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푸른 눈]][[분류: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테마]][[분류:유희왕/러시 듀얼/드래곤족]] [include(틀:유희왕/러시 듀얼/테마)] ||<:><-3>'''{{{#!html푸른 눈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html게임별 푸른 눈 (카드군 / 테마)}}}''' || || [[푸른 눈|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오티스 덱 관련 문서)] }}}}}} || ||<:><-6>
'''{{{#!html 푸른 눈}}}'''{{{#!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궁극의 푸른 눈 전설 일러스트.png|width=100%]][br]{{{-2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FFFFFF 궁극의 푸른 눈전설}}}]]}}}}}} || || '''{{{#!html한국판 명칭}}}''' ||<-5> '''푸른 눈''' || || '''{{{#!html일본판 명칭}}}''' ||<-5> '''[ruby(青眼, ruby=ブルーアイズ)]''' || || '''{{{#!html영어판 명칭}}}''' ||<-5> '''Blue-Eye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 [[유희왕/속성|빛]] ||<-2><^|1> [[유희왕/종족|드래곤족]], [[유희왕/종족|야수족]] ||<-2><^|1> 일반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푸른 눈]] 카드 테마. == 목록 == === 일반 몬스터 === ====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 [[레전드 카드|[[파일:prop3.png]]]] ==== ==== [[푸른 눈의 흰 고양이]] ==== === 효과 몬스터 === ==== 푸른 눈의 황룡 ==== [[파일:青眼の煌龍.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푸른 눈의 황룡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青眼の煌龍(ブルーアイズ・ブライ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ue-Eyes Bright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5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패에 있는 이 카드의 카드명은 "푸른 눈의 백룡"이 된다., 조건=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턴에\, 이 카드의 카드명은 "푸른 눈의 백룡"이 되고\, 공격력은 500 올린다.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레전드 일반 몬스터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이름은 푸른 눈의 황룡이라 쓰고 블루아이즈 브라이트 드래곤이라고 읽는다. '''패'''에 있는 동안 원본인 푸른 눈의 백룡으로 하는 효과 외 텍스트를 지닌 몬스터로,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유희왕 러시 듀얼)|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의 효과로 바로 필드로 내보내거나 [[융합(유희왕 러시 듀얼)|융합]]을 사용해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꺼내는 데 쓸 수 있다. 필드에 나온 뒤의 효과 역시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조건으로, 카드명을 푸른 눈의 백룡으로 하고 공격력을 500 올리는 효과. 덤으로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레전드 일반 몬스터가 있다면 레벨 8 이하의 상대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 원본인 푸른 눈의 백룡과 사용할 것을 전제한 카드지만, [[데몬 솔저(유희왕 러시 듀얼)|데몬 솔저]] 등 하급 바닐라 레전드 몬스터를 중심으로 하는 덱에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록 시리즈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03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S02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푸른 눈의 비전 드래곤 ==== [[파일:ブルーアイズ・ビジョン・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푸른 눈의 비전 드래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ブルーアイズ・ビジョン・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ue-Eyes Vision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상 / 드래곤족)가 있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조건=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턴에\, 이 카드의 카드명은 "푸른 눈의 백룡"이 되고\, 자신이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퓨전 소환할 경우\, 앞면 표시의 이 카드는 2장만큼의 소재로 할 수 있다.)] 