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프랑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프랑스의 국기(國技), rd1=프랑스/문화, paragraph1=6)] [include(틀:세계의 국기)] [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2> '''{{{#fff {{{+1 프랑스 국기}}}[br]Drapeau de la Franc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별칭''' ||삼색기(Drapeau tricolore) || || '''채택일''' ||[[1794년]] [[2월 15일]] ([[프랑스 제1공화국]]) || || '''비율''' ||2:3 || || '''유니코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L’emblème national est le drapeau tricolore, bleu, blanc, rouge. >'''국가의 상징은 파랑, 하양, 빨강의 삼색이다.''' >---- >[[http://www.assemblee-nationale.fr/connaissance/constitution.asp|프랑스 헌법 제2조]] '''프랑스 국기'''(Drapeau de la France), 통칭 '''삼색기'''(Drapeau tricolore)는 [[프랑스]]의 [[국기]]이며 파랑, 하양, 빨강의 세로선으로 된 [[삼색기]]이다. == 역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국기사.jpg|width=100%]]}}} || ||<-2>
'''{{{#fff 프랑스 국기의 역사}}}'''[* [[https://www.reddit.com/r/vexillology/comments/qu8029/french_flag_history/]|출처]] 2021년 11월 15일 국기 배색 변경 기념으로 올라온 포스팅이다. 다만 오류가 좀 있다.] || 본래 [[프랑스 왕국]]에서는 백합 문장을 왕실의 상징으로 사용하였다. 프랑크 왕국 시절부터 [[오리플람]]이라는 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깃발을 사용하기도 했다. 따라서 왕국 시대에 삼색기를 묘사했다면 반영 오류. 프랑스 국기의 파란색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1794년 [[프랑스 혁명]] 이후 왼쪽부터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삼색기 사용이 고착화된 이후의 변경 내역은 아래와 같다. ||<-4><#000> '''{{{#fff 역대 프랑스 국기 변천사(1794년 이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814-1830).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848).svg|width=100%]]}}} || ||<#000000> '''{{{#fff 1794 -1815}}}'''[*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제1제국]] 백일천하 당시에도 잠깐 쓰였다.] ||<#000> '''{{{#fff 1815-1830}}}'''[* [[부르봉 왕정복고]] 왕실의 상징색인 하얀색만 깃발에 넣어서 국기가 [[백기]]가 되었다.] ||<#000> '''{{{#FFF 1830 - 1848}}}'''[* [[7월 왕정]]] ||<#000> '''{{{#FFF 1848}}}'''[* [[프랑스 제2공화국]] 1848년 2월 23일부터 3월 5일까지는 하얀색과 빨간색의 위치가 반대로 된 깃발을 쓰기도 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장.svg|width=60%]]]] || ||<#000> '''{{{#FFF 1848-1976}}}'''[* [[프랑스 제2공화국]] ~ [[프랑스 제2제국]]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 제5공화국]]] ||<#000> '''{{{#FFF 1976-}}}'''[* [[프랑스 제5공화국]]. 당대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이 [[유럽 연합]]의 파란색과 맞추기 위해 변경하였다.] ||<#000> '''{{{#FFF 2021-(일부 관공서 한정)}}}'''[* [[프랑스 제5공화국]]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에 의해 엘리제궁을 비롯한 일부 관공서에 도입되었으며, 기존의 국기를 완전히 대체하라는 지시는 내려지지 않았다.] || == 색상 == ||<-3><#000> {{{+1 '''{{{#fff 마리안 로고의 프랑스 정부 지침}}}'''[* [[https://www.gouvernement.fr/charte/charte-graphique-les-fondamentaux/les-couleurs|출처]], 엄밀히 말하면 정부로고인 마리안의 지침이다. 이 색상은 밝은 파랑을 사용한 프랑스 국기의 색상과 거의 같다.]