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Frank Wels.jpg|width=100%]] || || 이름 ||프랑크 벨스[br](Frank Wels) || || 생년월일 ||[[1909년]] [[2월 21일]] || || 사망년월일 ||[[1982년]] [[2월 16일]] (향년 72세) || || 국적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8]] [[네덜란드]] || || 출신지 ||에더 || || 포지션 ||아웃사이드 라이트 포워드 || || 신체조건 ||163cm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GVV 유니타스 (1926-?)[br][[페예노르트 로테르담]] (?-?)[br]GVV 유니타스 (?-1951) || || 국가대표 ||36경기 5골 (1931-1938)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1926년 호린컴(Gorinchem)의 GVV 유니타스에서 데뷔한 벨스는 1928년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을 3대2로 꺾는데 일조하며 팀의 2부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벨스는 1951년까지 25시즌을 유니타스에서 뛰었으며 정확한 연도를 찾기는 어렵지만 페예노르트에서도 잠시 몸을 담은 적이 있다. 하지만 [[로테르담]]을 왕복하기 싫다는 이유로 1년 만에 다시 유니타스로 돌아갔다.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 벨스는 [[요프 판넬런]]처럼 네덜란드 리그의 비주류 팀 소속 선수임에도 네덜란드 국가대표팀에서 붙박이 주전으로 활약했다. 1931년 6월에 벨스는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와의 [[코펜하겐]] 원정 경기에서 풀백 마우크 베버와 함께 처음 오렌지 유니폼을 입었다. 1934년 3월, 벨스는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와의 경기에서 전반 14분 [[베프 바크하위스]]에게 헤딩골 어시스트를 기록했고, 이 골은 네덜란드에서 바크하위스의 헤더라 불리며 한동안 유명세를 탔다. 이 경기에선 5골을 넣은 [[레인 펜터]]를 앞세운 네덜란드 공격진의 대폭발로 벨기에에 9대2 대승을 거두었다. 벨스는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월드컵]]에도 참가했지만 네덜란드는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에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라운드#s-1.6|2대3으로 패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이후 1935년 11월에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를 상대로 팀의 세번째 득점을 성공시켰다. 이 골로 벨스는 22경기만에 [[A매치]] 첫 득점을 기록했으며 네덜란드의 3대0 승리에 기여했다. 벨스의 마지막 A매치는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라운드#s-1.8|1938년 월드컵 1라운드]]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전이었으며 네덜란드는 체코슬로바키아에게 연장에서만 3골을 허용하며 0대3으로 패했다. === 이후 === 은퇴 후엔 호린컴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카페테리아를 운영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빠른 스피드가 그의 장점이었다. 벨스의 네덜란드 대표팀에서 30경기 연속 출전 기록과 당시 대표팀의 모든 경기에서 벨스가 빠진 경기가 단 두 경기에 불과했음을 미뤄보면 벨스가 당시 네덜란드 대표팀의 오른쪽 측면 공격을 든든히 책임졌으며 몸관리도 뛰어난 선수였음을 알 수 있다. == 뒷이야기 == * 벨스의 키는 163cm로 벨스는 당시에도 작은 선수 축에 들어갔다. 벨스는 [[마뉘스 프라우브된트]]에 이어 역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국가대표팀]] 멤버 중 2번째로 작은 선수였다. [각주] [[분류:1909년 출생]][[분류:1982년 사망]][[분류:네덜란드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은퇴, 이적]][[분류:네덜란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