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미라큘러스/콰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미라큘러스/등장인물)] [include(틀:미라큘러스/콰미)] ||<:><-2>'''정복의 요정'''||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llen_Square.png|width=100%]]}}}|| ||<:><-2>'''Pollen'''[* 콰미들은 영문명에 같은 알파벳이 반복된다.]|| ||<:>'''형상'''||<(>[[꿀벌]]|| ||<:>'''변신체'''||<(>[[클로이 부르주아|퀸 비(Queen Bee/Queen B)]][br][[조이 리|베스페리아(Vesperia)]][br]{{{#!folding [합체 변신체 펼치기 · 접기] [[마리네뜨 뒤팽쳉|레이디 비(Lady Bee)(+티키)]] [[호크모스|모나크(Monarch)(+누루 등)[*모나크]]] }}}|| ||<:>'''능력'''||<(>'''독침(Venom)''': 자신의 손에 독침을 만들어 찔린 대상을 5분간 마비시킨다.(일회용)|| ||<:>'''부작용'''[*부작용]||<(>아직 나오진 않았지만, 도시 전체를 마비 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된다면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을 포함한 도시 전체 시민들까지 마비되어 파리가 멸망할 것이다.]|| ||<:>'''스톤'''||<(>머리빗형 핀[* 위장모드시 클로이는 은색 머리핀, 조이는 핑크색&파란색&노란색이 섞인 머리핀 형태가 되고, 변신시 줄무늬가 없는 머리핀이 되었다가 폴렌이 들어가면 줄무늬가 생긴다.]|| ||<:>'''무기'''||<(>팽이|| ||<:>'''먹이'''||<(>[[벌꿀]]|| ||<:>'''주인'''||<(>'''정식 소유''': ?→중국 수호자 사원→[[마스터 푸]]→[[클로이 부르주아]][* 레이디버그가 흘린 미라클스톤을 주워서 얼떨결에 주인이 됐다. 몰론 다음 에피소드에서 바로 박탈당했다.]→[[마스터 푸]]→[[마리네뜨 뒤팽쳉]]→[[가브리엘 아그레스트]]→[[마리네뜨 뒤팽쳉]]→[[조이 리]][br]'''임시 사용''':[br][[클로이 부르주아]][br][[조이 리]][br]'''얼라이언스를 통한 임시 사용''':[br][[가브리엘 아그레스트|모나크]][br][[츠루기 토모에|마타기 고젠]]|| ||<:>'''성우'''||<(>[[김은아(EBS 성우)|김은아]](한국)[br][[커샌드라 리]](미국)|| ||<:>'''나이'''||<(>3500주기 이상|| >'''"Pollen, Buzz On!"(폴렌, 윙윙 소리를 내!)''' >'''"Pollen, transforme-moi!"(폴렌, 날 변신시켜!)''' >'''"변신, 퀸비!"''' >'''"변신, 베스페리아!"''' >폴렌: 뭘 도와드릴까요, 여왕님? >---- >단골대사 > 레이디버그: 이건 꿀벌 미라클스톤이에요. 당신에게 상대를 마비시킬 수 있는 강한 힘을 줄거에요. 옳은 일에만 사용하세요. >'''"Venom!"''' >'''"독침!"''' 오행 중 흙(土, 토)을 상징하는 요정으로, '''정복/행동의 요정.'''[* 영어로는 Kwami of '''Subjection'''이나, 영어판 홈페이지에서는 Power of '''Action'''(행동)으로도 언급된다.] 잠식 미라클스톤은 머리빗형 핀. 무기는 팽이. 이름의 어원은 [[꽃가루]]를 뜻하는 영단어 'pollen'이다. 벌침으로 대상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완벽히 정지시키는 능력을 지녔다. 나중에 [[클로이 부르주아]]가 잠시 사용하며, 클로이가 변신한 영웅의 이름은 여왕벌(Queen Bee)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Queen B”의 B는 부르주아의 앞글자인 B를 뜻한다. 