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갤럭시아이즈 관련 카드군)] ||<:><-6>
'''{{{#!html포톤}}}'''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oton.png|width=100%]]}}}|| || '''{{{#!html한국어판 명칭}}}''' ||<-5> '''포톤''' || || '''{{{#!html일본어판 명칭}}}''' ||<-5> '''フォトン''' || || '''{{{#!html영어판 명칭}}}''' ||<-5> '''Photon'''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2><^|1> [[유희왕/종족|골고루 분포]] ||<-2><^|1> {{{#!folding [ 접기 ] 효과[br]의식[br]융합[br]엑시즈}}}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 설명 == === 원작 === ||<:><-6>
'''{{{#!html애니메이션 관련 틀 모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텐조 카이토 덱 관련 문서)] [include(틀:고슈 덱 관련 문서)] [include(틀:드로와 덱 관련 문서)] }}}}}} || [[유희왕 ZEXAL]]에서 '''[[텐조 카이토]]'''와 [[고슈]], [[드로와]]가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 다만 뒤의 2명은 그냥 사용 카드에 이름만 붙어 있는 수준이며, 각자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 [[포톤 버터플라이 어쌔신]]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작중 설정에서 '''[[Dr. 페이커]]와 [[Mr.하트랜드]]'''가 만들어냈다고 한 것으로 보아 페이커 일당들은 전부 쓰는 게 아닌가 싶다. '광자'를 의미하는 'Photon'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것에서도 알 수 있듯 빛 속성 카드군인데, 사용자가 다양해서인지 딱히 효과의 특성이 통일되어 있지는 않다. 일단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카이토가 쓴 포톤의 경우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소환을 보조하기 위해 '''공격력 2000 이상'''과 빛 속성의 대량 전개에 관련된 것이 많다. 원작에서는 특이하게 '포톤 또는 광자'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로 이 카드군을 지정한다.[* 원작에서 이 지정을 한 카드로는 [[크리포톤]], [[포톤 새털라이트]], [[포톤(유희왕)#포톤 윙|포톤 윙]], [[포톤(유희왕)#포톤 프레셔 월드|포톤 프레셔 월드]], [[포톤(유희왕)#포톤 쇼크|포톤 쇼크]], [[포톤(유희왕)#포톤 이스케이프|포톤 이스케이프]]가 있다.] 그러나 OCG룰에서는 한자가 아닌 [[후리가나|읽는 법]]을 기준으로 카드군화를 정하고, 어차피 대부분의 카드가 광자([ruby(光子,ruby=こうし)])가 아닌 포톤([ruby(光子,ruby=フォトン)])으로 쓰고 읽는 식이 되어있어서 그냥 "포톤"만을 지정하게 변했다. 이 탓에 [[휘광자 파라디오스]]와 [[광자룡강림]]은 포톤 카드군에 포함되지 못해 서포트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 참고로 [[광자화]]는 일판 기준으로는 광자 카드군도 아니고 포톤 카드군도 아닌 "포토나이즈"다.] [[유희왕 ARC-V]]에서 [[하트랜드 시티|엑시즈 차원]]의 레지스탕스가 사용하거나 [[텐조 카이토]]가 재등장해서 추가 지원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ARC-V에서 나온 [[카이토(유희왕 ARC-V)|카이토]]는 정작 [[사이퍼(유희왕)|사이퍼]]라는 새로운 카드군을 쓰는 데다 레지스탕스는 전멸한지라 지원은 없었다. 똑같이 재등장하는 [[에드 피닉스(유희왕 ARC-V)|에드 피닉스]]의 [[데스티니 히어로]]는 등장도 전에 추가 지원이 확정되었고, [[텐죠인 아스카(유희왕 ARC-V)|텐죠인 아스카]]의 [[사이버 엔젤]]은 드디어 OCG화의 빛을 보게 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 대신에 [[갤럭시아이즈]]가 지원을 받긴 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OCG에서 처음 나온 것은 그 이름에 걸맞게 부스터 팩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였는데, 이때는 포톤 몬스터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포톤 케로베로스 달랑 2장밖에 없었고 마법/함정만 왕창 나왔으며 "포톤"이라는 이름을 지정하는 카드가 있는 것도 아니었다. 이 당시에는 포톤 카드을 가지고 덱을 만든다고 하면 '포톤 덱'이라기보다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덱' 내지는 빛 속성 전반의 서포트 파츠로 들어간다는 느낌이 강했다. 본격적으로 카드군의 형태를 갖춘 것은 그 다음 팩인 [[오더 오브 카오스]]로, 여기서 포톤 리저드, 트윈 포톤 리저드가 등장함에 따라 서로 직접적으로 묶이게 되었다. 그리고 [[듀얼리스트 팩]] 카이토 편에서 새로운 포톤 카드들과 포톤과 연관되는 카이토의 새 카드군 [[갤럭시(유희왕)|갤럭시]]가 OCG화되어서 한층 더 강화되었다. 갤럭시 카드 중에 '갤럭시 또는 포톤'으로 이름을 둘 다 지정하는 것들이 있기 때문. 또한 [[오비탈 세븐]] 역시 이 카드군에 직접 포함되지는 않지만 이 카드군을 서포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포톤 덱을 만든다고 하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주축으로 갤럭시 쪽 카드들과 함께 쓰는 덱, 포톤 드래곤은 쓰지 않고 스래셔, 새털라이트 등의 하급을 중심으로 엑시즈 소환 위주로 나가는 덱의 2가지 구성이 있으며, 둘을 병용할 수도 있다. 다만 현재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쓰기 위해서는 솔저/위저드/포톤 드래곤/나이트/익스페디션 단 5장만 있어도 된다는 것이 정석이 되면서 포톤 쪽은 대부분 쓰이지 않고 있다. 특이한 점은, 보통 한 카드군 내에서 사용하는 특수 소환 방식이 많아야 2종류인 데 반해 이쪽은 카드군 내에 의식 / 융합 / 엑시즈 몬스터가 다 있고, 심지어 메인 덱에 들어가는 특수 소환 몬스터 역시 존재한다. 