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지부티의 대외관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파일:지부티 국기.svg|width=100%]] || || [[프랑스|{{{#ffffff '''프랑스'''}}}]] || [[지부티|{{{#fff '''지부티'''}}}]]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와 [[지부티]]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지부티는 프랑스의 지배와 영향을 받았고 지부티는 [[프랑코포니]] 회원국이다. 지부티에는 프랑스군 기지가 존재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72267?sid=104|#]] 그리고 지부티는 프랑스와 협력이 활발하다. 지부티내에는 프랑스군 1,500명이 주둔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0398307?sid=104|#]] == 역사적 관계 == === 19세기 === 19세기 후반에 지부티 지역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프랑스는 영국의 지배하에 있던 아덴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를 군기지로 육성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706963?sid=104|#]] 그리고 프랑스 외인부대의 주둔지이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16370?sid=100|#]] 프랑스의 지배 당시, 지부티 지역은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란 이름의 프랑스령 지역이었다. === 20세기 === 프랑스의 지배는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기간에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는 [[비시 프랑스]]군의 점령을 받았다가 [[영국]]이 다시 점령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는 다시 프랑스에게 반환됐다. 1976년,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에서 프랑스군 자녀들이 탄 스쿨버스가 납치됐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230592|#]]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는 1977년에 프랑스에서 독립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7/0000005476?sid=102|#]] 1997년 7월 24일, 프랑스 정부가 지부티 주둔 프랑스군의 규모를 2,800명의 규모로 줄이는 것을 검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144221?sid=104|#]] === 21세기 === 21세기 이후, 지부티는 프랑스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프랑스군]]이 지부티에 주둔해 있다. 또한, 교류가 일부 존재하며 프랑스는 지부티에서 영향력이 강하다. 2013년 이전에는 지부티가 아프리카내 프랑스군의 대표적인 기지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16370?sid=100|#]] 이후에도 지부티 주둔 프랑스군은 아프리카 최대 기지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989868?sid=104|#]] ==== 2000년대 ==== 2006년 4월 6일, 지부티 연안에서 200명을 태운 여객선이 전복돼 미군과 프랑스군이 구조작업에 나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26537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43/0000021468?sid=104|#2]] 2007년 5월에 퇴임한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이 지부티에서 일어난 프랑스 판사 의문사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2/0000070155?sid=101|#]] 2008년 4월 14일, 프랑스 호화요트가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납치돼 지부티 주둔 프랑스군 기지에서 인질 구출작전을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125852?sid=104|#]] 6월 4일, 국제사법재판소는 프랑스 법원의 지부티 대통령 출석 요구는 정당하는 판결을 내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125330?sid=104|#]] 11월 2일, 프랑스와 스페인 양국이 지부티에서 소말리아 해적을 퇴치하기로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345805?sid=104|#]] ==== 2010년대 ==== 2011년 8월 9일, 프랑스는 지부티에 200,000t의 곡물 수송기을 보내 기아에 시달리고 있는 지부티 18,000여명의 어린이들을 돕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4014491?sid=104|#]] 2014년, 지부티에 파견온 프랑스 군인이 [[이슬람 근본주의]] 사상에 빠지자 퇴출돼 이슬람 극단주의 조직을 이끌다가 2016년에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7089645?sid=104|#]] 2017년 4월 23일, 프랑스에서 실시된 결선투표에서 재외 프랑스 국민투표에서 르펜 후보가 지부티에서 1위에 올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7922128?sid=104|#]] 2018년 12월 21일, 샤를리엡도 총격테러의 공범이 지부티에서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540786?sid=102|#]] 2019년 3월 12일, 마크롱 대통령이 지부티를 방문해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하면서 중국을 견제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693227?sid=104|#]] ==== 2020년대 ==== 2020년 3월 14일, 스페인 특수부대원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지부티 주둔 프랑스군의 동의를 얻어 항공기에 있던 모든 군인들이 격리조치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82732?sid=104|#]] 2021년 7월 27일, 알샤바브가 추종자들에게 지부티의 미국과 프랑스 관련 목표물을 공격하라고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289812?sid=104|#]] == 문화 교류 == 지부티는 프랑스의 지배와 영향으로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돼 있다. 지부티는 프랑스어와 [[아랍어]]가 공용어이지만, [[아파르어]], [[소말리어]]도 쓰이고 있다.[[https://www.ajunews.com/view/20200117085358077|#]] 그리고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프랑스/문화|프랑스 문화]]와 토착 문화, 이슬람 문화가 섞여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163479?sid=102|#]] == 여담 == 프랑스의 영화감독 클레르 드니가 카메룬, 소말리아, 지부티에 거주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40/0000030188?sid=004|#]] 카디프생명의 부사장 크리스토프 모로가 AXA 및 지부티 소재 은행 등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2435376?sid=101|#]] == 관련 문서 == * [[프랑스/외교]] / [[프랑스/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지부티/외교]] * [[프랑코포니]] * [[프랑스/역사]] * [[지부티#역사|지부티/역사]]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 외부 링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017136?sid=104|<그래픽> 주요국 지부티 군사기지 현황(연합뉴스)]] [[분류:프랑스의 대국관계]][[분류:지부티의 대국관계]][[분류:프랑코포니]][[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분류:동맹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