단 영어 더빙에서는 Queen Bee로 나오고 팬들에게도 이렇게 통한다. 사진처럼 한쪽 손을 허리 뒤로 하는 버릇이 있다. 무척 예의 바른 성격으로, 티키와 플랙을 "고귀하신 창조와 파괴의 요정님"[* 그도 그럴 게 저 둘의 힘은 콰미들 중에서도 최강이고, 힘을 조합하면 '''신'''과 동급이다. 한국판에서는 존대를 하지 않고 '창조와 파괴의 요정'이라고 불렀다.], 클로이를 "여왕님"이라고 칭하는 등 매우 순종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사용자에게 정복의 힘을 부여하기에 본인은 시종의 역할을 자처하는 듯. 폴렌이 얼마나 순종적이냐면, 호크모스가 미라클스톤을 악용하는 것을 적어도 말리려고 했던 누루와는 반대로 금기를 깨고 '''모든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변신을 하려고 한 클로이를 전혀 말리지 않고 명령을 수행할 수준이었다.''' 또한, '뉴욕 or 파리' 편에서는 클로이가 퀸 비로 변신한 상태에서 빌런화되면서 미라클스톤과 함께 타락했다. 그러나 호크모스가 시즌3 25화 <사랑을 잃다> 편에서 마스터 푸로부터 뺏은 벌 미라클스톤을 주며 클로이를 꼬드기자, 클로이를 말리는 모습을 보였다. 아무리 순종적인 폴렌이라도 미라클스톤이 악행에 사용되면은 안 된다는 걸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클로이가 입 다물라고 해서 누루처럼 아무 말도 못하게 되었고 결국 클로이랑 같이 검은나비에 또다시 물들어버리게 된다. 결국 시즌3 26화 <진정한 선물> 편에서 레이디버그가 클로이에게 퀸 비가 될 수 없다고 '''못박아버린 탓에''' 한동안 주인이 없어지는 사태에 처하고 말았다. 덕분에 레이디버그가 조이에게 꿀벌 미라클스톤을 줄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파일:IMG_20190320_045512.jpg|width=400]] 여담으로 호크모스, 루카와 함께 DQ 애니메이션이 낸 작붕의 최대 피해자다. 위 사진은 시즌 2 24화 '독재자' 편의 한 장면인데, 폴렌 특유의 눈웃음을 마치 눈이 부은 것처럼 만들어 버렸다. --쌍수 실패-- '''순간캡처가 아니다!''' 폴렌 항목 맨 위에 있는 사진[* 시즌2 22화 <패션의 여왕> 편의 한 장면이다. 삼지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에피소드.]과 비교해 보면 DQ 애니메이션의 기술력이 삼지 애니메이션에 비해 얼마나 떨어지는지 알 수 있다. 시즌 4 현재의 임시 주인이 [[조이 리]]로, 변신체는 '''베스페리아.'''[* 퀸 비의 요정였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주인에 대한 거부감이 전혀없는 모습을 보여주다. ~~하긴 시즌 3 마지막에서 미라클 퀸 사건 때문에 클로이가 다시 퀸 비가 될 수 없다고 못 박아버려서 이제 미련도 없나보지~~ 조이에게도 똑같이 "여왕님"이라고 부른다.] 베스페리아는 퀸 비과 비슷한 노란색+검은색 조합이지만 사소한 차이가 많다. 퀸 비의 노란색은 차가운 톤의 노란색이지만 베스페리아는 골드 내지 연한 주황색 정도의 따듯한 노란색이다. 또한 베스페리아는 상반신에 검은색의 비중이 높아 상반신만 보면 검은색이 메인이라고 착각할 정도이다. ~~그리고 둘 다 매우 역동적이고 중독성있는 변신 테마곡으로 유명하다.~~ 영어 더빙판에서 변신 해제시 대사는 "Pollen, Buzz Off"~~폴렌, 꺼져~~[* '벌 소리를 멈춰'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된다. 윙윙대는 소리를 끄라는 뜻인데, 꺼지라는 뜻도 있다...]. [[분류:미라큘러스/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