싱크로 몬스터는 ZEXAL 애니에서는 하나도 안 나와서 카드군에 없다. 이후에 나온 링크 몬스터는 아직 추가되지 않은 상태. 이 카드군 등장 전까지 이 정도로 다양한 소환 방식을 갖춘 카드군은 [[푸른 눈]] 정도였다. 이후 ARC-V에 [[DD(유희왕/카드군)|DD]], [[오드아이즈]] 등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모두 사용하는 카드군들이 나와서 별 의미가 없어졌다.[* 사실 이전에나 현재나 의식, 융합은 존재만 할 뿐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기믹이라 사실상 엑시즈 하나만 보는 테마긴 하다.] 프리미엄 팩에서 코믹스 카드인 포톤 어드밴서가 OCG화되고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3, 소울 퓨전에서 쓸만한 지원이 여럿 나와 갤럭시와 혼용하도록 지원받고 있다. 11기의 11번째 부스터 팩 [[포톤 하이퍼노바]]에서도 레듀팩3의 노선을 계승하였다.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서는 오리지널 캐릭터 중에서 시미즈 츠요시라는 캐릭터가 이 포톤 덱을 사용하는데, [[빛의 충격파]]에서 카드가 얼마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만들어진 덱이라 구성은 상당히 미묘하다. 포톤 케로베로스, [[라이트 서펜트]] 등 미묘한 몬스터들이 고정 투입인 주제에 그 당시 포톤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은 달랑 1장밖에 들어있지 않다. 나머지 몬스터는 대부분 [[라이트로드]] 몬스터들로 공격력이 2100이라 갤럭시아이즈의 소환 조건을 맞출 수 있는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를 써먹으라는 것 같은데, 실제로 다른 라이트로드의 효과나 포톤 리드 등으로 울프는 잘 뽑지만 정작 중요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패에 안 잡혀서 얼굴 보기는 참 힘들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게임 내 고대 팩과 2020년 12월 중순 카이토 출현 이벤트에서 포톤 크러셔, 포톤 와이반 등의, 사실상 카드군과 큰 관련이 없는 카드들만 따로따로 출시되었지만, 2021년 1월 말에 카이트 획득 이벤트로 포톤 어드밴서 등의 카드들과 2021년 2월 초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PHOTON OF GALAXY|메인인 팩]]의 출시 소식과 함께 제대로 된 카드군의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듀얼링크스의 포톤 덱은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용병으로 채용한 4축 엑시즈 덱 같은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휘광제 갤럭션]]-[[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파멸의 포톤 스트림]](패의 갤럭시 또는 포톤 몬스터를 1장 덱으로 되돌리고 갤럭시 또는 포톤 마법 or 함정 카드 1장을 서치하는 스킬 "갤럭시 포톤"으로 확정 서치 가능)으로 이어지는 콤보가 직관적이고 꽤 강력하기 때문이다. [[BF(유희왕)|블랙 페더]] 같은 후공 OTK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약점은 지나치게 전술이 단일화되어 있다는 것으로, 포톤 덱은 기본적으로 어떻게 해서든 필드에 4레벨 몬스터 2마리를 불러낸 후 엑덱에서 휘광제 갤럭션을 꺼내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부르는 패턴인데, 저 전개 중 하나라도 막히거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소환이 불발되면 별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기껏해야 [[이터널 갤럭시]]로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뽑거나[* 그마저도 이터널 갤럭시로 뽑으면 카드 효과 무효화는 발동할 수가 없기에 파멸의 포톤 스트림에 의지하는 부분이 크다.] 엑스트라 덱에 넣어둔 [[휘광자 파라디오스]] 등을 꺼내 발악하는 것 정도가 한계다. 거기에 [[갤럭시 익스페디션]], [[하이퍼 갤럭시]], 포톤 핸드, 포톤 체인지 등의 쓸만한 지원 카드가 전혀 나오지 않은 상태라 티어권이라 보기는 좀 어렵다. 그래도 어느 정도 잠재력은 있는 덱이라 간간히 듀얼킹을 다는 경우가 보이고 있다. 이후 9월 금제에서 빛이 아닌 속성의 No. 엑시즈 몬스터들도 넣는 게 가능해졌지만, 어차피 사실상 갤럭션 / 갤포드 원툴 덱이다 보니 사실상 의미 없는 버프가 되었다. 그나마 엑덱에 [[No.70 데들리 씬]]을 넣을 수 있게 되었는데 기본적으론 갤럭션 뽑기 급급해서 별로 안 쓰이는 편. 이후 2022년 5월 신규 미니팩 [[HEART OF XYZ]] 에서 각종 지원을 받으면서 티어까지 넘볼 정도로 크게 강해지긴 했지만 기존과는 매우 다른 양상의 운영방식을 보이는데, 우선 기존의 갤럭시 포톤 스킬 대신 갤럭시 카드가 10장 이상 들어가고, 포톤이나 갤럭시 몬스터 이외의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만 사용 가능한 엑시즈 갤럭시 스킬을 주로 사용하며 엑스트라 덱도 기껏해야 휘광제 갤럭션 정도만 사용하던 기존과 달리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더불어 새로 나온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 등이 주축이고, 기존의 포톤 카드들은 많이 빠져서 사실상 갤럭시 덱이라고 보면 된다.