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호주의 대외관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 [[프랑스|{{{#ffffff '''프랑스'''}}}]][br]''{{{#fff France}}}''[br]''{{{#fff France}}}'' || [[호주|{{{#fff '''호주'''}}}]][br]''{{{#fff Australia}}}''[br]''{{{#fff Australie}}}'' || [목차] == 개요 == [[프랑스]]와 [[호주]]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호주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프랑스와 수교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 측에 참전하여 서부전선에서 전사한 호주군 병사가 45,000여 명에 달한다. 호주에는 프랑스계 성씨를 가진 인구도 적지 않은데 프랑스에서 호주로 직접 이민한 인구보다는 근세 [[위그노]] 탄압 당시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이민했던 프랑스계 영국인 후손들이 호주로 재이민한 경우라고 한다. 물론 이런 경우에는 성씨만 프랑스계고 사실상 영국계로 봐야 한다. 호주는 문화적으로 [[기독교 근본주의]] 문화가 강한 미국보다는 유럽의 영국, 프랑스와 유사점이 많은 편이다. 일례로 호주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68 혁명]]의 영향으로,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해변에서 [[톱리스]] 선탠을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다른 한편으로 호주는 프랑스의 와인 산업을 벤치마킹하여 자국 내 와인 산업을 육성하였는데, 오늘날 호주산 와인은 호주의 주요 수출품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호주와 와인 시장에서 가성비 좋은 와인으로 경쟁하는 칠레 역시 프랑스인들의 도움을 통해 와인 산업을 발전시켰던 바 있다.] 양국은 [[냉전]]시절에 잠시 [[동남아시아 조약기구]]에 가입한 적이 있었다.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가 해체된 뒤에도 양국은 군사적인 협력을 자주 했다. === 21세기 === [[탈냉전]] 이후에도 양국의 교류와 협력은 유지되고 있다. 호주는 프랑스와의 교류, 협력이 많은 편이다. 호주내에는 [[프랑스계 호주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호주의 모델 [[허버트 자매]]가 프랑스계 호주인이다.] 호주 백인 인구가 출산율이 낮은 것과는 별개로 프랑스계 호주인 인구는 201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인데,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에서 호주로 이민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주와 프랑스는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에도 군대를 잠시 파견한 적도 있었다. 양국간의 군사적인 협력이 활발하기 때문에 2010년대부터 [[시진핑]] 정권이 들어서자 프랑스와 호주는 중국을 견제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호주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와 협력을 강화했다. 그리고 2020년대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자 양국은 중국을 제재하는 등 중국을 견제했다. 2021년 9월에 미국, 영국, 호주가 [[AUKUS]]를 결성하고 호주가 프랑스와의 잠수함 계약을 파기하자 프랑스는 이에 격앙했다. 양국간에 갈등이 커지면서 프랑스는 주 호주 프랑스 대사를 소환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728516|#]] 주 호주 프랑스 대사는 미국과 호주의 잠수함 계약은 큰 실수라고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729070|#]] 장 이브르 드리앙 프랑스 외교부 장관도 현지 언론에 출연해 강도높게 비판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8110#home|#]] 스콧 모리슨 총리는 프랑스의 잠수함 무산 반발에 이해한다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14&aid=0004711528|#]] 프랑스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호주를 "더이상 신뢰하지 않는 나라"라고 못박았다.[[https://m.seoul.co.kr/news/newsView.php?cp=seoul&id=20210923005001|#]] 2022년 호주 총선을 통해 정권이 바뀌자 일방적으로 파기한 데 대해 5억5천500만 유로(약 7,478억원)의 위약금을 내기로 합의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611028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2023년 1월 30일, 양국은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해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27784?sid=104|#]] == 문화 교류 == 양국간에는 문화 교류가 일부 존재한다. 호주내에선 [[프랑스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호주로도 프랑스인 관광객들이 오고 있다. [[프랑스/문화|프랑스 문화]]는 호주에서도 인기가 많은 편이고 [[프랑스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이 존재한다. == 대사관 == [[캔버라]]에 주 호주 프랑스 대사관, [[파리(프랑스)|파리]]에 주 프랑스 호주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프랑스/외교]] * [[호주/외교]] * [[프랑스/경제]] * [[호주/경제]] * [[프랑스/문화]] * [[호주/문화]] * [[프랑스인]] /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프랑스어]] / [[영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분류:프랑스의 대국관계]][[분류:호주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