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The Reverend[br]{{{+1 프레드 로저스}}}[br]Fred Roge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55px-Press_Photo_of_Fred_Rogers_(Published_by_1982).png|width=100%]]}}} || || '''본명''' ||프레드 맥필리 로저스[br]Fred McFeely Rogers|| || '''별명''' ||로저스 아저씨[br]Mister Rogers|| ||<|2> '''출생''' ||[[1928년]] [[3월 20일]]|| ||[[펜실베이니아주]] 라트로브|| ||<|2> '''사망''' ||[[2003년]] [[2월 27일]] (향년 74세)||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목사, 방송인|| || '''활동''' ||1951년 – 2001년|| || '''신체''' ||183cm|| || '''학력''' ||다트머스 대학교[br]롤린스 대학교 {{{-2 (BM)}}}[br]피츠버그 신학대학교 {{{-2 (BD)}}}|| || '''수상''' ||대통령 자유 훈장 {{{-2 (2002)}}}|| ||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배우자''' ||조앤 버드 ^^(1952년 결혼)^^|| || '''자녀''' ||2명|| || '''종교''' ||[[개신교]]([[장로회]])|| || '''서명''' ||[[파일:FredRogersSignature.svg|width=200&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방송인이자 [[장로회]] [[목사]], '로저스 아저씨네 동네' (Mister Rogers' Neighborhood)라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다. 워낙 사람이 좋아서 순수하고 친절한 이미지로는 비견할 사람이 없을 정도.[* 오죽하면 다큐멘터리에서 친아들마저 '''예수의 재림 같은 남자를 아버지로 두는 게 힘들었다'''고 말할 정도.] 그 유명세가 어느 정도냐 하면 [[FBE]]도 부모자식간에 이 프로를 보고 리액션하는 영상을 찍었을 뿐더러, 이 사람에 대해서 다루는 다큐멘터리 [* 영화 제목은 동명의 음악에서 이름을 딴 것으로, 로저스가 오프닝마다 부르는 노래이다. 백인 아트 테이텀이라 불리던 재즈 피아니스트 조니 코스타(Johnny Costa)가 연주했다.]가 2018년 미국에서 개봉해서 타임지가 선정한 2018년 최고의 영화 10선에서 '''당당히 2위'''를 했을 정도. 2019년에는 무려 [[톰 행크스]]가 전기영화에서 로저스를 연기했다. [[PBS]]가 방송국이었던 데다 [[Sesame Street|세서미 스트리트]]와 똑같이 어린이 프로라서 [[빅 버드]]와 [[https://youtu.be/OqWDjJRhCkc|만난 적이 있다.]][* 세서미 에피소드에 포함된다.] 원래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사람 없다]]라고 하지만, 이 사람은 '''정말 먼지가 안났다고 해도 좋을 정도의 사람'''이었다. == 생애 == === 어린 시절 === 1928년 3월 20일 피츠버그 남쪽에 있는 라트로브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둘 다 매우 성공적인 사람이었다. 하지만 어린 프레드는 학교에서 괴롭힘당하고 놀림당하는 데다가 온갖 병을 다 앓아 버리는 바람에 복화술 인형과 몸을 가지고 집에서 혼자 놀면서 외로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 === 대학 입학 이후 === 대학 입학 후 프레드는 4학년 방학 때 집에 왔다가, 텔레비전이라는 것을 처음 보게 된다. 다큐에 포함된 생전 인터뷰에서 말하기를 처음 본 게 사람 얼굴에 파이를 던지는 사람들이었고, 처음 든 생각이 '이건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는데, 왜 이렇게 쓰지?' 였다고 한다. 졸업 직전에 바로 목사가 되지는 않고 텔레비전 쪽에서 일해볼까 한다고 부모님께 말씀드렸더니 '넌 텔레비전을 본 적도 없잖니?''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1967년 인터뷰) 1953년에 자신의 고향인 피츠버그의 [[PBS]] 지역방송국 WQED에서 프로그램 개발담당으로 방송경력을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The Children's Corner'라는 어린이 방송을 개발하였고, 이 때 방송에 사용할 손인형 캐릭터들, 음악 등을 만드는 일을 했다. [* 이 때 만들어진 대부분의 캐릭터들은 훗날 '로저스 아저씨네 동네'에서 많이 쓰이게 된다.] 이 프로그램은 1955년에 제일 잘 만들어진 지역 어린이 프로그램으로서 실바니아상을 수상하여 [[NBC(미국 방송)|NBC]]를 통해 전국으로 방영하게 되었다. 'The Children's Corner' 일을 할 때 피츠버그 신학교를 다니기 시작하여 1962년에 신학 학사과정을 마그나 쿰 라우데로 졸업하고 1963년에 미국연합장로교회 피츠버그 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피츠버그 대학교]] 아동발달 대학원에도 다니기 시작하여 그곳에서 아동심리학자 마가렛 맥팔랜드를 알게되었다. 마가렛은 이후 프레드의 방송 대본, 음악 등에서 자문역할을 많이 맡았다. 1963년, 캐나다 [[CBC]] 방송국에서 프레드와 계약하여 'Misterogers'라는 15분짜리 어린이 방송 진행자를 맡게 되었다. 프레드의 첫 방송 출연이었다. 1967년까지 방송되었고 이후에는 다시 피츠버그로 돌아왔다. 