상급 몬스터지만, 자신 필드에 다른 레벨 8 이상 드래곤족 몬스터가 있으면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효과는 그 턴 중 카드명을 푸른 눈의 백룡으로 취급하고,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퓨전 소환할 경우 '''2장만큼의 퓨전 소재'''로 취급하는 것이다. 카드 소비가 많으며 레전드 카드까지 사용해야 하는 궁푸백의 소환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 [[유희왕 ZEXAL]]에서 [[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가 되는 몬스터]]로 자주 등장했던, "'''2장만큼의 퓨전 소재'''가 되는 효과"로 발매되어 유저들의 시선을 끌었다. 상술한 "2장만큼의 엑시즈 소재"의 경우 OCG화되면서 동명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일괄 변경되었으므로, 이 카드 이전까지 유희왕 카드 게임 전체를 통틀어 '카드를 특정 소환법에 2장만큼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던 사례'는 [[어드밴스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는 [[더블 코스트 몬스터]]가 [[더블 코스트 몬스터(유희왕 러시 듀얼)|전부]]였기 때문. 모티브는 [[오티스(유희왕)|오티스]]가 사용한 푸른 눈의 백룡, 이 카드가 투명한 이미지인 건 오티스가 푸른 눈을 사용한 듀얼은 모두 홀로그램으로 진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아래쪽에 잘 보면 오티스의 신전이 그려져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04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S03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퓨전 몬스터 === ====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 서포트 카드 == === 효과 몬스터 === ====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유희왕 러시 듀얼)|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 ==== 드래곤의 절대자 ==== [[파일: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絶対者-.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곤의 절대자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絶対者(ぜったいしゃ)-, 영어판명칭=Absolute Lord of 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1100, 종족=마법사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덱 맨 위의 카드를 4장 넘겨 서로 확인한다. 자신은 넘긴 카드 중에서 몬스터(레벨 8/빛 속성/드래곤족)와 "궁극의 푸른 눈 전설"을 각각 1장까지 골라 패에 넣을 수 있다. 남은 카드는 덱으로 되돌린다.)] [[드래곤의 제왕]]의 러시 버전 리메이크 카드. 소환된 턴 덱 위를 4장 넘겨 그 중 레벨 8/빛 속성/드래곤족 1장과 궁극의 푸른 눈 전설을 각각 1장까지 패에 넣을 수 있다. 푸른 눈 카드들은 전부 서치 범위에 들어가며 전용 융합인 궁극의 푸른 눈 전설까지 가져올 수 있기에 빠르게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융합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 일러스트는 [[드래곤의 독재자]]와 [[드래곤의 제왕#드래곤의 통제자|드래곤의 통제자]]를 합친 듯 하다. 독재자가 들고 있는 백룡 머리 모양의 피리를 3개 들고 있는데 이는 통제자가 삼중 기타를 들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백룡 머리도 3개라서 깨알 같이 일반 백룡이 아닌 궁극의 푸른 눈으로 되어 있는 것도 포인트. ||수록 시리즈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05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S04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마법 카드 === ==== [[멸망의 폭렬질풍탄(유희왕 러시 듀얼)|멸망의 폭렬질풍탄]] ==== ==== 궁극의 푸른 눈 전설 ==== [include(틀:다른 뜻1, from=궁극의 푸른 눈 전설, other1=동명의 스트럭처 덱, rd1=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 [[파일:究極の青眼伝説.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궁극의 푸른 눈 전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究極(きゅうきょく)青眼伝説(せいがんでんせつ), 영어판명칭=The Ultimate Blue-Eyed Legen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드래곤족)를 3장까지 소재로 묘지로 보내고\, 몬스터(레벨 10 이상 / 드래곤족)를 퓨전 소환한다. 