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존 프레드릭 월리엄 허셜 경}}}[br]Sir John Frederick William Hersch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프레드릭 윌리엄 허셜.jpg|width=100%]]}}}|| ||<|2> '''출생''' ||[[1738년]] [[11월 15일]]|| ||[[잉글랜드]] 슬라우|| ||<|2> '''사망''' ||[[1822년]] [[8월 25일]] (향년 83세)|| ||[[잉글랜드]] 콜링우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직업''' ||학자, 작곡가|| || '''분야''' ||[[천문학]], [[수학]], [[생물학]], [[음악]] || || '''가족''' ||아버지 이사이크[br]배우자 메리 피트 볼드원[br]아들 존 허셜||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태생 [[영국]]의 [[천문학자]], [[작곡가]], [[수학자]], [[생물학자]]다. == 생애 == [[신성 로마 제국]]의 [[하노버 왕국|하노버 선제후국]]에서 존 프리드리히 빌헬름 헤어셸로 태어났다. 허셜 부인이 낳은 10자녀 중[* 10자녀 중 '''4명이''' 어렸을 때 죽었다. [[http://sternwarte-hannover.de/verein/geschwister-herschel|#]]] 3째. 부친 이사아크는 하노버 군악대의 [[오보에]] 연주자였으며, 빌헬름은 4살 때인 1743년에 바이올린를 연주했다 하며, 1753년부터는 형 야콥 허어셸과 함께 하노버의 보병친위대에 들어가 오보에를 연주했다. [[7년 전쟁]]이 발발하여 [[하노버 왕국|하노버]]가 [[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및 영국과 손잡고 오히려 [[마리아 테레지아]] ([[합스부르크 제국|합스부르크]])와 [[루이 15세]] ([[프랑스 왕국|프랑스]])에게 등을 돌리자 1757년 이사아크는 야콥과 빌헬름 형제를 영국으로 보냈[* 당시 영국과 하노버는 [[동군연합]]이었다.]으며 이는 빌헬름이 19세부터 영국에 정착하는 계기가 됐다. 그는 곧 영국 음악교사, 작곡가, 오르가니스트로 두각을 보이기 시작했고 1766년에는 바아스(남서 영국의 소머셋 지역)에서 음악을 가르치다 수학적 음악이론을 공부하면서부터 수학 그리고 천문기기 제조, 판매 일을 하기도 했다. 1781년 3월 13일 천체를 관측하다 [[천왕성]]을 발견했고, 그에 따라 같은 해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 독일계 영국인인 그와 누이동생인 카롤라이네 루크레티아 허어셸은 영국에서 가난 속에 어렵게 살면서도 돈을 모아 [[망원경]]을 사고 손수 렌즈를 갈아 가면서 연구하던 중, 천왕성의 발견으로 일약 스타가 되었다. 덕분에 윌리엄은 나이 50살인 1788년에서야 메리 피트 볼드윈(1750 - 1832)과 당시에도 엄청나게 뒤늦게 결혼도 하여, 아들인 존 허셸[* 아들인 존 허셜(1792–1871)도 뛰어난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영국 왕실에서 경 작위를 받았고 [[토성]] 및 [[목성]]의 여러 위성을 발견하고 관련 연구에 기여한 인물이다.]을 50살이 넘어서야 얻게 되었다. 다만 그 홀로 천왕성을 발견한 게 아니라 누이동생인 캐롤라이네 루크레티아 허어셸도 공동으로 발견했음에도 묻혔다.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셸은 누이동생인 캐롤라이네 루크레티아 허어셸이 돕고 같이 발견했다고 누누이 강조했지만, 당시 여성이 천시받던 시대라 모든 공로는 오빠인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에게 돌아갔다.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은 영국 왕립천문학회의 초대 회장(1821-1822)을 지냈다. [[프리즘]]을 통해 빛의 색(파장)별 온도를 측정하는 도중에 빛이 쏘이지 않은 부분도 온도가 변화한 모습을 관찰하여 [[적외선]](자외선은 빌헬름 리터가 발견)을 최초로 발견했다. 다른 과학자들은 단순히 빛이 쏘이지 않았다고만 생각했으나 사실 인간의 [[눈(신체)|눈]]이 적외선과 자외선을 인식하지 못하여 생긴 일이였다. == 누이동생 캐롤라이아 루크레티아 허어셸 == 캐롤라이나 루크레티아 허어셸 또한 뛰어난 천문학자였음에도 여자라서 당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오빠인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에게 천왕성 발견자의 영광이 돌아갔다. 