그렇게 1968년 '로저스 아저씨네 동네'라는 프로를 시작하게 된다. === 30년의 장수프로를 시작하다 === [youtube(FhAJnx5uwUU)] 오프닝 테마[* 도시의 모습은 프레드 로저스의 고향이자 세트장이 위치해있는 피츠버그를 본따 만들었다. 게다가 오프닝에서 입는 스웨터는 전부 프레드 로저스의 어머니가 생전에 직접 짠 것이라고 한다. [[구글 두들]]에서 2018년 9월 21일 전미 첫방송 51주년을 기념한 로고를 만들기도 했다 [[https://youtu.be/Rd7X0NsOeRk|보기]]] [[1968년]][* [[Sesame Street]]보다 '''1년 빠르다.'''] [[2월 19일]], 처음 프로그램이 시작했다. 어린이 프로이지만, 세상의 어둡고 음울한 면을 굳이 감추려 들지 않았다. 쇼를 시작한지 4개월 뒤에 [[로버트 F. 케네디]]가 사망했는데, 그때 인형 캐릭터 대니얼이 했던 대사가, >''암살이 무슨 뜻이에요?'' >(What does assassination mean?) 였다. 미국의 정규 TV 프로그램 최초로 [[동성애자]](정확히는 [[게이]])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프랑수아 클레몽(François Clemmons)이라는 흑인 게이 배우를 경찰 역으로 등장시켜 함께 대야에 발을 담그는 모습을 방영했다.[[https://youtu.be/ObHNWh3F5fQ|#]] 여러 가지 의미에서 정말 파격적인 일이었는데, 일단 진행자인 로저스가 목사였다는 점과[* 알다시피 개신교는 동성애를 매우 부정적으로 여긴다.] 당시 아직도 [[인종차별]] 문제가 심각했던 1970년대에 방영된 프로라는 것을 감안하면 정말 큰 도전을 한 셈이다. 단 조건이 하나 있었는데, 귀걸이를 빼고 출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 대중매체에서 == * [[Epic Rap Battles of History]] [[Epic Rap Battles of History/시즌 1 Episode 13|시즌 1 13화]]에서 [[미스터 T]]와 대결을 펼쳤다. * 2019년 그의 전기 영화 A Beautiful Day in the Neighborhood에 [[톰 행크스]]가 프레드 로저스 역으로 출연하였다. 공교롭게도 로저스는 살아 생전 [[톰 행크스]]의 열렬한 팬이었다. [[빅(영화)|빅]]에서 행크스가 어린이를 잘 표현해냈다고 생각해 팬이 되었으며, [[포레스트 검프]]는 대략 40번 이상 봤다고. 사후에 [[성덕]]이 된 셈이다. * [[The Ultimate Showdown of Ultimate Destiny]]에서는 최후의 승자로 등극한다. * [[1980년대]] 전반기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에서 '로저스 아저씨네 동네'를 [[패러디]]한 '[[http://www.neighborhoodarchive.com/misc/snl/index.html|로빈슨 아저씨네 동네]]' 코너가 방영되기도 했다. 순수함과 따뜻함의 극치인 로저스 아저씨네 동네와는 정반대인, [[에디 머피]]가 분한 저소득층 로빈슨 아저씨가 사는 [[게토]]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패러디 작품. '로저스 아저씨네 동네'의 [[어린이|주시청자들]]은 이미 다 잠들었을 시간에 방영된 코너였기에 프레드 로저스 본인 또한 그리 개의치 않았다고. * [[에디 머피]]가 [[https://www.youtube.com/watch?v=whfQf3Pd5bU|2019년에 호스트로 깜짝 컴백하여]] 옛 빈민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는 현실을 패러디하기도 했다. == 여담 == * 새벽 5시에 일어나 자신의 가족과 친구들을 위해 기도했다. * 적녹 [[색맹]]이었다고 한다. * 1970년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부터는 생선만 먹었고, 이후 1980년대 부터 채식을 했다고 한다. "어머니가 있었던 것들을 차마 먹을 수는 없었다"고. * 정식으로 등록된 [[공화당(미국)|공화당]]원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아내의 말에 따르면 투표할 때는 정당을 가리지 않고 두루 투표했다고 한다. 게다가 공평해지기 위해 정치 이야기는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사실 [[공화당(미국)|공화당]]은 지금에나 우파 정당이지 19세기에는 명백한 [[좌파]] 정당이었고, 적어도 1970년대까지는 좌파 성향 인사들이 소수 계파로나마 남아있었다. 이 시절 공화당에 대해서는 [[록펠러 공화당]] 참조. 프레드 로저스같은 중도파가 있는게 이상할 것도 없다. * 이 프로그램의 거의 모든 배경음악을 직접 작곡 했다. 물론 직접 연주한 것은 아니지만 자신도 종종 재즈를 연주하곤 했다. 4분 28초부터 연주한다. [[https://youtu.be/IkCSUo2WHfM]] * 네이비 씰이나 해병대 저격수로 군복무를 했다는 루머가 있지만 거짓이다. 그는 군 복무를 한 적이 없다*[[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41327]] 애초 적록색맹이 군복무를 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물론 아예 못하는 건 아니지만 병과 제약을 많이 받는다.] * 조울증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미국의 남성 방송인]][[분류:미국의 장로회 목사]][[분류:1928년 출생]][[분류:2003년 사망]][[분류:웨스트모얼랜드 카운티(펜실베이니아) 출신 인물]][[분류:위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미국 대통령 자유 훈장]][[분류:미국 공화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