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2>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슈타흘레커.jpg|width=100%]]}}}|||| ||<#666> {{{#FFF 이름}}} ||<(>'''Franz Walter Stahlecker'''[br]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 ||<#666> {{{#FFF 출생}}} ||<(>[[1900년]] [[10월 10일]][br][[독일 제국]] [[바덴 대공국]] 슈테르넨펠스 || ||<#666> {{{#FFF 사망}}} ||<(>[[1942년]] [[3월 23일]][br][[소련]] [[러시아 SFSR]] 크라스노그바르데이스크[br](현 [[러시아 연방]] [[가치나]]) || ||<#666>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3년 ~ 1942년) || ||<#666> {{{#FFF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아인자츠그루펜]] A''' [[소장(계급)|소장]] (여단지도자) [br] [[질서경찰]] [[소장(계급)|소장]] || ||<#666> {{{#FFF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의 [[아인자츠그루펜]] 사령관. == 초기 행적 == 슈테르넨펠스에서 태어난 슈탈레커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 [[나치당]] 입당 == [[1933년]] [[5월]]에 [[나치당]]에 입당한 슈탈레커는 [[1934년]]에 [[뷔르템베르크]] 주의 [[게슈타포]] 장관이 되었다. 그리고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게 추천되어 친위대 본부에 배속되었다. [[1938년]]에 [[오스트리아 합병]] 후 [[아인자츠그루펜]] [[빈(오스트리아)|빈]] 지구의 지휘관으로 임명된 슈탈레커는 빈의 친위대 사령관이기도 했다. 동시에 친위대 대령으로 승진한 그는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의 경찰지도자였던 [[카를 헤르만 프랑크]]의 휘하에서 프라하의 보안경찰 및 친위대 사령관으로도 일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40년]] [[5월]]에 [[노르웨이]]의 보안경찰 및 친위대 사령관으로 친위대 상급대령으로 부임한 슈탈레커는 이후 하이드리히와 의견충돌로 인해 친위대에서 외무성으로 자리를 옮겼다. [[1941년]] [[6월]]에 친위대 소장 및 경찰소장으로 승진한 슈탈레커는 '''아인자츠그루펜 A'''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북방군 집단에 소속된 후 발트 3국에서 [[레닌그라드]]로 진격했다. 도중에 유대인, 공산주의자, 집시 및 반나치 운동가 등 수많은 사람들을 대량학살한 슈탈레커는 [[베를린]]에 '''아인자츠그루펜 A'''가 총 24만 9,420명의 유대인을 처형했다고 보고했다. [[1941년]] [[9월]]에 [[레닌그라드]] 지구에서 [[소련]]의 빨치산들을 추격하면서 북부전선으로 이동하던 슈타흘레커는 [[11월 8일]]에 오스트란트 보안경찰 및 친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 최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슈탈레커의 시신.jpg|width=100%]]}}} || ||<#ddd> 슈탈레커 장군의 시신 || 작전 중이던 [[1942년]] [[3월 23일]]에 빨치산으로부터 저격당해 중상을 입은 슈탈레커는 [[리가]]의 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았지만 그날 바로 사망했다. [[분류:1900년 출생]][[분류:1942년 사망]][[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질서경찰/인물]][[분류:암살된 인물]][[분류:제2차 세계 대전/사망자]][[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