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 ||<-2> '''{{{#ffc723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br]{{{+1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br]Friedrich Franz IV.,[br]Großherzog von Mecklenburg-Schwer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iedrich_Franz_IV.jpg|width=100%]]}}} || || '''이름''' ||프리드리히 프란츠[br](Friedrich Franz)|| || '''출생''' ||[[1882년]] [[4월 9일]][br][[이탈리아 왕국]] [[팔레르모]] || || '''사망''' ||[[1945년]] [[11월 17일]] (향년 63세)[br][[연합군 점령하 독일|독일국]] [[플렌스부르크]] || ||<|2> '''재위''' ||<#e7e7e7,#1f2023>[[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작위)|대공]] || ||[[1897년]] [[4월 10일]] ~ [[1918년]] [[11월 14일]] || || '''배우자''' ||하노버의 알렉산드라 공주 ,,(1904년 결혼),,[* [[크리스티안 9세]]의 외손녀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와 [[덴마크의 티라]]의 차녀이다.]|| || '''자녀''' ||프리드리히 프란츠,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올가, 티라, 아나스타시아|| || '''아버지'''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 || '''어머니'''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러시아의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 || '''형제''' ||[[알렉산드리네 아우구스테|알렉산드리네]], [[체칠리에 아우구스테 마리|체칠리에]]|| || '''종교''' ||[[루터교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마지막 [[대공(작위)|대공]].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9세]]와 독일 왕족 호엔촐레른 가문 수장 [[루이 페르디난트 폰 프로이센]]의 외삼촌이다. == 생애 == 1897년 4월 10일 15살의 나이에 대공이 되었다. 성인이 되기 전까지 삼촌 요한 알브레히트 공작이 섭정을 맡았다. 직접 국정을 보기 시작하면서 메클렌부르크의 헌법 개혁을 시도했지만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정부의 반대로 실패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의 보병대장이었다. 그러나 아무런 부대도 지휘하지 않았다. 1918년 2월 23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아돌프 프리드리히 6세]]가 [[자살]]하면서 [[섭정]]을 맡았다. [[독일 11월 혁명]]으로 대공위와 섭정직을 모두 잃었다. 이후 누나 [[알렉산드리네 아우구스테|알렉산드리네]]가 왕비로 있는 [[덴마크]]로 이주했다.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br]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br]{{{-2 (Friedrich Franz IV,[br]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6>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메클린부르크슈베린 대공[br]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br]{{{-2 (Friedrich Franz III,[br]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3>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br]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br]{{{-2 (Friedrich Franz II,[br]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 || [[파울 프리드리히|메클린부르크슈베린 대공[br]파울 프리드리히]][br]{{{-2 (Paul Friedrich,[br]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 || [[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의 알렉산드리네 공주[br]{{{-2 (Princess Alexandrine of Prussia)}}} || ||<|3> 로이스쾨스트리츠의 아우구스타[br]{{{-2 (Princess Augusta Reuss of Köstritz)}}} || || 로이스쾨스트리츠의 하인리히 63세[br]{{{-2 (Heinrich LXIII, Prince Reuss of Köstritz)}}} || ||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의[br]엘레오노레 여백작[br]{{{-2 (Countess Eleonore[br]of Stolberg-Wernigerode)}}} || ||<|7>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러시아 제국의[br]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br]{{{-2 (Grand Duchess[br]Anastasia Mikhailovna of Russia)}}} || ||<|3>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러시아 제국의[br]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br]{{{-2 (Grand Duke[br]Michael Nikolaevich of Russia)}}} || || [[니콜라이 1세]][br]{{{-2 (Nicholas I)}}} || || [[프로이센의 샤를로테|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of Prussia)}}} || ||<|3> [[바덴의 체칠리에|바덴의 체칠리에 공녀]][br]{{{-2 (Princess Cecilie of Baden)}}} || || [[레오폴트(바덴)|바덴 대공 레오폴트]][br]{{{-2 (Leopold, Grand Duke of Baden)}}} || || [[스웨덴의 소피아|스웨덴의 소피아 공주]][br]{{{-2 (Princess Sophie of Sweden)}}} || [[분류: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분류:유럽의 섭정]][[분류:메클렌부르크슈베린 가문]][[분류:망국의 군주]][[분류:1882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팔레르모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