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스위스의 대외관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70%]] || || [[프랑스|{{{#ffffff '''프랑스'''}}}]] || [[스위스|{{{#fff '''스위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와 [[스위스]]의 관계. 프랑스와 스위스는 언어, 문화, 종교에서 공통점이 존재한다. 양국은 [[프랑코포니]] 회원국들이다. == 역사적 관계 == === 중세 이전 === 고대부터 스위스 지역과 갈리아 지역에는 [[켈트족]]들이 거주했다. 이후에 [[로마 제국]]이 갈리아 지역과 스위스 지역을 정복하면서 양 지역은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아 로마화되었고 [[라틴어]]도 쓰게 되었다. 로마 제국이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으로 나뉘어질 때에 갈리아 지역과 스위스 지역은 서로마 제국의 영역이 되었다. === 중세 ===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갈리아 지역에 [[프랑크 왕국]]이 세워졌다. 갈리아 지역과 스위스 지역에 정착한 프랑크족들도 갈리아인들과 통혼하게 되었다.[* 단, 스위스내의 독일어 사용 지역은 프랑스어 사용 지역과는 차이가 커지게 되었다.] 프랑크 왕국이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으로 나뉘어졌을 때에는 서프랑크 왕국에 스위스와 프랑스가 포함되었다. === 근세 === 르네상스때에 프랑스와 스위스의 프랑스어권은 교류가 많았다. [[장 칼뱅]]도 [[제네바]]에 정착하면서 [[칼뱅파]]를 창시했다. 스위스의 프랑스어권 지역에서 칼뱅파가 생겨났다.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 양국은 전투를 치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08/0000030565?sid=104|#]] 17세기에 프랑스의 [[위그노]]들이 스위스로 이주했다.[[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24791|#]] 제네바는 스위스로 이주한 프랑스인들을 프랑스가 추적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은행 정보를 외국 정부에 제공하지 못하게 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60984?sid=101|#]] === 21세기 === 스위스는 [[유럽 연합]]에 가입되어 있지 않지만,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연합 회원국들과 교류가 많은 편이다. 양국간의 교류가 많다보니 [[프랑스인]]들중에는 스위스에 정착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프랑스의 배우 알랭 들롱도 스위스에 정착해 스위스 국적도 취득했다.] 스위스인 의사들이 프랑스로 자주 가서 근무하는 경우도 존재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08/0000027549?sid=104|#]] [[코로나19]]가 퍼진 상황에서 프랑스의 부자들이 스위스로 이주하는 경우가 늘어났다.[[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799|#]] 2009년 8월 27일, 프랑스와 스위스는 조세정보 교환협정을 체결했고 2010년에 발효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836910?sid=101|#]] ==== 2010년대 ==== 2010년 2월 13일, 프랑스와 스위스 양국은 조세 분쟁을 타결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121764?sid=104|#]] 4월 14일, 프랑스 검찰이 프랑스인의 탈세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스위스 프라이빗 은행에서 유출된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조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4/0002015462?sid=101|#]] 2011년 6월 27일, 프랑스 알자스 지방에서 있었던 원전 폐쇄 요구 시위에서 프랑스인보다 독일인, 스위스인 참가자가 많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43/0002041183?sid=104|#]] 2012년 9월 19일, 프랑스 수사당국이 스위스 최대 은행 UBS의 탈세 혐의와 관련해 파리 지사와 스트라스부르, 리옹, 보르도 지사를 압수수색했다.[[https://www.etoday.co.kr/news/view/633086|#]] 2013년 9월 29일, 스위스군이 프랑스의 현금 탈취 대비 가상 훈련을 실시했다고 스위스 언론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0482685?sid=104|#]] 2014년 6월 21일, 스위스의 축구선수 슈테페 폰 베어겐이 프랑스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부상당해 스위스로 돌아가 치료를 받았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2809370|#]] 6월 25일, 프랑스와 스위스 양국은 불법 탈세 정보 공유 협정을 체결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3016267?sid=101|#]] 10월 30일, 스위스의 대통령이 프랑스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1/0004528253?sid=104|#]] 2015년 4월 16일, 올랑드 대통령이 스위스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1/0004742079?sid=104|#]] 4월 27일, 프랑스의 국민전선 명예대표가 스위스 비밀계좌에 거액을 숨겨두고 있다고 프랑스 언론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559763?sid=100|#]] 7월 28일, 스위스 국방부는 허가없이 프랑스의 호수에서 물을 퍼간 것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759777?sid=104|#]] 11월 14일, 파리 테러와 관련해 스위스의 소마루가 대통령은 프랑스를 지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985990?sid=104|#]] 2017년 7월 18일, 마크롱 대통령이 스위스 대통령을 만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075325?sid=104|#]] 10월 10일, 스위스 경찰은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 흉기테러를 저지르던 튀니지인 2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215903?sid=104|#]] 11월 7일, 프랑스와 스위스에서 테러를 모의하던 10명이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3035112?sid=104|#]] 2018년 2월 18일, 프랑스의 알프스 산악지대와 스위스의 프랑스 접경지역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296496?sid=102|#]] 2019년 2월 21일, 스위스 글로벌 금융기업 UBS가 프랑스 부자들의 세금 탈루를 도운 혐의로 37억 유로의 벌금과 8억 유로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978452?sid=104|#]] 6월, 양국의 알프스 지방에서 강풍이 일어나 와이너리들이 큰 피해를 봤다.[[http://www.sommelier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92|#]] 게다가 사망자가 2명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894585?sid=104|#]] 8월 16일, 프랑스의 랩퍼 2명이 스위스에서 200만 유로짜리 격투(!)