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풀모노스코르피우스}}}[br]Pulmonoscorpius}}}''' || ||<-2> [[파일:Pulmonoscorpius kirktonensi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ulmonoscorpius kirktonensis'' '''[br]Jeram, 1994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2.2|{{{#000 '''계'''}}}]] ||[[동물|동물계]] || || [[생물 분류 단계#s-2.3|{{{#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s-2.4|{{{#000 '''강'''}}}]] ||거미강(Arachnida) || || [[생물 분류 단계#s-2.5|{{{#000 '''목'''}}}]] ||전갈목(Scorpiones) || || [[생물 분류 단계#s-2.6|{{{#000 '''과'''}}}]] ||†켄트로마쿠스과(Centromachidae) || || [[생물 분류 단계#s-2.7|{{{#000 '''속'''}}}]] ||†풀모노스코르피우스속(''Pulmonoscorpius'') || ||<-2> '''[[생물 분류 단계#s-2.8|{{{#000 '''종'''}}}]]''' || ||<-2> †''P. kirktonensis''(모식종) || || [[파일:풀모노스코르피우스.jpg|width=5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석탄기]]에 살았던 몸길이 약 70cm의 거대한 [[전갈]]로 속명의 뜻은 '호흡하는 전갈'이다. == 특징 == [[석탄기]]에는 현재보다 공기중에 산소량이 14%정도 많았기 때문에 거대한 [[절지동물]]이 출현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아르트로플레우라]]나 [[메가네우라]]같은 거대한 절지동물과 함께 풀모노스코르피우스도 나타날 수 있었다. 풀모노스코르피우스는 오늘날의 전갈처럼 꼬리에 독이 있었지만 [[집게]]가 더 컸기 때문에 독이 굉장히 치명적이지는 않았을 걸로 추측된다. 오늘날의 전갈에서도 이와 같은 특징이 나타나는데, 집게가 큰 전갈보다 집게가 더 작은 전갈이 치명적인 독을 가지고 있다. == 대중 매체 == * [[공룡 구출 대작전]] 5번째 에피소드에 첫 등장했으며 [[나이젤 마븐]]에게 잡혀 현대의 선사시대 공원의 곤충관에서 지내게 된다. 이 녀석을 잡는 과정에서 나이젤이 독침에 쏘이지만 독이 약해 그다지 별 증상은 없었다. * [[ARK: Survival Evolved]]에서도 등장한다. 라틴어식 표기가 아닌 영어 발음을 따른 '펄모노스콜피어스' 로 번역되었다. 길들여 탑승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절지류들이 그렇듯 활용성은 크게 떨어지기에, 그냥 [[전갈]]이 마음에 들어서 길들이는 유저가 아니라면 실용적인 사용을 위해 길들이는 사람은 없다.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무척추동물류#펄모노스콜피어스|펄모노스콜피어스]] 문단 참조. * [[쥬라기 월드: 얼라이브]]에서 사육 가능한 최초의 고대 절지동물로 나온다. [[중가립테루스]]와 [[미라가이아]]의 혼종인 중가이아와 합쳐 중가스코르피오스라는 강한 유니크 혼종을 만들 수 있다. 자체 성능도 매우 좋은 편. [각주][[분류:전갈목]] [[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