오빠인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도 죽을 때까지 동생의 공적을 언급하며 명예를 살려주려 했으나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세월이 지나서야 그녀의 공로가 알려졌지만 여전히 그녀의 명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캐롤라이나 루크레이티아 허어셸은 어려서 병을 앓은 탓에 [[왜소증|난쟁이]]가 되었다고 한다. 키가 4f 3I로 약 130cm 남짓이었다고 한다. 독신으로 산 캐롤라이나 루크레티아 허어셸은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이 죽고난 후에도 천문학 연구를 계속하면서 새로운 [[혜성]], [[소행성]]들을 발견했으며, 나이 78살이 된 1828년에야 영국 왕실 훈장을 받았고 그 해, 역사상 처음으로 왕실천문학회 여성회원이 되었으며 왕립 천문학회 공로 금메달을 여자로서 처음 받았다. 캐롤라이나 루크레티아 허어셸 이후로 여자가 이 금메달을 받은 것은 무려 168년이 지난 1996년에서야 미국 여성 천문학자 [[베라 루빈]]이 받았다. 조국인 프로이센 왕실에서도 1834년 훈장을 받고 왕실천문학회 회원이 되었기에 늦긴 했어도 살아 있을 때 이 모든 영예를 조금이라도 누릴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도 장수한 나이지만 당시에서는 더더욱 엄청난 장수를 누리며 1848년 1월에 97살로 눈을 감았다. 독신으로 살았기에 늘그막을 윌리엄의 아들이자 그녀의 조카인 존이 돌보았는데, 97살로 죽기 몇 달전인 그 나이에도 여전히 하늘을 바라보며 망원경에 늘 붙어 지냈다고 한다. 참고로 캐롤라이나 루크 레이티아 허어셸은 1788년 허셜 리골레트 [[혜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역사상 처음으로 혜성을 발견해 이름을 남긴 여성 발견자이기도 하다. 당시에는 이 혜성 발견을 인정받지 못하다가 무려 150여년이 지난 1939년에서야 이 혜성이 지구로 오면서 재발견한 프랑스 천문학자 로제 리골레트의 성을 따서 이 이름이 된 것이다. (참고로 이 혜성은 2091년에서 2092년쯤에나 지구에 다시 나타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Sir_William_Herschel_and_Caroline_Herschel._Wellcome_V0002731.jpg]] 망원경 렌즈를 같이 갈고 있는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과 누이동생 캐롤라이나 루크레티아 허어셸. 이 그림은 엄밀히 따지면 캐롤라이나의 외모를 미화한 것이다. 캐롤라이나는 키가 매우 작았기 때문. == 아들 존 허셜 == [[파일:Julia_Margaret_Cameron_-_John_Herschel_(Metropolitan_Museum_of_Art_copy,_restored)_levels.jpg|width=300]] [[1867년]]의 존 허셜 윌리엄 허셜은 54세의 나이에 존 허셜이라는 [[늦둥이]] 아들을 두었는데 윌리엄은 아들을 [[아들바보|생전에 끔찍이도 아꼈다]], 그도 아버지와 고모의 뒤를 이어서 저명한 [[천문학자]]이자 [[공학자]]로 명성을 떨쳤다. 존 허셜은 사진술의 발전에 크나큰 기여를 했는데, 어린시절에 아버지와 함께 지냈던 행복했던 기억 때문에, 찰나의 순간을 잡아낼 수 있는 [[사진]] 기술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사진]]을 뜻하는 'Photography'란 용어를 처음 제시했으며, [[청사진]]을 발명하기도 했다. 또한 [[베텔게우스]]가 [[변광성]]임을 처음 발견했고, 천체목록에서 [[메시에 천체 목록]]과 쌍벽을 이루는 [[NGC 목록]]의 기반을 다졌다. == 여담 == 허셜은 의외로 생물학 쪽으로도 중요한 업적을 하나 남겼는데 [[산호]]가 동물이라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산호를 현미경으로 관찰해 식물이라면 당연히 있어야 하는 세포벽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 이 당시엔 과학의 분화가 아직 뚜렷하지 않았고, 과학자들이 이런 저런 분야를 다 건드려 보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분류:영국의 천문학자]][[분류:영국의 작곡가]][[분류:영국의 수학자]][[분류:영국의 생물학자]][[분류:독일계 영국인]][[분류:1738년 출생]][[분류:1822년 사망]][[분류:슬라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