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모데나 레조 공작)]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0622 0%, #c9082a 20%, #c9082a 80%, #a10622)" '''[[모데나 레조 공국|{{{#fff 모데나 레조 공국 합스부르크에스테 왕조 공작}}}]][br]{{{+1 프란체스코 5세}}}[br]Francesco V, Duca di Moden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ancesco_V_d'austria_este_Duca_Modena_young.jpg|width=100%]]}}} || || '''이름''' ||프란체스코 페르디난도 제미니아노[br](Francesco Ferdinando Geminiano) || ||<|2> '''출생''' ||[[1819년]] [[6월 1일]] || ||[[모데나 레조 공국]] [[모데나]] || ||<|2> '''사망''' ||[[1875년]] [[11월 20일]] (향년 56세)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오스트리아)|빈]] || ||<|2> '''재위기간''' ||[[모데나 레조 공국|모데나 레조 공작]] || ||[[1846년]] [[1월 21일]] ~ [[1859년]] [[6월 11일]][br](13년 4개월 3주, 4,88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프란체스코 4세|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4세]][br]어머니 [[사보이아]]의 마리아 베아트리체 || || '''배우자''' ||바이에른의 아델군데 ,,(1842년 결혼),, || || '''자녀''' ||안나 베아트리체 || || '''형제자매''' ||마리아 테레사, 페르디난도 카를로 비토리오, 마리아 베아트리체 || || '''가문''' ||[[합스부르크 가문|합스부르크에스테 가문]] || || '''종교''' ||[[로마 가톨릭]]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데나 레조 공국]]의 마지막 [[공작(작위)|공작]]으로 그 유명한 [[루트비히 2세(바이에른)|루트비히 2세]]의 [[삼촌|고모부]]. == 생애 == 1819년 6월 1일, [[모데나 레조 공국]]의 [[모데나]]에서 [[프란체스코 4세]]와 사보이아의 마리아 베아트리체 사이에서 태어났다. 1842년 3월 30일, [[바이에른 왕국]] 국왕 [[루트비히 1세(바이에른)|루트비히 1세]]의 딸인 [[바이에른의 아델군데|아델군데]]와 결혼했다. 1846년 1월 21일, 부친 프란체스코 4세가 사망하자 모데나 레조 공작으로 즉위했다. [[1848 혁명]]이 일어나자 모데나 레조 공국을 탈출했고, 얼마 뒤 다시 돌아왔다. 1848년 11월 16일, 루이지 리차티에게 암살될뻔 했으나, 가까스로 총알을 피했다. 이후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이 주도한 [[리소르지멘토]]로 폐위되었고 본가인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건너가 [[빈(오스트리아)|빈]]에 있는 모데나 궁전(Palais Modena)에서 생활하다가 1875년 11월 20일 사망했다. 자녀를 남기지 못해 명목상의 공작위는 [[프란츠 요제프 1세]]에 의해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에게 양도되었다. == 가족 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5세[br]{{{-2 (Francis V, Duke of Modena)}}} ||<|6> [[프란체스코 4세|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4세]][br]{{{-2 (Francis IV, Duke of Modena)}}} ||<|3>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br]{{{-2 (Ferdinand Karl, Archduke of Austria-Este)}}} || || [[프란츠 1세]][br]{{{-2 (Franz I)}}} || || [[마리아 테레지아]][br]{{{-2 (Maria Theresa)}}} || ||<|3> 마사 여공작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br]{{{-2 (Maria Beatrice d'Este, Duchess of Massa)}}} || || [[에르콜레 3세 데스테|모데나 공작 에르콜레 3세 데스테]][br]{{{-2 (Ercole III d'Este, Duke of Modena)}}} || || 마사 여공작 마리아 테레사 치보말라스피나[br]{{{-2 (Maria Teresa Cybo-Malaspina, Duchess of Massa)}}} || ||<|7> [[사보이아]]의 마리아 베아트리체[br]{{{-2 (Maria Beatrice of Savoy)}}} || ||<|3>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br]{{{-2 (Vittorio Emanuele I)}}} || ||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br]{{{-2 (Vittorio Amedeo III)}}} || || 스페인의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난다[* [[펠리페 5세]]의 3녀이다.][br]{{{-2 (Maria Antonia Ferdinanda of Spain)}}} || ||<|3>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지아[br]{{{-2 (Maria Theresa of Austria-Este)}}} || ||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br]{{{-2 (Ferdinand Karl, Archduke of Austria-Este)}}} || || 마사 여공작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br]{{{-2 (Maria Beatrice d'Este, Duchess of Massa)}}} || === 배우자 === 1842년 3월 30일 [[바이에른 왕국]]의 국왕인 [[루트비히 1세]]의 딸인 [[바이에른의 아델군데]]와 결혼해서 1녀를 두었다.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 '''1녀''' || 안나 베아트리체 여대공[br]{{{-2 (Archduchess Anna Beatrice)}}} || [[1848년]] [[10월 19일]] || [[1849년]] [[6월 8일]] || == 여담 == * [[멕시코 제2제국]]의 황제 제안을 받았지만, 본인이 거절했다. 결국 멕시코 황제는 [[막시밀리아노 1세]]로 결정되었는데 막시밀리아노 1세의 비극적인 최후를 고려한다면 잘 한 결정이었다. * [[대영제국|영국]]의 수상인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은 1861년 3월 7일에 영국 하원에서 그의 잘못된 판단을 맹비난했다. 그해 후반에는 [[콘스탄틴 핍스]]가 글래드스턴의 의견을 반박하는 책을 쓰기도 했다. *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국왕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의 외손자이고[* 정작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의 하나뿐인 아들은 1799년 3살의 나이로 요절했고, 동생 [[카를로 펠리체]]도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왕위는 [[사보이아 가문]]의 방계인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의 [[카를로 알베르토]]가 물려받았다.], [[오스트리아 제국]] [[페르디난트 1세(오스트리아 제국)|페르디난트 1세]]의 황후 [[마리아 안나(사보이아)|마리아 안나]]는 고종사촌이자 이모이다. [[분류:1819년 출생]][[분류:1875년 사망]][[분류:모데나 레조 공작]][[분류:합스부르크에스테 가문]][[분류:모데나 출신 인물]][[분류:폐위된 군주]][[분류:망국의 군주]][[분류:오스트리아의 왕자]][[분류:카푸친 교회 안장자]][[분류: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