그나마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은 필수로 들어가고, 레시피에 따라 포톤 카드 몇 장이 들어가기도 한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크리포톤 ==== [include(틀:유희왕/OCG/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파일:クリフォト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크리포톤, 일어판명칭=クリフォトン, 영어판명칭=Kuriphoton, 속성=빛,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2000 LP를 지불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이 받는 모든 데미지는 0 이 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패에서 "크리포톤" 이외의 "포톤"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Kuriphoton-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크리포톤, 일어판명칭=クリフォトン, 영어판명칭=Kuriphoton, 속성=빛,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를 절반 지불하는 것으로\, 자신이 받는 모든 데미지는 0이 된다. "광자" 또는 "포톤"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을 패에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묘지의 이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2000 LP를 지불하는 것으로, 이 턴에 자신이 받는 모든 데미지를 0으로 하는 유발 즉시 효과다. LP 절반 지불이었던 원작과 달리 2000 고정으로 바뀌어 LP가 낮으면 발동할 수 없게 됐지만, 모든 데미지를 차단하는 효과 자체는 그대로 구현됐다. 즉, 이 효과가 통과되기만 하면 상대가 특수 승리라도 하지 않는 이상 다음 턴을 확정적으로 받아올 수 있다. 포톤 카드라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로 상대 턴에 즉각 서치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면, 패에서 카드명이 다른 포톤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이 카드를 샐비지하는 기동 효과다. 원작과 거의 동일한 효과로, 포톤 덱에서는 ①의 효과를 사용한 뒤에도 이 카드를 회수해 다시 써먹을 수 있다. [[인피니트 포비든]] 발매 시점에서는 프리 체인으로 턴킬을 막는 범용 패 트랩으로 채용되고 있다. 직전 팩인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출시된 후공 턴킬 특화 덱인 [[천배룡]]이 상위 티어를 유지하는데다가, [[기믹 퍼핏]]도 선공 원턴킬 플랜으로 티어권에 입성하자 이에 대항할 수단으로 주목받은 것이다. 같은 팩에서 나온 강력한 용병 테마인 [[데먼스미스]]와 속성 / 종족이 같아 시너지를 볼 수 있다는 것도 호재다. 원작에서는 [[유희왕 ZEXAL]] 69에서 [[텐조 카이토]]가 [[츠쿠모 유마]]&[[카미시로 료가]]와 함께 한 [[Dr. 페이커]]와의 3vs1 듀얼 중 사용. 페이크 폼에 의한 효과 데미지를 0으로 하여 패배를 면했다. 디자인이나 효과나 [[크리보]]의 오마주로, [[츠쿠모 유마]]의 [[크리볼트]]가 크리보가 증식하는 특성을 따왔다면 이쪽은 대미지를 막는 효과를 따왔다. 라이벌이 최초로 사용한 크리보 계열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カイト編-]] || DP13-JP01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DP20-JP043 || [[노멀]] || 일본 || || || Zexal Collection Tin || ZTIN-EN009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 LED3-EN043 || [[노멀]] || 미국 || || || Yu-Gi-Oh! Advent Calendar || AC19-EN016 || [[노멀]] || 미국 || 절판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카이트 편-]] || DP13-KR014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 DP20-KR043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팩|决斗者包-传说之决斗者编3]] || DP20-SC043 || [[노멀]] || 중국 || 중국 최초 수록 || ==== 포톤 새털라이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새털라이트,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サテライト, 영어판명칭=Photon Satellite, 속성=빛,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기계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다른 "포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이 카드의 레벨은\, 서로의 레벨을 합계한 레벨이 된다.)] {{{#!folding [ 원작 효과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새털라이트,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サテライト, 영어판명칭=Photon Satellite, 속성=빛,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기계족, 효과1=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포톤" 또는 "광자" 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소환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레벨만큼 이 카드의 레벨을 올린다. 이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할 경우\, 1장으로 2장만큼의 소재로 할 수 있다.)]}}} [[유희왕 ZEXAL]] 63화에서 [[텐조 카이토]]가 [[트론(유희왕 ZEXAL)|트론]]과의 듀얼 중 사용. 통상 소환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대상으로 효과를 발동하여 레벨 9가 되었으며, [[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가 되는 몬스터|2장만큼의 소재 효과]]로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를 엑시즈 소환했다. OCG에선 원작에서 선택한 포톤 몬스터의 레벨+1과 같은 랭크의 [[엑시즈 소환]]이 가능한 것까진 유지되었으나, 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 효과는 빠졌다. 그러나 그 약화된 효과만 해도 쓸만하여 이 카드의 등장 덕분에 포톤 덱의 엑시즈 소환 능력이 더욱 높아졌다. 