이 턴에\,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레벨 10 이상의 드래곤족 퓨전 몬스터 전용 퓨전 소환 마법 카드. 최초 발매된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스트럭처 덱]]과 같은 카드명이 특징이다. 사실상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전용 퓨전 마법이다. [[F·G·D(유희왕 러시 듀얼)|F·G·D]]는 5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3장까지만 되는 이 카드로는 소환할 수 없고, [[더☆트리니티 드라기아스타]] 같은 몬스터는 '''하이'''드래곤족이라 종족 제한이 걸려서 소환이 안 된다. 드래곤의 절대자의 효과로 가져올 수 있으며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그 턴 효과 파괴 내성을 얻기에 매우 단단해진다. 효과가 없는 궁극의 푸른 눈의 약점인 함정 카드에 대한 파괴를 막아주어 턴킬력을 높여준다. 일러스트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카이바 세토]]가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처음으로 소환할 때의 연출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 [[https://gall.dcinside.com/m/sevens/49197|#]] ||수록 시리즈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27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S06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엔진 오브 디스트럭션 ==== || [[파일:エンジン・オブ・デストラクション.jpg|width=100%]] || [[파일:エンジン・オブ・デストラクション(ORR).jpg|width=100%]] || || [[울트라 레어]] || [[러시 레어#오버 러시 레어|오버 러시 레어]]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엔진 오브 디스트럭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エンジン・オブ・デストラクション, 영어판명칭=Engine of Destruct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푸른 눈의 백룡"이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8 / 빛 속성 / 드래곤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이 효과로 "푸른 눈의 황룡"을 골랐을 경우\, 추가로 자신 묘지의 "궁극의 푸른 눈 전설"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푸른 눈 덱이라면 회수해 올 카드야 충분하고, 더욱이 회수한 카드가 푸른 눈의 황룡이라면 궁극의 푸른 눈 전설을 회수할 수도 있다. 푸른 눈의 황룡은 패에서 백룡으로 취급되는 카드이므로, 여기에 백룡(취급의 몬스터) 1장만 더 있으면 궁극의 푸른 눈 전설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꺼낼 수 있다. 다만 필드와 묘지에 특정 카드를 갖춰놔야 하고, 그와 관련된 몬스터가 [[레전드 카드]]라는 시점에서 아무리 푸른 눈 덱이라도 말림패가 될 가능성은 부정할 수 없다.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싶다면 적극적으로 묘지 덤핑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카드명은 원조 [[푸른 눈의 백룡]]의 TCG판 플레이버 텍스트[* "This legendary dragon is a powerful '''engine of destruction'''."]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 ||수록 시리즈 || ||<(> 2023-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HC01-JP021 | '''[[하이그레이드 컬렉션|ハイグレードコレクショ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함정 카드 === ==== 파란 눈의 보물 ==== [[파일:青き眼の秘宝.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파란 눈의 보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あお)()秘宝(ひほう), 영어판명칭=Treasure of Eyes of Blu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상대의 공격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8 이상 / 빛 속성 / 드래곤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푸른 눈의 백룡"이 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수동적인 조건이긴 해도 파괴되는 몬스터에 지정이 없고 공격이나 효과 파괴 양쪽에 대응하므로, 이런 부류 중에서는 그나마 채우기 쉬운 측에 든다. 