를 치르러다가 스위스 당국의 경고를 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023658?sid=104|#]] 8월 28일, 프랑스 검찰과 스위스 검찰은 도쿄 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뇌물 수사에 나섰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0&aid=0000618750|#]] 12월 9일, 프랑스의 한 코미디언이 스위스에서 반유대주의 발언을 하다 피소됐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646257|#]] ==== 2020년대 ==== 2020년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로 확산돼 양국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어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알프스 산맥의 슬로프 운영부분에서 프랑스쪽 지역에서 영업이 중단된 반면, 스위스쪽 지역에선 영업이 유지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060802?sid=104|#]] 다만, 스위스 정부는 인접국들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어나자 지역별 입국 제한을 도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899741?sid=104|#]] 2021년 6월 15일, 프랑스에서 안락사를 요구하던 프랑스인 환자가 스위스에서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900985?sid=104|#]] 6월에 투르 드 스위스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선수들이 대거 기권했고 7월에는 투르 드 프랑스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선수들이 기권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712001756302|#]] 유럽에서 폭염이 일어나자 프랑스, 스위스에서 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줄이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18860?sid=104|#]] 2022년 7월 24일, 양국은 상점을 문열고 냉난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06012?sid=104|#]] 8월 9일, 스위스의 알프스 산맥을 등산중이던 프랑스인 2명이 유골을 발견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09093?sid=104|#]] == 경제 교류 == 양국간의 경제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프랑스 기업들이 스위스에 많이 진출했다. 스위스 선사 MSC이 프랑스 최대 항만인 르아브르 컨테이너터미널 개발에 7억 5,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https://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pNum=134972|#]] 2001년 11월 21일, 스위스와 EU간 자유무역협정이 프랑스 상원과 하원에서 통과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15664?sid=104|#]] 2021년 12월 8일, 프랑스와 스위스가 중앙은행이 주도하는 디지털 통화(CBDC)를 통한 외환거래 시험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쳤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12091042023803c4c55f9b3d_1/article.html?md=20211209112045_U|#]] == 문화 교류 == 양국은 프랑스어가 공용어에 속해 있다. [[프랑스어]]는 프랑스와 스위스에서 쓰이는 표현과 발음이 약간 다른 편이지만, 같은 프랑스어권이기 때문에 [[프랑스인]]들중에는 스위스의 프랑스어권에 거주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스위스인들도 프랑스로 자주 가는 경우도 많이 있다. 스위스도 [[프랑코포니]]에 가입돼 있고 외교 언어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2019년, 프랑스의 작가 사예프가 스위스의 산에 작품 '우정의 밀수꾼'을 완성시키면서 눈길을 끌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383104?sid=104|#]] === 스포츠 === 2006년 6월 14일, 프랑스 축구팀이 스위스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로 끝났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49&aid=0000026628|#]] 2014년 6월, 프랑스 축구팀이 스위스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96&aid=0000315663|#]] 2016년, 프랑스 축구팀이 스위스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로 끝나면서 16강전에 진출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8482587|#1]][[https://news.koreadaily.com/2016/06/19/sports/soccer/4365863.html|#2]] 유로 2020에서 프랑스 축구팀이 스위스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14&aid=0001132663|#1]][[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17&aid=0003633770|#2]] == 교통 교류 == 양국을 이어주는 항공 노선, 철도, 도로 등이 존재한다. 양국 국민들은 항공 노선, 철도, 도로 등을 통해 자주 왕래하고 있다. 그리고 양국간에 [[솅겐조약]]이 체결돼 있어서 자유로운 이동과 교류가 가능하다. 하지만 스위스에서 솅겐조약을 탈퇴할려는 투표가 진행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501675?sid=104|#]] 2008년, 프랑스와 스위스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로패스 할인 행사를 개최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1954566?sid=103|#]] 2019년에 스위스와 프랑스를 연결하는 레만 익스프레스가 개통됐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911181623259305c77c103522_1/article.html?md=20191118165213_U|#]] == 여담 == 프랑스와 스위스의 국경에 위치한 레 후쓰라는 마을에 국경을 사이에 둔 호텔이 존재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143689?sid=103|#]] 프랑스의 배우 [[알랭 들롱]]이 스위스의 국적을 취득해 스위스에 거주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146851?sid=103|#]] == 관련 문서 == * [[프랑스/외교]] * [[스위스/외교]] * [[프랑코포니]] * [[프랑스/역사]] * [[스위스/역사]] * [[프랑스/경제]] * [[스위스/경제]] * [[프랑스어]][* 양국은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돼 있다.]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분류:프랑스의 대국관계]][[분류:스위스의 대국관계]][[분류:프랑코포니]][[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