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주세기/모빌슈트]][[분류:건담 타입]][[분류:2014년 MG 건프라]] ||<-3> {{{#ffffff '''RX-78-1 프로토타입 건담[br]{{{-1 プロトタイプガンダム │ Prototype Gundam}}}'''}}} || || [[파일:RX-78-1 프로토타입 건담 설정화.png|width=100%]] || [[파일:건담 프로토타입 건담 센츄리판 설정화.jpg|width=100%]] || [[파일:RX-78-01 건담 시작 1호기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 설정화.png|width=100%]] || || {{{#ffffff MSV 설정화}}} || 건담 프로토타입[br]{{{-2 (건담 센츄리 설정화)}}} || {{{-1 RX-78-01}}}[br]건담 시작 1호기[* 당연히 [[건담 시작 1호기|동명의 기체]]와는 당연히 무관하다.][br]{{{-2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 설정화)}}} || [목차] == 개요 == [[우주세기]]의 [[건담 타입]] [[모빌슈트]]의 첫 번째 사양이면서, 동시에 첫 번째로 제조된 기체다. 모든 건담들의 진정한 원조로 말 그대로 [[프로토타입]] 건담. [[풀아머 건담]]과 함께 MSV의 효시를 연 유닛 중 하나이다. 첫 등장은 하비 재팬 별책부록인 에서 오다 마사히로에 의해 만들어진 설정이 [[MSV]]로 받아들여진 것. 그런데 원안이 되었던 건담 센추리의 '건담 프로토타입'과는 다른 디자인이 되어 버리는 바람에 1/144 [[건프라]] 메뉴얼에서 롤아웃 직전까지 계속해서 사양 변경이 있었다는 식으로 [[설정구멍]]을 억지로 메꾸게 된다. 본 항목에서는 건담 센추리 버전과 MSV 버전, 그리고 새로운 독립설정이 된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버전의 3종류를 전부 설명한다. == 건담 프로토타입 == 건담 센추리의 원 설정이었던 '건담 프로토타입'에 따르면, 초기 시작형의 경우 [[빔 라이플]]의 소비 전력이 예정보다 30% 정도 높았으며 이러한 출력으로는 실전 운용에 무리가 생기기 때문에 열핵 반응로의 출력을 올리고 여러 보조 장치를 달게 되었다고 한다. 그와 동시에 빔 라이플의 간이형이라 할 수 있는 빔 스프레이 건의 개발이 시작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도 나온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아직 건담이라는 명칭이 붙지 않았으며, V자형 블레이드 안테나 대신 일반적인 일자형 안테나가 후두부에 2개 달려 있으며, 스커트의 형상도 자세히 보면 [[짐(MS)|짐]]에 더 가까운 간소한 형상이다. 건담 센추리 이외에도 전격 하비 매거진의 연재 기획이었던 '솔로몬 익스프레스'에서 이 버전의 건담이 등장했고, 중간 무장형이라는 약간의 개조 사양이라는 설정. RX-78-1이라는 형식명이나 오늘날 알려진 흰색/은색 기조의 컬러링 설정 또한 여기에서 완성되었다. 중간 무장형은 초기 시작형에 냉각 장치를 달아 빔 라이플의 가동을 가능케 한 사양이며, 일반적으로 MSV에서는 자신들이 채택한 프로토타입 건담의 분류 별칭으로 해석하고 있다. == RX-78-1 프로토타입 건담 == MSV 설정에서는 최종 버전의 경우 검은색/흰색/붉은색 도장이 되었고, 팔 부분에 전용 [[빔 라이플]] 총신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 슬릿을 넣었으며, 경량화를 위해 장갑을 최대한 생략하고 발목 커버에 3개의 슬릿을 파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슬릿 파내기는 나중에 [[건담 픽시]]에서도 같은 목적으로 적용된다.] 경량형의 백병전 중시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최대 한도로 데드 웨이트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이 쪽에 배당되는 무기는 전용 빔 라이플과 60mm 헤드발칸을 제외하면 전부 근접 무기가 될 예정이었다고 한다. 참고로 해당 색 배열은 다름 아닌 거대로봇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마징가 Z]]에 대한 오마쥬다. 기본 사양은 [[RX-78-2]]와 거의 같지만 상대적으로 약간 더 기동성을 확보한 대신 방어력이 어느 정도 희생되었으며, 그 때문에 맨 처음 만들어졌던 퍼스트 로트의 건담 3기 중 유일하게 [[샤아 아즈나블]]의 기습에 대파되고 말았다고 한다. 이후 2009년에 나온 MSV-R의 설정에 따르면, RX-78의 양산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최소 1기 이상의 롤아웃 버전이 추가로 만들어졌다고 하며, 세컨드 로트와 별개로 여러 가지 테스트를 거친 것으로 나온다.[* MSV-R의 설정을 채택한 외전들은 각기 설정에 따라 최소 2기에서 최대 10기까지의 추가 생산 분량이 있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 중 정설이 어떤 것인지는 불명.] 