당장 포톤 스래셔만 있어도 강력한 랭크 5가 튀어나올 수 있으며 특히 빛 속성이라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도 뽑을 수 있다. 또한 소환이 매우 빡센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를 가장 쉽고 실용적으로 소환할 수 있는 카드이다. 자기 자신도 포톤이므로 이 카드가 여러 장 있으면 그만큼 레벨을 또 중첩해서 더할 수 있는지라 이 카드 2장만 있어도 소재 2개짜리 랭크 4가 뽑히고, [[기계 복제술]] 같은 걸로 3장을 죽 늘어놓고 입맛 따라 랭크를 고르는 것도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カイト編-]] || DP13-JP01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Zexal Collection Tin || ZTIN-EN007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카이트 편-]] || DP13-KR01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포톤 케로베로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6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케로베로스,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ケルベロス, 영어판명칭=Photon Cerberus, 속성=빛, 레벨=3, 공격력=1300, 수비력=600, 종족=야수족, 효과1=①: 이 턴에 일반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온몸이 광자로 구성되어 있고 머리가 세 개인 파수견. 몸에서 방출되는 사슬로 모든 적을 가둔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함정 봉쇄 효과를 쓰려면 일반 소환권을 사용해야 하는 데다가, 소환된 턴 한정으로만 적용된다. 게다가 속공 마법이나, 이미 발동되어 있는 함정 카드의 효과, 묘지에서 발동하는 함정 카드의 효과는 막을 수 없다. 사실상 상위 호환인 [[전광-설화-]]의 존재로 인해 쓰이지 않는 카드. 원작에서는 효과로 [[츠쿠모 유마]]가 세트한 [[방어막(유희왕)|성스러운 갑옷 -거울의 메일-]]을 봉쇄한다. ||수록 시리즈 || ||<(> 2011-11-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SW-KR015 | '''[[빛의 충격파]]'''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04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7-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SW-JP015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04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1-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SW-EN015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3-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P13-EN012 | '''Star Pack 2013'''[*ST 패러렐 레어는 공식 DB에 Starfoil Rare로 등록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삼각형 패턴이 아닌 별 모양 패턴이 흩뿌려져 있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3-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NUMH-EN022 | '''[[Number Hun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포톤 사벨타이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466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사벨타이거,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サーベルタイガー, 영어판명칭=Photon Sabre Tiger, 속성=빛, 레벨=3, 공격력=2000, 수비력=300, 종족=야수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포톤 사벨타이거"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자신 필드에 다른 "포톤 사벨타이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800 내린다.)] 레벨 3에 공격력 2000이라는 파격적인 능력을 갖고 있지만[* 레벨 3 중 가장 높은 공격력이다. 같은 능력치로 [[아머드 플라이]]가 있다.] 또 다른 사벨타이거가 없을 경우 공격력이 800 떨어진다는 디메리트를 갖고 있다. 어태커로서 기능해야 할 카드가 곧바로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건 치명적인 단점. 그 대신 [[가제트(유희왕)|가제트]]처럼 일반 소환 시 같은 이름의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가 있긴 하지만, 이 카드 2장을 모아서 공격력 2000을 만들어 놔도 그 상태면 랭크 3 [[엑시즈 소환]]이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소환할 수 있어서 실용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 ||수록 시리즈 || ||<(> 2013-01-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P5-KR022 | '''[[엑스트라 팩#s-7|엑스트라 팩 201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10-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P12-JP022 | '''[[엑스트라 팩#s-7|EXTRA PACK 201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1-11-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SW-EN081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6-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GO1-EN013 | '''Egyptian God Deck: Obelisk the Tormento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리저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6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리저드,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リザード, 영어판명칭=Photon Lizard, 속성=빛, 레벨=3, 공격력=900, 수비력=12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포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작은 몸에 광자 에너지를 모으는 도마뱀. 