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1세기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 ||||<#800080> {{{#ffffff {{{+3 '''포티투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br]{{{-1 [[라틴어]]: Potitus Valerius Messala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파트리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루푸스]](아버지)[br]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볼레수스(아들)[br]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포티투스(아들)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29년 || ||<#800080> {{{#ffffff '''전임''' }}} || [[옥타비아누스]][br][[섹스투스 아풀레이우스(기원전 29년 집정관)|섹스투스 아풀레이우스]] || ||<#800080> {{{#ffffff '''동기''' }}} || [[옥타비아누스]] || ||<#800080> {{{#ffffff '''후임''' }}} || [[옥타비아누스]][br][[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메살라(Messala)는 고대 로마의 대표적인 [[파트리키]] 집안인 [[발레리우스]] 씨족의 지파로, 그의 아버지는 기원전 53년 집정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루푸스]]였다. 많은 학자들은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적힌 이 이름이 메살라 가문이 사용하지 않던 '포티투스'를 프라이노멘에 적용했는 것에 의문을 표하며, 본래 이름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포티투스일 거라 추정했다. 1908년 로마에서 발견된 비문에 "포티투스 발레리우스 메살라"라고 적혀 있었기에 추정이 틀렸다는 결론이 내려지는 듯했지만, 2008년 코스섬에서 발견된 비문에서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포티투스'의 그리스식 표현인 "Marcos [U]alerios Messala Potit[os]"라는 문구가 들어있기 때문에, 포티투스가 프라이노멘인지 코그노멘인지 여부는 아직까지 판가름되지 않았다. 그는 [[시빌라 예언서]]를 관리하는 퀸데킴비리 사크리스 파키운디스(quindecimviri sacris faciundis: 15명의 신성한 책 관리자)의 일원이었으며, [[재무관]]을 거쳐 기원전 32년에 도시 법무관에 선임되었다. 기원전 29년 7월 1일에 보결 집정관에 선임되어 옥타비아누스와 함께 했다. 9월 29일 원로원과 로마 시민을 대표하여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토벌한 옥타비아누스의 무사 귀환에 대한 감사제를 드렸다. 이후 모종의 시기에 아시아 총독으로서 2년간 임기를 수행했으며, 기원전 17년 루디 사이큐라레스(Ludi saeculares: 새 해를 기념하기 위해 3일 밤낮으로 열리는 축제)에 이름이 거론된 것을 볼 때 이때도 살아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아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볼레수스는 기원전 5년 집정관을 역임했다. 또한 코스섬 비문에는 또다른 아들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포티투스가 거론되는데, 이 인물은 아버지 밑에서 재무관을 역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