}}} || ||<-3> 헥스코드 || ||<#000091> {{{#fff 파랑}}} ||<#ffffff> {{{#000 하양}}} ||<#e1000f> {{{#fff 빨강}}} || || #000091 || #FFFFFF || #E1000F || ||<-3> PMS || ||<#000091> {{{#fff 파랑}}} ||<#ffffff> {{{#000 하양}}} ||<#e1000f> {{{#fff 빨강}}} || || 072C || - || 485C || ||<-3> CMYK || ||<#000091> {{{#fff 파랑}}} ||<#ffffff> {{{#000 하양}}} ||<#e1000f> {{{#fff 빨강}}} || || C: 100%[br]M: 90%[br]Y: 20%[br]K: 7% || C: 0%[br]M: 0%[br]Y: 0%[br]K: 0% || C: 0%[br]M: 100%[br]Y: 100%[br]K: 0% || ||<-3> RGB || ||<#000091> {{{#fff 파랑}}} ||<#ffffff> {{{#000 하양}}} ||<#e1000f> {{{#fff 빨강}}} || || R: 0[br]G: 0[br]B: 145 || R: 255[br]G: 255[br]B: 255 || R: 225[br]G: 0[br]B: 15 || ||<#000091> {{{#ffffff 파랑(#000091)}}} ||<#ffffff> 하양(#FFFFFF) ||<#E1000F> {{{#ffffff 빨강(#E1000F)}}} || ||<-3> 정부지침(마리안 로고) 헥스코드 구현 색상 || ||<#001489> {{{#ffffff 파랑(#001489)[br]PMS Reflex Blue}}} ||<#ffffff> 하양(#FFFFFF) ||<#EF3340> {{{#ffffff 빨강(#EF3340)[br]PMS 032}}} || ||<-3> [[https://library.olympic.org/Default/doc/SYRACUSE/34593/flags-and-anthems-manual-london-2012-spp-final-version-london-organising-committee-of-the-olympic-ga?_lg=en-GB|런던 올림픽 국기와 국가 안내]]에 나온 PMS 카탈로그에 있는 코드와 그것으로 구현한 웹색상 || [[삼색기]](Le drapeau tricolore)라고도 불리며 파랑-하양-빨강의 3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3색은 [[자유, 평등, 우애]]를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훗날 [[프랑스 혁명]]의 모토에 따라 덧붙인 의미이고, 원래는 [[파리(프랑스)|파리]]의 시기(市旗)에서 [[https://www.elysee.fr/la-presidence/le-drapeau-francais|유래]]한 것이다[* 오늘날에도 파리를 중심으로 한 [[일드프랑스]] 지역은 프랑스 후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주 도시에 해당한다.]. 파랑은 [[투르]]의 성 마르티노, 빨강은 성 [[디오니시오]]를 상징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리 깃발.svg|width=100%]]}}}|| || {{{#000 오늘날의 파리 시의 시기.}}} || 처음에 파리의 시기는 파랑과 빨강의 2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1789년]] [[7월 14일]]에 일어난 [[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 당시 파리 시민들이 이 파리의 시기를 두르고 습격에 참여했다. [[바스티유 감옥]] 습격이 성공하고 혁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파랑과 빨강은 혁명을 대표하는 색이 되었는데 당시 혁명을 이끌던 인물들 중 한 명인 [[라파예트]]가 혁명 프랑스의 새 국기로 혁명을 대표하는 색인 파랑과 빨강을 사용하고, 이미 사용되고 있는 파랑-빨강의 파리 시기와 구별되도록 가운데에 하양을 집어넣은 파랑-하양-빨강의 삼색기를 제안한 것이 삼색기의 시초다. 가운데의 하양은 [[앙시앵 레짐]]을 대표하는 [[부르봉 왕조]]를 상징하는 색(백색기)이기도 하였으므로 파리 시민에 의해 포위된 왕을 의미하기도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색 코케이드.jpg|width=100%]]}}}|| || {{{#000 삼색 코케이드.}}} || 이후 혁명군은 파랑, 빨강, 하양이 그려진 장식인 삼색 [[코케이드]](Cocarde tricolore)를 자신들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레 미제라블]]에서 혁명군 [[앙졸라스]]와 그 친구들이 차고 다니던 것이다. 이 문장은 지금도 계승되어 [[프랑스 공군]]의 [[라운델]] 등으로도 사용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790-1794).svg.png|width=100%]]}}}|| || {{{#000 1790년에 지정된 국기.}}} || [[1789년]] [[7월 27일]]에는 라파예트가 제안한 삼색이 국가 방위대의 군복색으로 지정되면서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았고, [[1790년]] [[10월 31일]] [[프랑스 의회]]가 삼색기를 국기로 지정하면서 프랑스 국기는 삼색기가 되었다. 그 당시에는 파랑과 빨강이 지금의 위치와는 정반대인 빨강-하양-파랑 순이었는데 이게 지금의 형태로 바뀌게 된 것은 [[1794년]] [[2월 15일]]이다. [[프랑스 해군]]은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Flag_of_French-Navy-Revolution.svg#mw-jump-to-license|하양 바탕에다 왼쪽 위에 삼색기를 그린 형태의 기]]를 해군기로 쓰고 있었는데 공화 정부가 "하양은 왕정을 대변하는 색"이라면서 해군기에서 하양 바탕을 빼고 삼색기만을 쓸 것을 지시하였다. 