소생 대상은 꽤 한정적이라 사실상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이나 관련 몬스터 전용에 가깝다. 후반 효과를 위해서라면 가급적 백룡 본인을 되살리는 편이 좋겠지만, [[레전드 카드]]다 보니 과도한 의존은 할 수 없다. 몬스터를 전선에 유지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여겨야 할 것이다.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이 자신 필드에 있다면 추가 효과로 상대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파괴 대상에도 별도의 지정은 없으니 몬스터를 파괴해서 다음 공격을 막거나, 마법 / 함정을 파괴해서 상대 플레잉에 차질을 주는 식으로 여러가지 활용이 가능하다. 상대 턴에 사용할 경우 카드명을 상대 턴까지 바꿔주는 카드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 백룡 본인을 마련해놓을 필요가 있다. OCG와 마찬가지로 서포트 카드임을 나타내기 위해 '푸른 눈([ruby(青眼, ruby=ブルーアイズ)])'이 아니라 [[푸른 눈/서포트 카드|'파란 눈([ruby(青, ruby=あお)]き[ruby(眼, ruby=め)])']]이다. ||수록 시리즈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35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S07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관련 카드 == * 효과 몬스터 * [[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 푸른 눈(블루아이즈)은 아니지만, 공격명이나 이름에서 푸른 눈의 백룡을 오마주한 카드. * 마법 카드 * [[정통한 버스트 브레스]] 일러스트에 [[푸른 눈의 백룡]]이 등장한다. * [[고양이의 눈]] 일러스트에 [[푸른 눈의 흰 고양이]]가 등장한다. == 참고 카드 == * [[F·G·D(유희왕 러시 듀얼)|F·G·D]] 소재로 쓸 몬스터가 많으니 [[드래곤 트라이브 퓨전]]으로 꺼내오기 좋다. 다만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을 안정적으로 꺼내지 못하면 [[드래곤 트라이브 퓨전]]이 노는 신세가 되고, 묘지 자원도 이 덱에서는 중요시되다 보니 피니시 각이 보일 때까지는 아껴두는 편이 좋다. * [[오리진 오브 레전드]] 덱에서 [[레전드 카드]]인 푸른 눈을 유사 리크루트해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운에 의존한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데다 덱 탑 조작과 상성이 좋은 카드도 없으므로 [[노드 오브 레전드]]와 같이 써주도록 하자. * [[소울 드레이크]] 적당한 하급 효과 몬스터 1장만 더 준비해 놓아도 푸른 눈 시리즈를 되살릴 수 있다. [[니게이터 드래곤]]이나 [[레전드 매지션]] 등 상성이 좋은 카드들과 같이 써주면 좋다. * [[피닉스 드래곤]] 최상급 드래곤족을 쓴다면 말이 필요없는 샐비지용 서포트 카드. 어드밴스 소환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도 궁극의 푸른 눈 전설을 통해 소재로 쓸 수 있으니 회수하는 메리트가 크다. * [[니게이터 드래곤]], [[이주장의 용]] 드래곤 덱의 묘지 덤핑 요원. 둘 다 전용 서포트 카드가 있으니 서포트해올 카드의 투입 여부에 따라 가려 쓰는 편이 좋다. * [[생텀 오브 레전드]] 가뜩이나 강한 푸른 눈의 타점을 더욱 강화해주는데다 파괴 내성까지 챙겨준다. 그밖에도 황룡, 궁극의 푸른 눈도 강화 혜택을 받으니 빠른 킬을 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역시 [[노드 오브 레전드]]와 같이 써주면 좋다. * [[레전드 매지션]] 묘지 덤핑 매수는 [[니게이터 드래곤]]보다도 적지만, 레전드 카드인 백룡을 회수할 수 있다는 점은 큰 도움이 된다. 서포트 카드인 [[레전드 스트라이크]]도 [[소울 드레이크]]나 드래곤의 절대자 등의 카드와 공유가 가능하다. * [[세븐즈로드 인챈터]] [[레전드 매지션]], 드래곤의 절대자를 바운스해서 효과를 여러번 발동해볼 수 있다. 콤보용 카드이긴 해도 우려먹을 때의 혜택이 큰 것은 사실. * [[매직미러 유스]] [[레전드 매지션]], 드래곤의 절대자를 회수해올 카드. 같은 이름의 카드도 회수할 수 있으니 필요없는 마법 / 함정을 릴리스 요원으로 바꿔먹을 수 있다. * [[죽은 자의 소생(유희왕 러시 듀얼)|죽은 자의 소생]], [[침묵의 죽은자]], [[은룡의 굉포]] 레벨 제약이 없는 소생 카드인 덕분에 원조 백룡을 되살려오기 좋다. * [[트레이드 인]] 레벨 8 전용 패 교환 카드. 패 교환은 물론 푸른 눈을 묘지로 떨궈서 [[소울 드레이크]]의 소생 효과로 연계할 수 있다. * [[레전드 스트라이크]] 범용성 높은 소생 카드. 푸른 눈 시리즈에 직접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서포트 몬스터들은 레벨 4 비중이 높으니 소생 대상을 확보하기 쉽다. * [[공격 무력화(유희왕 러시 듀얼)|공격 무력화]] 방어 카드로서 범용성이 높으며, [[니게이터 드래곤]]의 약체화 효과를 써먹는 데에도 도움이 되어준다. * [[원초의 휘두르기]] 약화 수치가 높은 덕분에 컴뱃 트릭 용도로 유용하다. 백룡이 있으면 후반 몬스터 제거 효과도 있으니 다음 턴에 치기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