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프레이트라이너|[[파일:프레이트라이너 로고.svg|width=25%]]]] || ||<:><-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eightliner_Cascadia_Main.jpg|width=100%]]}}} || ||<:><-9> '''{{{#fff '''Cascadia'''}}}''' || [목차] '''Freightliner Cascadia''' == 개요 == [[미국]] [[프레이트라이너]]에서 [[2007년]]부터 생산 중인 컨벤셔널(보닛) 타입 클래스 8[* 33,000[[파운드]](약 15톤) 초과 차량.] [[트랙터(트럭)|트랙터]] 라인업. 차량 명칭은 '작은 폭포'라는 뜻의 [[영어]] 단어인 cascade(캐스케이드)에서, 또는 [[미국]] [[워싱턴 주]]와 [[오리건|오리건 주]]를 관통하는 산맥인 캐스케이드 산맥(Cascade Mts)에서 따온 듯하다. 프레이트라이너의 [[플래그십 제품|플래그십]] 모델로 북미 시장에서 판매량이 가장 많은 클래스 8 트럭 중 하나이자, '''유럽물이 가장 많이 묻어있는 북미 트럭 모델'''이다.[* [[2019년]] 기준, 북미 클래스 8 트럭 시장 점유율 1위가 바로 프레이트라이너다. 개인 구입 수요도 많지만 특히 물류회사 등에서 회사 차량으로 대량 구입하는 플릿 수요가 상당한 트럭. 그리고 유럽물이 많이 묻어있다는 말이 무슨 뜻이냐면, 유럽식 트럭에서나 볼 수 있는 각종 편의장비와 전자장치, 안전장치 등이 수도 없이 적용된 미국 트럭이라는 뜻이다. 실제로도 다른 미국 트럭들은 꿈도 못 꾸는(...) 별의별 편의장비, 안전장치 옵션이 수두룩하다. 아무래도 모기업인 [[다임러 AG]]와 그 계열사 중 하나인 [[메르세데스-벤츠]]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은 듯하다.] 의외로 서유럽 쪽에서도 소수 운행중인데, 독일의 [[https://www.klekamp-us-truck.com/|Klekamp Nutzfahrzeuge]]에서 수입, 판매하고 있다.[[https://mackmuppet.skyrock.com/3184445185-Freightliner-Cascadia-Daimler-Stuttgart-Germany.html|독일에서 운용중인 모습]] == 역사 == === 1세대 (2007) === [[파일:external/www.desktopwallpapers.nl/vehicles013-trucks_freightliner-cascadia-truck.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2007_Freightliner_Century_tractor_%28facelift%29%2C_front_left.jpg|프레이트라이너 센츄리(Freightliner Century)]] 시리즈의 후속으로 2007년에 공개되었다. 프레이트라이너와 같은 [[다임러 AG]] 소속 [[디트로이트 디젤]] 엔진이 기본사양으로 적용되고, 옵션으로 [[커민스]] X시리즈 엔진을 선택할수 있다. [[변속기]]는 이튼 풀러 [[수동변속기]]와 이튼 오토쉬프트 & 울트라쉬프트 그리고 디트로이트 DT12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앨리슨 트랜스미션|앨리슨]] [[자동변속기|전자동변속기]] 중 선택가능. [[파일:Freightliner_Cascadia_Evo(2014).jpg]] [[2012년]] [[5월 20일]], 2014년형 모델로 에어로다이나믹을 개선한 '''카스카디아 에볼루션(Cascadia Evolution)'''이 공개되었다. [[MAN]]의 이피션트라인과 비슷한 고효율 버전. 북미 시장에서는 [[2017년]] 2세대 모델이 공개된 이후에도 한동안 병행판매가 되다가 [[2020년]] 즈음 단종되었다. === 2세대 (2017) === [[파일:Freightliner_Cascadia(2018).jpg]] [[2018년]]형 모델로 2세대 카스카디아가 공개되었다. 외형상으로는 [[페이스리프트|전면의 디자인만 살짝 바뀐 것]]처럼 보이나, 차량 내부를 보면 완전히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부터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악트로스]] MP4 모델과 동일한 모양의 [[운전대|스티어링 휠]]이 적용되었고[* 참고로 같은 다임러 AG 휘하 [[미쓰비시 후소]]의 [[미쓰비시 후소 슈퍼 그레이트|슈퍼 그레이트]]도 3세대 모델부터 동일한 모양의 스티어링 휠을 공유하고 있다.] 일종의 [[AEB|긴급 제동 장치]] 중 하나인 액티브 브레이크 어시스트(ABA),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차선 이탈 경고(LDW) 등 [[메르세데스-벤츠]]의 각종 전자장치와 주행보조 시스템을 잔뜩 달고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이 주행보조 시스템들은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까는 쪽에서는 각종 전자장치들 때문에 오작동과 잔고장이 엄청나게 늘었다고 굉장히 싫어한다.] 여타 메이커 동급 차량들 대비 연비향상을 위해 공력특성에 집중투자하는 모델이기도 하다. 