그 중의 한 디자인이 위의 건담 센추리 버전이라는 설정이며, 또한 [[코어 파이터]] 역시 FF-X5 프로토타입 코어 파이터라는 별개의 분류가 되어 있고 일반적인 코어 파이터와는 다른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가장 최근에 발매된 마스터 아카이브 시리즈의 설정에서는 당초 제작된 퍼스트 로트의 3기의 건담 모두 최초에는 이 RX-78-1 사양이었으며 루나 II에서 개수를 거쳐 전부 RX-78-2 사양으로 개장되었다고 한다. 이후 사이드 7에서 진의 공격으로 1호기는 대파되고 3호기는 중파, 3호기는 2호기의 예비부품 제공용으로 화이트베이스에 실려 이후 자브로에서 마그넷 코팅 테스트기로 사용되어 최종적으로는 2호기와 3호기 모두 RX-78-3 사양이 되었다고 한다. == RX-78-01 건담 시작 1호기 ==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설정에서는 전신이 아이보리색으로 도색되었고 완전한 곡선 디자인이 아닌 다각형 외장 장갑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한 쪽 어깨에 캐논을 장비하고 파란색의 고글형 카메라 아이를 채택했는데, 사실 이건 안쪽에 내장된 붉은색 듀얼 아이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 커버이다.[* 다만 작중 묘사로는 알 수 없고, 건담 [[TRPG]]나 [[TCG]] 쪽에서 나온 특별 일러스트로 확인 가능하다.] 극중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 건담으로, 사이드7에 침입한 다수[* 원작과 달리 총 6대.]의 자쿠들과 전투에 들어가는데 자쿠들을 그야말로 압도하며 3대를 격추하지만, 지근거리에서 파괴한 자쿠의 핵융합로가 유폭하면서 거기에 휩쓸려 유실되었다.[* 원작과의 차이점은 이 유폭이 사이드7 붕괴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진의 자쿠의 유폭은 콜로니의 붕괴를 가속화하는 것과 템 레이의 행방불명의 원인으로 재정립됐다.] 이 싸움으로 결과적으로 남은 자쿠는 원작처럼 3대가 되며, 눈앞에서 동료를 잃는 바람에 이성을 잃은 진이 사이드 7 깊숙히 들어가는 계기도 만들었다. 또한 이 사건 때문에 데님과 진은 2호기와 마주치기 전에 이미 건다리움 장갑의 강도와 빔 라이플의 위력을 알고 있었다. 물론 원작이 그렇듯 2호기는 둘과 싸울 때 빔 라이플을 소유하고 있지 않았으나, 대신 슬랜더를 통해 샤아에게 빔 라이플의 정보가 전해진다. 그러다보니 신무기인 빔 라이플을 보고 안 맞으면 된다고 호기롭게 여기다가 패하는 이벤트가 이미 정보가 있는 상황에서 샤아가 얕잡아 보다가 한 방 얻어 맞는 꼴이 되었다. 참고로 프로토타입 건담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면서 형식번호가 작중에서 직접 호명되고 정식 롤아웃 기체인 것처럼 취급되고 있는데, 실제로 작중 설정에 따르면 제식 사양으로 최종 개수를 마친 뒤 실전 배치된 것이라고 한다. 다만 앞선 다른 프로토타입 건담들과 달리 형식번호 분류가 RX-78-'''01'''로 살짝 다르다. 또한 오리진 영상화 이후 시작된 MSV인 'MSD'에서 이 프로토타입 건담의 여분 부품을 이용해 만든 지상용의 테스트기 'RX-78-01[N] [[국지형 건담]]'이 존재한다. 설정상으로는 [[육전형 건담]], [[건다이버]]와 연결되어 있다. 이름이 건담 시작 1호기 인지라 [[건담 시작 1호기|건담 GP01]]과 혼동할 수 있으나 이 둘은 엄연히 다른 기체이다. == 모형화 == 건담의 트리콜로 색과 달리 어두운 적흑색으로 컬러 배치가 되어 있어서 컬트적인 인기가 제법 있다. 다만, 마이너하다보니 그 사례가 많지 않고 건프라보다는 완성품 상품들이 더 많은 편이다,게다가 1/144 스케일의 프로토타입 건담은 구판이 유일했으나 [[RX-78F00 건담|요코하마 팩토리 한정판인 고기동형 건담]]의 소체가 프로토타입 건담으로 변경되어 나왔으나 프로토타입 건담의 빔 라이플과 일부 색조합이 맞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나 그래도 앵클 가드의 자세 제어용 스러스터의 디테일 또한 신금형으로 내 발매해주었다. === 건프라 === ==== 구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판 1/144 프로토타입 건담 박스아트.jpg|width=100%]]}}} || || 스케일 || 1/144 || || 발매 || 1983년 6월 || || 가격 || 4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4122/|제품 페이지]] || || 리뷰 || [[http://www.dalong.net/reviews/old/msv08/msv08.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구판 1/144 건담의 금형을 유용하지 않고 신규 조형으로 상품화되었다. 구판 1/144 건담 대비 프로포션, 가동 등 업그레이드된 요소가 다수 존재한다. 다만, 태생이 구판 키트이다보니 단색 사출 및 부속한 파츠 분할, 폭이 좁은 가동, 구성 등으로 인해 굳이 추천되지 않는다. 