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65년 출생]][[분류:1931년 사망]][[분류:독일 제국의 군인]][[분류: 호엔촐레른 가문]][[분류:독일의 공작]][[분류:베를린 출신 인물]]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 '''{{{#fff 독일 제국군 상급대장[br]{{{+1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폰 프로이센}}}[br]Friedrich Leopold von Preußen}}}'''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jpg|width=100%]]}}} || ||<#666> {{{#FFF 이름}}} ||<(>'''Joachim Karl Wilhelm Friedrich Leopold'''[br]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br]↓[br]'''Friedrich Leopold von Preußen'''[br]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폰 프로이센[*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이후 [[독일 제국]]의 황족들은 기존의 성씨 대신 '프로이센'을 성씨로 쓰게 되었다.] || ||<#666> {{{#FFF 출생}}} ||<(>[[1865년]] [[11월 14일]][br]{{{-1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 ||<#666> {{{#FFF 사망}}} ||<(>[[1931년]] [[9월 13일]](향년 65세)[br]{{{-1 [[바이마르 공화국|독일국]] [[서프로이센#s-2.3|포젠-서프로이센 변경주]][br] 플라토郡 크로얀케 (現 폴란드)}}} || ||<#666> {{{#Fff 배우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의 공녀 루이제 조피[* [[빌헬름 2세]]의 황후 [[아우구스테 빅토리아]]의 여동생이다.][br],,(1889년 결혼/1931년 사망),,|| ||<#666> {{{#FFF 자녀}}} ||<(>빅토리아 마르가레테, 프리드리히 지기스문트, 프리드리히 카를,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666> {{{#FFF 아버지}}} ||<(>[[프리드리히 카를 니콜라우스|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카를 왕자]] || ||<#666> {{{#FFF 어머니}}} ||<(>안할트데사우의 마리아 안나|| ||<#666> {{{#FFF 형제}}} ||마리, 엘리자베트, 안나, [[루이제 마르가레테]]|| ||<#666> {{{#FFF 복무}}} ||<(> [[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width=25]] [[독일 제국군]](1875년 ~ 1918년) || ||<#666> {{{#FFF 최종 계급}}} ||<(>[[파일:KHeer_OF9_GenOberst_(Bayern)_1918.gif|width=35px]] 상급대장 || ||<#666> {{{#FFF 주요 참전}}} ||<(> [[러일전쟁]] || ||<#666> {{{#FFF 주요 서훈}}} ||<(>[[붉은 독수리 훈장]] 대십자상 [br][[검은 독수리 훈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일원으로 [[프리드리히 카를 니콜라우스]]의 아들이다. [[러일전쟁]]에 참여하였다. 빌헬름 2세의 동서이자 6촌 남동생이다. == 생애 == 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는 [[프리드리히 카를 니콜라우스]]의 막내이자 유일한 아들로 태어났다. 1875년 독일 제국군에 입대해 기병 병과를 택하였으며, 빠르게 진급하였다. 1893년 소장으로 진급하였으며 후사르 연대를 지휘하였다. 제4차 기병 사찰의 사찰관으로 부임하였고, 기병대장이 되었다. 하지만 동서인 [[빌헬름 2세]]에 의해 사임당하게 되자 앙심을 품은 요아힘 카를은 빌헬름 2세 부부의 사생활을 조사하였고, 여러 번의 고소로 인해 대중적인 인기도 얻었다. 1904년 러일전쟁에 군사 고문으로 참전하였다. 1907년 육군 총감이 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아무런 사단도 지휘하지 않고 자신의 사유지에 있었다. 그는 패전 이후 [[독일 11월 혁명]]을 반가워한 유일한 왕족이었는데 [[빌헬름 2세]]가 혁명으로 퇴위당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재산 문제에서 발목이 잡힌 그는 일부 귀중품들을 팔고, 일부는 자신의 아들에게 주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Prince_Friedrich_Sigismund_of_Prussia_(1891%E2%80%931927)|장남]]은 1927년에 말에서 떨어져 사망, [[1912 스톡홀름 올림픽]] 승마 동메달리스트였던 [[https://en.wikipedia.org/wiki/Prince_Friedrich_Karl_of_Prussia_(1893%E2%80%931917)|차남]]은 1차 대전에서 전사하였다. 유일하게 아버지보다 오래 산 [[https://en.wikipedia.org/wiki/Prince_Friedrich_Leopold_of_Prussia_(1895-1959)|3남]]은 [[다하우]] 수용소에도 수감된 적이 있다.] 이후 1931년 바이마르 공화국 서프로이센의 장원에서 생을 마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