그런데 이 삼색기를 선박의 꼭대기에 달았을 때 [[파란색]]이 바깥쪽에 있어서 멀리서 보면 파란색이 하늘이나 바다의 색과 비슷하여 잘 인식되지 않고, [[빨간색]]과 [[하얀색]]만 보였기 때문에 어느 국가인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생겼다. 공화 정부는 이것을 빨강과 파랑의 위치를 서로 바꿔 버리는 것으로 해결했다. 파랑-하양-빨강의 삼색기를 고안한 사람은 [[테니스 코트의 서약]], 알프스 산맥을 넘는 나폴레옹 등으로 유명한 [[자크 루이 다비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해군기.svg|width=100%]]}}}|| || {{{#000 1852년의 해군기.}}} || 한편 해군기는 해군기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국기만을 쓰다가 [[프랑스 제2제국]]이 출범한 [[1852년]]에 기존 삼색기의 삼색 비율을 변경한 것을 해군기로 쓰기 시작했다. 파랑-하양-빨강의 비율은 30:33:37 비율이다. [[1976년]] 국기의 색이 연해졌지만 이 깃발은 과거의 진한 색을 유지하고 있다. 이 세로 모양의 삼색 국기는 [[서유럽]] 국가[* [[이탈리아]], [[아일랜드]], [[벨기에]] 등]와 일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차드]], [[코트디부아르]], [[세네갈]], [[카메룬]], [[말리]], [[기니]] 등]의 국기 디자인에도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자유 프랑스]]와 [[비시 프랑스]] 정부의 프랑스가 하양 중앙에 각각 국토 수복을 의미하는 로렌 십자와 전통적인 [[십자가]]가 있는 7개의 노란 오각별 무늬를 집어넣기도 하였다. 프랑스 영화인 삼색은 프랑스 국기의 3색을 본따 자유, 평등, 박애라는 색깔별 시리즈를 내놓기도 하였다. 프랑스와 관련된 것은 대부분 이 삼색기가 들어가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 3.svg|width=100%]]}}} || ||<#000> '''{{{#FFF 진한 색깔}}}''' ||<#000> '''{{{#FFF 연한 색깔}}}''' || 진한 색깔과 연한 색깔을 섞어놓은 이미지.[[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lag_of_France_(shade_comparison).svg#mw-jump-to-license|#]] ~~[[아수라 백작]]?~~[* [[위키백과]]에서 진한 색상의 이미지가 왔다갔다한다. 자세한 건 후술.] [[2021년]] [[11월 9일]], [[파란색]]이 [[코발트블루]]에서 진한 네이비블루로 바뀌었다. 파란색보다는 차라리 남색에 가까울 지경. [[2021년]] 7월부터 [[엘리제궁]]에서 공지 없이 변경한 것이 시초이며, 공식 발표 이전까지만 해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대통령]]을 취재하던 기자들은 색 차이가 너무 미묘해서 이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바꾼 이유에 대해서는 마크롱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 혁명 시절을 강조한다는 주장이 있다. 사실 1976년에 바뀐([[1974년]]이라는 정보도 있다.) 밝은 파랑은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당시 대통령이 [[유럽연합]] 깃발과 맞추기 위해 바꾼 것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671085|머니투데이]] [[https://www.europe1.fr/politique/info-e1-le-drapeau-francais-a-change-de-couleur-4076943|프랑스 언론]] 다만 엄밀히 말해 바꿨다는 국기 색깔은 엘리제궁, [[프랑스 내무부|내무부]], [[프랑스 국민의회]](하원) 등 일부 정부 건물에서만 교체되는 것으로, 다른 건물들에는 일일이 지시하지 않았다. [[프랑스어]] [[위키백과]]를 비롯한 다수의 위키백과에서 진한 색깔로 변경하였지만 기존의 국기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재선을 노리는 마크롱 대통령의 정치적 이벤트인 만큼, 마크롱 대통령의 퇴임 이후에는 밝은 색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최근 [[https://en.m.wikipedia.org/wiki/Flag_of_France|영어 위키백과는]] 최상단에 남-백-적 삼색기를 걸어 놓고 기존의 청-백-적 깃발은 '혼용 가능한 변형판'으로 격하해 설명하고 있으며 [[https://fr.wikipedia.org/wiki/Drapeau_de_la_France|프랑스어 위키백과 문서에선]] 아예 최상단 틀에 남-백-적 기만을 걸어 놓고 기존의 국기는 거의 보여주지도 않고 "폐기되었다"고 단정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Cette version a été abandonnée par le président Emmanuel Macron en juillet 2020, pour revenir à la version de 1848.] 