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니제르의 대외관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파일:니제르 국기.svg|width=100%]] || || [[프랑스|{{{#ffffff '''프랑스'''}}}]] || [[니제르|{{{#fff '''니제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와 [[니제르]]의 관계. 니제르는 1904년에서 1960년까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2023년 기준 니제르 국민들의 절대 다수가 반프랑스이며 바그너그룹이 니제르에 방문했을 때 러시아 국기를 흔들며 열렬히 환호했다. 니제르 국민들은 프랑스 대사관 앞에서 계속 반프랑스 시위를 벌이고 있다. 니제르인들은 러시아를 서방 세력의 착취로부터 구해줄 해방자로 보고 있다. 이 원인은 역사적 문제로는 니제르는 옛날부터 프랑스 제국 시절 프랑스 통치 하에 있었기에 니제르 국민으로써는 옛날 자기 국가를 식민지배 한 국가가 아직도 영향력을 강하게 휘두르니 고운 감정을 들리가 없다. 다음으로는 군사작전 문제인데 미국과 프랑스는 사헬지대에 ISIL이 여전히 활동하여서 니제르 군과 군사협력이라는 형식으로 되어있으나 사실상 니제르 군 현대화나 재정을 일부 도와주는 대신 니제르 토지에서 군사작전을 허용한 것이었다. 그래서 ISIL을 전부 박살내거나 성과를 냈다면 몰라도 미-프 주둔군은 니제르 영토서 군사작전을 펼쳤음에도 박멸을 하지 못 하면서 니제르 국민들은 '우리 땅에서 저렇게 총들고 깽판쳐놓고 성과도 못 내는데 왜 주둔함?'이라는 시각이 짙은 상황이다. 그래서 자국에게 피해를 주지 않은 러시아에게 호의적이고 유일한 희망으로 기대하는 현상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니제르 일대는 1904년에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당시 니제르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로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으면서 니제르는 프랑스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동시에 프랑스의 지배로 인해 탄압을 받기도 했다. 이에 니제르에서도 프랑스에 대해 반감이 있었다.[* 니제르는 역사적인 이유로 프랑스에 대해 반감이 있는 편이다.] 프랑스는 니제르 지역을 지배하면서 [[프랑스어]] 교육을 시행하기도 했다. 20세기 중반이 되면서 프랑스령 지역이 독립하면서 니제르 지역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원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1960년에 니제르는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공식 수교했다. === 21세기 === 니제르는 쿠데타가 일어나기 전까지 프랑스와 협력이 활발했고 프랑스는 니제르에 영향력이 강했다. 니제르는 프랑코포니에 가입했다. 2018년 2월 22일, 말리와 니제르에 주둔중이던 프랑스 군인 2명이 테러 격퇴 작전 도중에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915593?sid=104|#]] 2020년 8월 9일, 니제르에서 무장괴한들이 프랑스 구호요원 6명과 니제르 가이드 2명 등 8명을 살해한 사건이 일어나면서 마크롱 대통령과 니제르의 마하마두 이수프 대통령은 전화통화에서 테러단체와의 전쟁을 계속하겠다는 결의를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03334|#1]][[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012664|#2]] 프랑스군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05651?sid=104|추격전을 개시했다.]] 위 사건에 대해 IS가 자기들이 행한 일이라고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91189?sid=104|#]] [[2023년 니제르 쿠데타]] 이후 반서방 친러 성향의 군부가 집권했다. 니제르 국민들도 프랑스를 비롯한 서방세력의 철수를 요구하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와 연계된 [[바그너 그룹]]이 쿠데타에 개입한다는 정보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프랑스는 말리에 이어 니제르에서도 영향력이 축소되고 있다. 8월 3일, 니제르 군부가 프랑스 방송 송출을 금지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11570?sid=104|#]] == 문화 교류 == 니제르는 프랑스의 지배와 영향으로 [[프랑스어]]가 공용어이자 [[프랑코포니]] 회원국이다. 프랑스어의 경우 니제르의 공용어이지만, 니제르가 [[하우사족]] 등 여러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어서 이들 민족들은 프랑스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 군사 교류 ==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들이 니제르에 진출하면서 프랑스는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을 격퇴하기 위해 니제르에 [[프랑스군]]을 주둔시켰다.[* 프랑스군은 니제르 내에서도 미군과 협력하고 있다.] 또한, 니제르 정부도 프랑스 정부와 협력해서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을 격퇴했다. 2021년 7월 10일, 마크롱 대통령은 사헬지대의 프랑스군 규모 축소를 밝혔고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국경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516191?sid=104|#]] 2022년 8월 15일, 프랑스군이 말리에서 완전히 철수해 니제르로 프랑스 측이 병력을 옮겼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76517?sid=104|#]] 2023년에 니제르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니제르 군부가 프랑스와의 군사협정도 파기되었다.[[https://m.yna.co.kr/view/AKR20230804139800099?section=international/all|#]] 9월 5일, 프랑스가 니제르의 병력 일부를 철수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73607?sid=104|#]] == 니제르인 공동체 == 니제르인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프랑스로 이주 및 거주하는 경우도 있고 이들 니제르인들은 [[프랑스 흑인]]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 대사관 == 프랑스는 [[니아메]]에 대사관을 두고 있었으나 현재 추방된 상태이다. 니제르는 [[파리(프랑스)|파리]]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2023년 7월 말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니제르 군부는 프랑스가 정권의 합법성을 인정하지 않자 실뱅 이테 프랑스 대사와 그 가족에게 추방 명령을 내렸다. 2023년 9월 27일 니제르 쿠데타 이후 주니제르 프랑스 대사관이 철수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927174300081?section=international/all|#]] == 관련 문서 == * [[프랑스/외교]] / [[프랑스-아프리카 관계]] / [[프랑스/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니제르/외교]] * [[프랑코포니(국제기구)|프랑코포니]] * [[프랑스/역사]] * [[니제르#역사|니제르/역사]]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신냉전]]'''([[2023년 니제르 위기]])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서아프리카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랑스/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version=138, paragraph=5.12, title2=니제르/외교, version2=2, paragraph2=3.1)] [[분류:프랑스의 대국관계]][[분류:니제르의 대국관계]][[분류:프랑코포니]][[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분류:과거의 동맹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