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2 '''프랭크'''}}} (2014)[br]''Fran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oneringtrailers.com/1002590IRWW86ZB5.jpg|width=100%]]}}} || || {{{#ffffff '''감독'''}}} ||[[레니 에이브러햄슨]] || || {{{#ffffff '''각본'''}}} ||존 론슨, 피터 스트라우헌 || || {{{#ffffff '''제작'''}}} ||데이빗 배론, 에드 귀니, 스티비 리 || || {{{#ffffff '''기획'''}}} ||캐서린 버틀러, 테사 로스, 피터 터치 || || {{{#ffffff '''촬영'''}}} ||제임스 매더 || || {{{#ffffff '''편집'''}}} ||네이선 누전트 || || {{{#ffffff '''미술'''}}} || || || {{{#ffffff '''음악'''}}} ||스티븐 레닉스 || || {{{#ffffff '''출연'''}}} ||[[도널 글리슨]], [[매기 질렌할]], [[마이클 패스벤더]] 등 || || {{{#ffffff '''장르'''}}} ||[[드라마]], [[코미디]], [[음악]] || || {{{#ffffff '''제작사'''}}} ||Film 4, Irish Film Board, Element Pictures, Runaway Fridge Films || || {{{#ffffff '''배급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2]] Element Pictures[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매그놀리아 픽쳐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영화사 진진 || ||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영화사 진진 || || {{{#ffffff '''개봉일'''}}} ||[[선댄스 영화제|[[파일:external/4.bp.blogspot.com/Sundance-Film-Festival.png|width=30]]]] [[2014년]] [[1월 17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2]]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4년]] [[5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4년]] [[9월 25일]] || || {{{#ffffff '''상영 시간'''}}} ||95분 || || {{{#ffffff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53,142명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국내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똘끼충만 천재 뮤지션 • 無재능 열혈 작곡가''' 2014년 5월 2일 개봉한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의 영화. 한국에서는 동년 9월에 개봉하였다. == 상세 == 유명한 뮤지션이 되고 싶지만 곡 쓰는 재주는 영 없는 존([[도널 글리슨]] 분)이 어쩌다보니 똘끼 넘치는 밴드에 합류한 뒤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항상 탈을 쓰고 다니는 천재 음악가 프랭크와 그 옆에 쌍둥이처럼 찰싹 붙어다니는 클라라, 살짝 돈 프로듀서 돈, 프랑스 남자 바라크, 대사 5줄 정도 있는 여자 드러머 나나[* 이 역을 맡은 배우 Carla Azar는 실제로 Autolux라는 밴드에서 드러머를 맡고 있는 뮤지션이다.] , 그리고 존이 밴드 멤버이다. 밴드의 이름은 소론프르프브스(Soronprfbs). == 예고편 == ||
[youtube(eTrHjQsXPWk)] || || {{{#ffffff '''▲ 공식 예고편'''}}} || == 평가 == ||
★★★☆ '''이상한 나라의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주성철- ★★★★ '''교외 거주자들은 모르는, 무표정한 것들의 슬픔''' -이용철- ★★★☆ '''재능이든 열정이든 미칠 수밖에''' -[[박평식]]- ★★★☆ '''흥미로운 질문과 부족한 대답. 조바꿈이 섬세한 희비극'''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잘 만든 '영국 코미디 음악 인디 영화'의 정석을 따르고 있다. 똘끼 있고, [[블랙 코미디]][* 그래서 분위기는 밝고 유쾌하지만 내용은 [[현시창]]이다. 예술가의 '''고뇌와 시기, 질투'''가 꽤 중요하게 다뤄진다. 급기야 작중 한 등장인물은 프랭크의 천재성을 부러워하다 좌절하고 자살한다.]로 가득하고, 영상미가 아름답고, 음악도 좋다. 평단의 평도 좋은 편이고 국내 팸플릿에 따르면 "모든 것이 유니크하다", "[[마이클 패스벤더]]의 연기는 마스터 클래스 경지에 올랐다", "완전히 미쳤다, 하지만 찬란하게 빛난다"[* 모두 별점 5개를 주고 있다. 각각 INDIE FILM, INDIEWIRE, TIMEOUT의 평] 등 좋은 평가를 하고 있다. 이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취향 저격이다. 많은 영국의 상영물들이 그렇듯 덕질하기에 딱 좋으며, 취향 확실한 사람들이 좋아하는 요소를 몽땅 집어넣었다. 다만 대중성과는 영 거리가 먼 마니악한 영화여서 일반 관람객들의 평은 좋지못한편. 코드가 안 맞는 사람이 보면 영화 내내 개그 코드, 캐릭터들의 행동 뭐 하나 이해도 공감도 되지 않는 괴작인지라 무작정 추천할 영화는 아니다. == 여담 == 영화의 주인공의 이름 '프랭크'는 실존 인물인 프랭크 사이드보텀(Frank Sidebottom)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프랭크 사이드보텀은 영국의 코미디언 크리스 시비(Chris Sievey)가 무대에서 활동했던 캐릭터의 이름인데, 영화에서처럼 실제로 탈을 쓰고 우스꽝스러운 노래를 하며, 7~80년대 더 프레시스(The Freshies)라는 밴드의 프런트맨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2010년을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영화의 내용은 100% 픽션이며 사실과 무관하다고 감독이 밝히고 있으나, 감독이 실제로 더 프레시스에서 키보디스트로 활동한 전적이 있다고 하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서 이 영화를 크리스 시비에게 헌정하고 있으니[* '그의 아웃사이더 정신과 가면에서 영감을 얻음' 이라고 말한다.] 영화를 볼 생각이라면 유심히 살펴보길. 재밌게도 [[마이클 패스벤더]]와 자주 엮이는 [[제임스 매커보이]]의 영화 《[[필스]]》에 아주 잠깐 등장한다. [[네이버 영화]] 네티즌 한줄평 중 한 관람객은 [[비긴어게인]] 표를 끊고는 [[프랭크]] 관에 들어가서 이 영화를 끝까지 관람했다고 한다. 같은 음악영화라 끝까지 앉아있었다고 한다.(...) 프랭크 탈의 묘한 생김새 때문에 [[삼각함수의 노래]] 플래시와 엮이기도 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랭크, version=57)] [[분류:2014년 영화]][[분류:영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아일랜드의 드라마 영화]][[분류:영국의 코미디 영화]][[분류:아일랜드의 코미디 영화]][[분류:영국의 음악 영화]][[분류:아일랜드의 음악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