사실 확인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프랑스어권]] 백과사전과 정부 지침, 이모지 등에서는 밝은 파랑이 적용된 깃발을 사용하고 있고 [[https://www.britannica.com/place/France|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s://www.france.fr/|프랑스 관광]] 등의 사이트에서는 어두운 파랑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마리안(프랑스)|마리안]] 정부로고는 여전히 밝은 파랑을 쓰는 등 전체적으로 어두운 파랑으로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밝은 파랑의 흔적이 남아있다. 참고로 [[https://diffusion.shom.fr/pro/downloadable/download/sample/sample_id/73/|2021년판 상선기 일람의 샘플]]을 보면 프랑스 국기도 나오는데 여기 나오는 색상은 어두운 파랑이다.] 이후 유튜브에서 프랑스를 표현하는 영상의 국기는 주로 어두운 파랑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그렇다고 [[1976년]] 이전에도 밝은 파랑이 없는 것은 아니었는데, 엄밀히 말해 밝은 파랑은 [[1976년]] 공식 채택 이전에도 존재하였다. [[1967년]]에 [[샤를 드골]] 대통령이 [[몬트리올]] 박람회에서 "자유 [[퀘벡]] 만세"[* [[퀘벡]]의 [[퀘벡 독립운동|분리주의]]를 자극한 것으로 유명한 그 연설이다.]를 외친 [[https://youtu.be/amApwFT49JQ|영상]][* 문제의 그 발언은 7분 35초부터 나온다.]을 보면 단상을 장식한 국기가 밝은 파랑으로 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당시에는 어두운 파랑과 밝은 파랑을 혼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해군이나 관공서의 비치용은 어두운 색이지만,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땐 밝은색을 많이 썼다고 한다. 국기의 색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별도로 두고 있는 국가가 있고 그렇지 않은 국가가 있다. 있다고 하더라도 [[네덜란드#국기|네덜란드]] 국기와 [[성조기#색상|성조기]] 처럼 너무 오래전에 만들었기 때문에 헥스코드나 PMS 가이드라인이 없어서 실제 쓰이는 깃발의 색상과 차이가 큰 경우도 있다.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없는 국가의 경우에는 관례상 쓰여오던 국기의 색상에 따르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별도의 절차 없이 국기의 색상을 [[프랑스 헌법]]에 적혀진 색상의 범위 내에서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 2.svg|width=100%]]}}}|| ||<-3> [[https://diffusion.shom.fr/pro/downloadable/download/sample/sample_id/73/|국적기 일람 샘플]]에 실린 프랑스 국기 지침 || ||<-3> PMS || ||<#041e42> {{{#fff 파랑}}} ||<#ffffff> {{{#000 하양}}} ||<#c8102e> {{{#fff 빨강}}} || || 282C || - || 186C || ||<-3> CMYK || ||<#041e42> {{{#fff 파랑}}} ||<#ffffff> {{{#000 하양}}} ||<#c8102e> {{{#fff 빨강}}} || || C: 100%[br]M: 70%[br]Y: 0%[br]K: 50% || C: 0%[br]M: 0%[br]Y: 0%[br]K: 0% || C: 0%[br]M: 90%[br]Y: 80%[br]K: 5% || [[프랑스 군무부]] 홈페이지의 색상 코드를 따른 색상이다. [[2021년]] 11월 마크롱 대통령이 엘리제궁 국기를 변경했을 때 위키백과에는 이 사건이 그가 국기를 [[1958년]]부터 [[1976년]]까지 쓰던 색조로 다시 되돌린 것으로 알려졌고, 이것이 [[레딧]] 및 [[나무위키]]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당시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기에 위키백과에서는 1830-1958 이미지로 대체되었고, 나무위키에서는 [[https://namu.wiki/thread/EarthyUnderstoodKindPayment|12월 28일 토론]]을 통해 파일명을 '파일:프랑스 국기.svg'에서 '파일:프랑스 국기 2.svg'로 바꾸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텔레비전).svg.png|width=100%]]}}}|| 텔레비전 방송의 배경에서는 파란색과 빨간색이 화면에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얀색의 면적을 줄이고 파란색과 빨간색의 면적을 늘린 배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프랑스,version=2412,paragraph=2.2)] [[분류:프랑스]][[분류:유럽의 국기와 깃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