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rank.png|width=500]] '''プロフェッサー・フランク''' / '''Professor Frank''' [목차] == 개요 == [[유희왕 5D's]] [[유희왕 5D's/포츈 컵 편|포츈 컵 편]]의 등장인물. 성우는 [[세키 토시히코]] / [[정명준]] / 톰 웨일랜드(Tom Wayland). 18화에서 등장. [[렉스 고드윈]]이 고용한 자객 중 1명으로, 심리 전문 치료사라고 한다. [[포츈 컵]] 8강에서 [[키노미야 코도]]와 대전할 예정이었지만, 고드윈의 명령으로 기권한다. 대신 고드윈의 명령으로 패자 부활전이라는 명목으로 [[루카(유희왕)|루카]]와 듀얼을 하게 된다. 최면술을 이용해 루카를 [[시그너]]로 각성시키고, 자신과 루카의 정신을 [[듀얼몬스터즈]]의 정령 세계로 이동시켜 듀얼을 계속 한다. [[파일:external/blog-imgs-21.fc2.com/20080810135948.jpg]] 이때까지만 해도 평온해보이는 태도에 온화한 말투를 썼지만, 정령계로 넘어오면서부터 다른 사람의 고통을 즐기는 잔인한 본성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후반에는 완전히 정신이 나가서 [[초마신 이도]]로 [[정령계]]에서 깽판치다가, 분노한 [[고대 요정 드래곤]]에게 먹힐 뻔한 것을 루카가 함정 카드 오베론의 장난으로 무승부로 만들어서 간신히 목숨을 건진다. 이후에는 기력이 다해 쓰러졌다. == 사용 카드 == OCG화된 것은 [[초마신 이도]] 뿐이다. === [[초마신 이도]] === === L⇔R 롤샤르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ymmetryRorschach-OW.png]] || 한글판 명칭 ||<-4>'''[ruby(L⇔R, ruby=시머트리)] 롤샤르'''|| || 일어판 명칭 ||<-4>'''[ruby(L⇔R, ruby=シンメトリー)]ロールシャッハー'''|| || 영어판 명칭 ||<-4>'''Symmetry Rorschach'''||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1200 || 1200 || ||<-5>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덱의 맨 위의 카드를 확인한다.|| 첫턴에 소환해 [[픽시(유희왕)|써니 픽시]]를 파괴하고 루카의 덱 맨 위의 [[크리본]]을 확인한다. 그 후 [[초마신 이도]]의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이름의 'L⇔R'은 '시머트리(Symmetry;대칭)'라고 읽는다. 이름의 모티브는 당연히 [[로르샤흐 테스트]]. 프랭크는 이 몬스터를 소환한 후 [[루카(유희왕)|루카]]에게 로르샤흐 테스트에 대해 짧게 설명하고는 무엇으로 보이느냐고 끈질기게 묻는데,[* 관객석에서 보고있던 [[야나기 텐젠]]은 [[크리스탈 해골|수정해골]], [[하야노 텐페이]]는 [[나비]]로 대답했다.] 불안감을 느낀 루카가 요정이라고 답하자 써니 픽시에서 [[팔레트 스왑|배색만 다른 모습]]으로 변하고는 갑자기 뱀같이 생긴 머리가 튀어나와서 공격한다. 그리고 프랭크는 루카에게 요정이나 정령에게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진단했다. 공격명은 '스파이럴 마인드(スパイラル・マインド / Spiral Mind)'. 효과명은 '피핑 마인드(ピーピング・マインド Peeping Mind)'. === 불사의 항상성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ImmortalHomeostasis-OW.png]] || 한글판 명칭 ||'''불사의 항상성'''|| || 일어판 명칭 ||'''不死のホメオスタシス'''|| || 영어판 명칭 ||'''Immortal Homeostasis'''|| ||<-2> 장착 마법 || ||<-2>장착 몬스터 1장은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다.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러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이 원래 공격력과 다를 경우, 그 컨트롤러는 300 포인트의 데미지를 받는다.|| [[크리본]]에 장착하여 게슈탈트 트랩과의 콤보로 샌드백으로 하고, 데미지를 주었다. 일러스트에 나온 카드는 [[마하 바일로]]. === 악의의 파동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aveofIllIntent-OW.png]] || 한글판 명칭 ||'''악의의 파동'''|| || 일어판 명칭 ||'''悪意の波動'''|| || 영어판 명칭 ||'''Wave of Ill Intent'''|| ||<-2> 지속 마법 || ||<-2>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될 때마다, 상대 플레이어에게 3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준다.|| 프랭크가 사악한 본색을 드러내며 발동한 카드. 이도로 선라이트 유니콘에 박치기하고 데미지를 주었다.--마리크의 안면기예같다-- === [[정신오염]]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piritContamination-OW.png]] || 한글판 명칭 ||'''정신 오염'''|| || 일어판 명칭 ||'''精神汚染'''|| || 영어판 명칭 ||'''Spirit Contamination'''|| ||<-2> 일반 마법 || ||<-2>몬스터가 이 턴에 파괴되었을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선택하여 파괴한다|| 이도가 파괴된 것으로 발동하여 지속 함정 [[와타폰|갈리트랩 -픽시의 원-]]을 파괴했다. 실제로 OCG에 발매된 카드 [[정신오염]]과 전혀 관련없다. === 심층으로 인도하는 빛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ighttotheDepths-OW.png]] || 한글판 명칭 ||'''심층으로 인도하는 빛'''|| || 일어판 명칭 ||'''深層へと導く光'''|| || 영어판 명칭 ||'''Light to the Depths'''|| ||<-2> 일반 함정 || ||<-2>상대가 빛 속성 몬스터를 소환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덱의 맨 위에서 5장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상대는 1장을 드로우하고, 그 카드를 서로 확인한다. 이 턴 그 카드와 같은 이름의 카드가 플레이되지 않았을 경우, 상대에게 20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준다.|| [[루카(유희왕)|루카]]에게 최면술을 건 카드. [[크리본]]의 소환에 발동하여 5장의 카드를 묘지에 보내고,[* 이 때 묘지로 보낸 카드들 중에는 [[빛의 봉인검]]과 [[요정왕 오베론]] 등이 있다.] [[고대의 숲]]을 발동하게 한다. === 게슈탈트 트랩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estaltTrap-OW.png]] || 한글판 명칭 ||'''게슈탈트 트랩'''|| || 일어판 명칭 ||'''ゲシュタルト・トラップ'''|| || 영어판 명칭 ||'''Gestalt Trap'''|| ||<-2> 지속 함정 || ||<-2>발동 후,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 1장의 장착 카드가 된다. 상대 몬스터 1장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공격력/수비력을 0으로 한다.|| [[데먼즈 체인]]에서 공격 제한이 빠진 대신 공/수 수치를 아예 0으로 해버리는 카드. [[크리본]]에 장착하여 효과의 발동을 막았다. 이름의 모티브는 [[게슈탈트 붕괴]]. [[분류:유희왕 5D's/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