몸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다른 광자를 끌어들인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PhotonLizard-JP-Anime-ZX.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포톤 리저드'''|| || 일어판 명칭 ||<-4>'''フォトン・リザード'''|| || 영어판 명칭 ||<-4>'''Photon Lizar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빛 || 드래곤족 || 900 || 1200 || ||<-5>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이 카드를 릴리스하여 발동한다. 자신의 덱에서 "포톤"이라는 이름이 붙은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自分フィールド上に存在するこのカードをリリースして発動する。自分のデッキから「フォトン」と名のついたレベル4以下のモンスター1体を手札に加える事ができる。 }}} 포톤 덱의 서치 요원. 효과 자체는 원작과 동일하지만, 원작과 달리 1턴에 1번만 쓸수 있다는 텍스트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자신을 릴리스하고 서치해야 하기 때문에 평범하게 쓰면 소환권은 소환권대로 쓰고 전개가 되지 않아 불편하다. 가장 서치하기 무난한 것은 역시 특수 소환 효과를 지닌 포톤 스래셔. 릴리스해서 필드에서 사라지므로 스래셔의 특소 조건 만족도 쉽다. 이름은 리저드인데 어째 파충류족이 아니라 드래곤족이다. [[파일:포톤리저드 애니메이션.jpg]] 원작에서는 [[유희왕 ZEXAL]]에서 [[텐조 카이토]]가 [[카미시로 료가]]와 듀얼 중 사용. [[트윈 포톤 리저드]]의 융합 소재로 쓰인 다음 되살아나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참고로 [[트윈 포톤 리저드]]가 빨간색 반 주황색 반 디자인이라, 애니에서 소환되었을 때 융합 해제 연출이 나오면서 한 놈은 주황색으로 나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07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カイト編-]] || DP13-JP005 || [[노멀]]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0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Number Hunters]] || NUMH-EN023 || [[슈퍼 레어]] || 미국 || || || Star Pack 2014 || SP14-EN006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절판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07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카이트 편-]] || DP13-KR005 || [[노멀]] || 한국 || || ==== 포톤 파이레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48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파이레츠,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パイレーツ, 영어판명칭=Photon Pirate, 속성=빛,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기계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포톤"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000 올린다.)] 공격력을 최대 3000 올릴 수 있어서 레벨 3치고는 매우 높은 화력을 구사할 수 있다. V와의 듀얼에서 효과를 사용한 후 포톤 스래셔와 함께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로 쓰인다. 이후 [[미래로의 생각]]으로 되살아나 시프트 업으로 레벨을 올린 후 네오 포톤의 엑시즈 소재가 된다. ||수록 시리즈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11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11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3-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ZTIN-EN006 | '''Zexal Collection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4 === ==== [[포톤 스래셔]] ==== ==== 포톤 크러셔 ==== [[파일:フォトン・クラッシ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크러셔,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クラッシャー, 영어판명칭=Photon Crush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는 공격했을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수비 표시가 된다.)] [[드라고뉴트|엑스 드라고뉴트]]의 포톤 버전. 수비력이 0이기 때문에 다음 턴에는 폭사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처음 나왔을 때는 별로 존재감이 없었다. 