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단 공화국 관련 문서)] [include(틀:아프리카의 민족)]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arfur_report_-_Page_7_Image_1.jpg]] [[다르푸르 학살]]의 참상을 증언하는 푸르족 아이들. [목차] == 개요 == [[수단 공화국]] 서부 [[다르푸르]](‘푸르 족의 집’이라는 뜻) 지방의 어원이 된 푸르족은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나일사하라어족]]에 속하는 [[푸르어]]를 사용하는 [[나일로트]]계 민족이다. 하지만 상당수의 푸르족 인구가 일정 수준 이상의 [[아랍어]]를 구사하는 관계로 아랍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구 90만여 명으로 다르푸르 지역 최대 부족이지만 다르푸르 전체 인구는 920만여명이 넘는 관계로 10% 미만에 불과하다. == 설명 == 푸르족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이 때문에 [[다르푸르 학살]] 당시 유목민 잔자위드(말 탄 사나이란 뜻) 민병대에게 많은 수가 학살당하고 인구 상당수가 난민이 되었다. 한 때는 다르푸르 술탄국을 세우며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던 민족이었으나 18세기 말 [[마흐디 운동]]으로 다르푸르 지역의 실세 자리를 [[바까라족]]이 차지하고, 1916년 [[다르푸르 술탄국]]이 멸망하면서 세력이 약화되었다. 이후 수단 공화국의 독립, 건국 과정에서 주도권이 누비아 지방의 아랍인들이 주도권을 가져가면서 약소 부족으로 몰락했다. 다르푸르 학살 이전의 푸르 족들은 주로 [[밀]]과 [[양파]], [[조]], [[수수]], [[기장(식물)|기장]] 등을 재배하며 [[닭고기]]를 많이 먹는 편이었다. 원래 이들은 이웃 부족들에 비해 [[농경]] 기술이 우수하고 제분 기술도 갖추어 전통적으로 밀을 재배하고 [[빵]]을 먹었으며, 에티오피아 문화의 영향으로 [[커피]]를 즐겨마시고 [[학교]](마드라사)를 갖춘 마을이 많아 주변 부족들의 우러름을 받던 자존심이 센 민족이었다. 오늘날에는 다르푸르 학살의 영향으로 푸르족 중에서도 이슬람 자체에 대해 환멸감을 느끼거나, 이슬람 신앙을 유지하면서도 [[세속주의]]자가 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분류:수단 공화국의 민족]][[분류:차드의 민족]][[분류: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민족]][[분류:차드-수단 공화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