여기에다가 에어로 패키지를 선택할 경우, 사이드스커트 뿐만 아니라 전면 범퍼 하단에도 고무 에어댐이 설치되고[* 단순히 에어댐 설치에서 끝나는 것뿐 아니라 고속 순항시 자동으로 차고를 낮춰 차량 하부에서 생기는 와류를 최대한 줄이는 서스 다운 기능도 선택할수 있다.] [[https://www.flowbelow.com/|플로우빌로우(FlowBelow)]]의 에어로 X 휠커버 + 휠스커트 킷이 장착되는 등 연비에 꽤나 많이 투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추가로 2020년형 모델부터는 [[필러|A필러]] 전용 윈드 디플렉터가 기본으로 장착된다. [[파일:Freightliner_Cascadia_126_AU.jpg]] 2020년 [[3월 4일]]에는 2세대 카스카디아를 기반으로 [[좌측통행|우핸들]] 적용 및 불 범퍼와 연료탱크를 증설한 [[오세아니아]] 시장 전용 모델이 공개되었다. 기존 오세아니아 트럭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켄워스]]와 [[맥 트럭|맥]]에 대한 다임러 AG의 도전장으로, [[커민스]] 엔진과 이튼 [[수동변속기]]를 주력으로 판매중인 켄워스, 맥과 다르게 [[디트로이트 디젤]]의 DD엔진과 디트로이트 디젤에서 만든 DT12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옵션을 밀어주고 있다. 아직까지는 디젤 엔진 모델이 강세이자 주력이지만, 전기 모델과 [[천연가스]] 엔진 모델도 생산중이다. [[2021년]] 새해가 되자마자 프레이트라이너 공식 [[페이스북]] 계정과 [[인스타그램]] 계정에 새해 문안인사 영상이 올라왔다. 그런데 이 영상을 자세히 보면 일종의 [[스포일러]]가 있는데,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악트로스]] MP5 모델에도 탑재되는 대형 터치식 내비게이션과 '''풀 디지털 계기판(!)'''이 보인다.[* 사실 2020년 초부터 관련 사진이 종종 보였던 모델이다. [[https://s29755.pcdn.co/wp-content/uploads/2020/02/driverposn.jpg|#]], [[https://s29755.pcdn.co/wp-content/uploads/2020/02/glassdash.jpg|##]]] 그리고 2022년형 연식 변경 모델에서 정말로 옵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북미 트럭에 풀 디지털 계기판이라니-- 참고로 풀 디지털 계기판 옵션을 선택할 경우, 스티어링 휠의 버튼들도 조금 더 깔끔한 디자인으로 변경된다. ==== 차량 옵션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환경규제''' || ||<|11> '''DD13''' ||<|38> [[6기통|직렬 6기통]] ||<|11> 12.8[[리터]] || 350[[마력]] || 187 kgf·m ||<|38> EPA2017 || || 370마력 || 173 kgf·m || || 380마력 || 201 kgf·m || ||<|3> 410마력 || 201 kgf·m || || 214 kgf·m || || 228 kgf·m || || 435마력 || 214 kgf·m || ||<|2> 450마력 || 214 kgf·m || || 228 kgf·m || || 470마력 || 228 kgf·m || || 505마력 || 256 kgf·m || ||<|7> '''DD15''' ||<|7> 14.8리터 || 400마력 || 242 kgf·m || ||<|3> 455마력 || 214 kgf·m || || 228 kgf·m || || 242 kgf·m || || 475마력 || 228 kgf·m || ||<|2> 505마력 || 228 kgf·m || || 242 kgf·m || ||<|6> '''DD16''' ||<|6> 15.6리터 || 500마력 ||<|2> 256 kgf·m || || 530마력 || ||<|2> 560마력 || 256 kgf·m || || 284 kgf·m || ||<|2> 600마력 || 256 kgf·m || || 284 kgf·m || ||<|8> '''X12''' ||<|8> 11.9리터 || 350마력 ||<|2> 187 kgf·m || || 370마력 || || 380마력 || 201 kgf·m || ||<|2> 410마력 || 201 kgf·m || || 228 kgf·m || ||<|2> 430마력 || 214 kgf·m || || 228 kgf·m || || 455마력 || 235 kgf·m || ||<|6> '''X15''' ||<|6> 14.9리터 || 430마력 || 228 kgf·m || || 470마력 || 242 kgf·m || || 500마력 ||<|2> 256 kgf·m || || 565마력 || ||<|2> 605마력 || 256 kgf·m || || 284 kgf·m || == 등장 매체 == *[[파일:ATS_DLC_Freightliner_Cascadia.jpg]]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서 2세대 카스카디아 모델이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레이트라이너의 차량)] [[분류:프레이트라이너/생산차량]][[분류:트럭]][[분류:2007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