어지간한 하급 어태커를 쌈싸먹고 포톤 드래곤의 소환 조건도 채워주는 공격력인지라 아예 못 써먹을 성능은 아니지만, 같은 디메리트를 지닌 [[고블린의 돌격 부대]] 계열 몬스터들이 공격력도 더 높은 데다 그런 카드들이 한두 장이 아니었다. 돌격 부대와는 달리 1턴만 버티면 다시 공격할 수 있지만 그런 건 힘들고, 같은 빛 속성 전사족이면서도 공격할 때 2100이 되고 상대 턴을 1800으로 맞이하며, 덱도 깎아주는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이 있어 성능 자체는 경쟁력이 없었다. 레벨 4 포톤 몬스터라는 점을 그나마 내세울 수 있었으나, 이 용도로 보자니 같이 나온 포톤 스래셔가 같은 스탯에 공격력이 100 더 높고 '''특수 소환'''까지 되는 파격적인 카드라 이 카드를 우선할 이유가 딱히 없었다. 일단 스래셔와는 달리 소환이나 공격에 아무 제약이 없다는 점이 장점이긴 했지만 그렇게 주목할 만한 점은 아니었다. 하지만 포톤 서포트가 더 늘어나고 특히 [[휘광제 갤럭션]]이 나오면서 채용 가치가 상당히 올라갔다. 레벨 4 포톤 2장을 요구하는 이 카드의 소환 조건은 스래셔만으로는 채울 수가 없었는데, 이 카드가 그걸 채워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카드이기 때문이다. 같은 조건의 포톤 서클러와는 달리 이 카드는 더 좋은 카드가 많을 뿐 쓸만은 한 성능이기 때문에 갤럭션을 소환하려고 한다면 적극적으로 채용해 주는 것이 좋다. 굳이 갤럭션이 아니더라도 막 굴릴 수 있는 레벨 4 포톤을 원한다면 이 카드가 가장 좋다. 포톤 스래셔와 마찬가지로 [[가면레온]]의 효과로 되살려 싱크로를 할 수 있다. 레벨 4 포톤 몬스터의 수비력이 둘다 0이기에 가면레온을 채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원작에서는 샤크와 듀얼할 때와 유마와 태그를 맺고 한 Ⅲ & Ⅳ와의 듀얼에서 모두 일반 소환하여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 소재로 쓰인다. 그 후로도 드문드문 나오는 편. ||수록 시리즈 || ||<(> 2012-02-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ORCS-KR009 | '''[[오더 오브 카오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07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0-KR042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1-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ORCS-JP009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07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0-JP042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RCS-EN009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2-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P14-EN008 | '''Star Pack 2014'''[*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8-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3-EN042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서클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880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서클러,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サークラー, 영어판명칭=Photon Circle,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마법사족, 효과1=①: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전투를 실행해도 내가 받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건 분명 장점이긴 한데, 애초에 그럴 목적이라면 그냥 데미지 자체를 아예 말소시키는 카드를 쓰는 쪽이 훨씬 더 이득이다. 직접 공격이라도 가능했다거나 타점이라도 높았다면 공격 표시로 꺼내들 명분이라도 생겼을텐데, 그런 것조차 없이 능력치만 저질이니 꺼내들 이유조차도 없다. 원작에서는 아스트랄과의 듀얼에서 소환하여 아스트랄에게 직접 공격을 한 번 날린 후, [[CNo.39 유토피아 레이]]의 효과로 공격력이 0이 되어 파괴당한다. 하지만, 효과 덕분에 받는 데미지가 0이 되면서 카이토는 간신히 패배를 면하게 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12-02-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ORCS-KR011 | '''[[오더 오브 카오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09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1-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ORCS-JP011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09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RCS-EN011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차지맨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20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차지맨,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チャージマン, 영어판명칭=Photon Chargeman,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다음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원래 공격력의 배가 된다.)] 원작에서 포톤 드래곤의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거나, [[나이트 오브 포톤 드래곤]]의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는 등 그야말로 오직 릴리스되기 위해 태어난 듯한 불쌍한 카드. 