여담으로, 메뉴얼에는 1~3호기와 4~8호기의 설정을 나누려고 특별 해설서를 곁들였지만, 정작 그 해설서가 문법적으로 어색한 부분이 상당수 되고 건담 센추리에서 미리 만들어 놓았던 설정과 여러 가지로 어긋난 점이 있는 등 그 자체로는 100% 설명이 되지 않아 [[건덕후]]들 사이에 여러 가지 해석이 나뉘기도 했다. 결국 퍼스트/세컨드 로트라는 개념으로 나눈 가설이 정설로 채택되어 이후 게임판에서 활용되게 된다. ==== M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G 프로토타입 건담 박스아트.jpg|width=100%]]}}} || || 상품구분 || [include(틀: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표시)] || || 브랜드 || [[마스터 그레이드|Master Grade]] || || 스케일 || 1/100 || || 발매 || 2014년 4월 || || 가격 || 4,200엔 || || 링크 || [[https://p-bandai.jp/item/item-1000114755|제품 페이지]] || ||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www.dalong.net/reviews/mg/m111p/m111p_p.htm|달롱넷]], [[https://youtu.be/VJtwm-Bf0DA|건담홀릭]] || MG 건담 Ver.2.0을 기반으로 사출색 변경, 전용 신규 조형의 파츠(백팩, 팔, 앵클 가드 등) 및 습식 데칼이 추가됐다. 또, 색재현을 위해 일부 중복 런너가 들어가 있다. 박스 아트는 구판 1/144 박스 아트를 카피했다. MG 건담 Ver.2.0의 품질이 좋았던터라 이 키트도 전반적으로 준수한 품질을 보여준다. 다만, 단점들도 그대로 공유하고 있다. 이 키트만의 부각되는 특징으로는 변경된 사이드 아머 장갑에 빔 라이플이 수납이 가능해졌다. 아쉬운 부분으로는, MG 건담 Ver.2.0과 동일 가격 대비 무장 구성이 상당히 별로다. 무장은 빔 라이플, 빔 사벨, 실드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바주카를 포함한 다수의 무장이 제거되어 상당히 심플하다. 아무래도 설정을 따라가려고 한 것으로 보이나 오리지널 요소로 무장을 넣어줬어도 크게 상관없는 부분이다.[* 액션 피규어 제품들을 살펴보면 바주카를 비롯해서 기존 건담이 사용하던 무장들이 그대로 부속된 경우가 많다.] 다른 아쉬운 점으로는 백팩, 팔 관절, 무릎 관절 등에 색재현을 위해 호일 씰이 사용되고 있고 허리 아머의 디자인 변경으로 인해 바주카 수납 기믹이 사라졌다. === 완성품 === ==== 액션 피규어 ==== * [[https://tamashii.jp/item/187/|Gundam Fix Figuration #0015 프로토타입 건담]]: 2003년 6월 발매, 가격 3,680엔. 헤비 건담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부속된 환장 파츠를 이용해서 프로토타입 건담을 재현할 수 있다. * [[https://tamashii.jp/item/360|Mobile Suit In Action!! 프로토타입 건담]]: 2004년 12월 발매, 가격 1,500엔. *\ [include(틀:혼웹 상점 한정 표시)] [[https://p-bandai.jp/item/item-1000010850/|로봇혼 프로토타입 건담]]: 2011년 10월 발매, 가격 3,200엔. * [[https://tamashii.jp/item/12212/|로봇혼 프로토타입 건담 ver. A.N.I.M.E.]]: 2017년 11월 발매, 가격 6,000엔. ==== 식완 ==== * FW 건담 얼티밋 오퍼레이션 베스트 셀렉션 프로토타입 건담]]: 2005년 12월 발매, 가격 480엔(1개입). * [[https://www.bandai.co.jp/candy/gundam/converge/18/|FW 건담 컨버지 제18탄 No.104 프로토타입 건담]]: 2015년 3월 발매, 가격 400엔(1개입). * [[https://www.bandai.co.jp/candy/gundam/gframe/12/|G 프레임 제12탄 프로토타입 건담(아머 세트, 프레임 세트)]]: 2021년 1월 발매, 가격 500엔(1개입). ==== 가샤폰 ==== * HMS(Hybrid Mobile Suit) 셀렉션 제2탄 프로토타입 건담: 2005년 5월 발매, 가격 300엔(1회). * SD건담 풀 컬러 커스텀 제16탄 프로토타입 건담: 2008년 2월 발매, 가격 100엔(1회). * [[https://gashapon.jp/products/detail.html?jan_code=4549660572671000|얼티밋 루미너스 건담 제2탄 프로토타입 건담]]: 2021년 2월 발매, 가격 500엔(1회). * [[https://gashapon.jp/ensemble/items/18/|모빌슈트 앙상블 제18탄 No.109 프로토타입 건담]]: 2021년 6월 발매, 가격 500엔(1회). == [[/게임|게임에서의 프로토타입 건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로토타입 건담/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