로 밀렸고 피르나에서 포위된 채 오스트리아군의 구원을 기다렸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구원대가 [[로보지츠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에게 패퇴하자, 결국 10월 16일 피르나에서 나머지 작센군과 함께 항복했다. 그는 자신과 다시 함께하자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요청을 거부하고 석방되었다. 1775년 1월, 오이겐은 작센군 원수로 승진했다. 그후 [[바이에른 계승 전쟁]]에서는 두비슬라프 폰 플라텐 장군의 프로이센 군단에 배속된 작센군을 지휘했다. 이후 1781년 3월 2일, 그는 데사우에서 사망했다. 향년 76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