배로 올린 공격력은 그나마 상대 턴에 2000의 벽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가장 중요한 공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별 의미가 없고, 결국 OCG에서도 그냥 릴리스 셔틀로나 쓰라고 나온 카드이다. 효과를 발동하면 공격력이 2000이 되기에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 조건을 채울 수 있는 건 여전하다. 물론 포톤 드래곤을 소환할 방법은 이 카드 외에도 많으니 포톤 스래셔, 포톤 크러셔와 함께 [[휘광제 갤럭션]]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잘 쓰이는 레벨 4 포톤들인 스래셔/크러셔와 종족을 공유한다는 점도 좋다. ||수록 시리즈 || ||<(> 2014-02-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VAL-KR007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1-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VAL-JP007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1-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VAL-EN007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8-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4-EN189 | '''2014 Mega-Tin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어드밴서 ==== [[파일:フォトン・アドバンサ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어드밴서,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アドバンサー, 영어판명칭=Photon Advanc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에 "포톤"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포톤"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코믹스 포톤 어드밴서.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어드밴서,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アドバンサー, 영어판명칭=Photon Advanc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1=자신 필드 위에 "포톤 어드밴서"가 있을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포톤 어드밴서"가 있을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 위의 다른 모든 "포톤 어드밴서"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서 [[텐조 카이토]]가 [[츠쿠모 유마]]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포톤 어드밴서를 일반 소환 후, 패에서 1장 더 특수 소환하여 공격력을 2000으로 올린 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같은 이름의 카드만 지정했던 원작과는 달리 OCG화되면서 효과 양쪽 모두 범위가 모든 포톤 몬스터로 늘어나 쓰기는 편해졌다. ①의 효과는 포톤 몬스터가 존재하면 특수 소환이 가능한 [[룰 효과|소환 룰 효과]]. [[포톤 크러셔]] 등 레벨 4 포톤 몬스터와 함께 랭크 4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며 소환하기 까다로웠던 갤럭션도 쉽게 엑시즈 소환이 가능해졌다. 위의 차지맨과 마찬가지로 스래셔 / 크러셔과 같은 전사족이라 증원 등의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단 점도 플러스 요소. ②의 효과는 다른 포톤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하면 자신의 공격력을 강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이 효과만으로 공격력이 2000으로 오르기에 다른 1장도 2000 이상이라면 즉석에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을 위한 릴리스로도 쓸 수가 있다. 다만 아쉽게도 갤럭시 카드군은 효과 범위에 없기에 포톤 드래곤을 제외한 다른 갤럭시 몬스터만 나와있다면 그냥 공격력 1000짜리 바닐라가 되어버린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20]] || PP20-JP011 || [[노멀]][br][[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3]] || PP13-KR011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br][[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Duel Power || DUPO-EN034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포톤 버니셔 ==== [[파일:フォトン・バニッシャー(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포톤 버니셔,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バニッシャー, 영어판명칭=Photon Vanish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에 "포톤" 몬스터나 "갤럭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자신은 "포톤 버니셔"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특수 소환한 턴에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엑시즈 소환한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4=●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으며 제외된다.)]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3]]에서 추가된 새로운 포톤. 일러스트가 카이토가 사용한 [[오버레이 스나이퍼]]와 비슷하고, 소환된 턴에 공격할 수 없는 것도 비슷하지만, 위의 포톤 어드밴서와 마찬가지로 자체 특소가 가능하기에 엑시즈용으로 쓰기엔 더할 나위 없이 좋다. 다만 어드밴서와는 달리 일반 소환이 불가능하기에 여러 장 잡히면 곤란해진다. 일반 소환이 불가능한 대신 특수 소환에 성공할 시 덱에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서치하는 효과가 있기에 차지맨이나 어드밴서와 함께라면 곧바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격력 2000의 하급 어태커답게 특수 소환된 턴에는 공격 불가 디메리트가 있기에 전투에 쓰기보단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로 쓰거나 랭크 4 엑시즈 소재로 쓰는 게 좋을 듯하다. 3번 효과는 자신을 소재로 한 엑시즈 몬스터에게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를 제외시켜 주는 효과를 부가해 주는 효과. 묘지 자원이 중요한 듀얼 환경상 재활용의 여지를 주지 않는단 건 매우 강력하며, 그냥 이 카드를 소재로 쓰기만 하면 되기에 랭크 4 엑시즈 몬스터는 물론, [[갤럭시 퀸즈 라이트]]로 레벨을 8로 바꾸어 랭크 8 갤럭시아이즈들의 소재로 써도 효과를 부여해 줄 수 있다. 단, 재정상 자신의 그 몬스터가 파괴되면 상대 몬스터는 제외되지 않고 묘지로 간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스래셔, 크러셔, 차지맨, 어드밴서와 마찬가지로 [[증원(유희왕)|증원]], [[성기사(유희왕)|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로 서치가 가능하며 파라디오스와 갤럭션, 그리고 같이 추가된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 등 각종 랭크 4 엑시즈 소환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듀얼링크스에서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가져온 뒤 스킬 "갤럭시 포톤"으로 파멸의 포톤 스트림으로 교환하여 제외로 쌈 싸 먹는 용으로 자주 쓰이고 있다. ||수록 시리즈 || ||<(>2018-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0-KR035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0-JP035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24-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QCCP-JP053 |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s-3|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2018-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3-EN035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21-01-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2-EN050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23-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LMR-EN058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포톤 오비탈 ==== [[파일:フォトン・オービタル(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오비탈,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オービタル, 영어판명칭=Photon Orbital, 속성=빛, 레벨=4, 공격력=500, 수비력=2000, 종족=기계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포톤" 몬스터나 "갤럭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이 카드를 이하의 효과를 가지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그 자신의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리고\,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②: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포톤 오비탈"이 아닌\, "포톤" 몬스터나 "갤럭시"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나와라 오비탈! '''포톤 오비탈!!''' - [[듀얼링크스]] 소환 시 카이트 대사 - >서포트해라! 오비탈!! - [[듀얼링크스]] ①효과 발동 시 카이트 대사 - >나와 하루트를 위해서라면 목숨도 던지는 것 그게 네 존재 의의다. 해치워라 오비탈! - [[듀얼링크스]] ②효과 발동 시 카이트 대사 - [[오비탈 7(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오비탈 세븐]]의 리메이크 카드. 오비탈 세븐이 [[SD 로보]]와 [[포톤(유희왕)|포톤]] / [[갤럭시(유희왕)|갤럭시]] 양쪽에서 병행하여 사용하게 되어있다면 이쪽은 오직 포톤 / 갤럭시만을 위한 전용 서포트 카드다. ①의 효과로 자신의 포톤, 갤럭시 몬스터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상승하며 전투 내성을 얻는다. 같은 팩에 등장하는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에 장착한다면 전투 내성에 자신도 공격력 2300이 되므로 지정 내성, 효과 파괴 내성을 얻어 강력한 막이 몬스터로 사용할 수 있다. 포톤을 소재로 하면 효과 파괴 내성을 얻고 그 포톤을 자체적으로 충당이 가능한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에 장착하면 전투 / 효과 파괴 내성+몬스터 퍼미션 효과를 지닌 괴물이 탄생한다. ②의 효과는 장착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포톤, 갤럭시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 1번 효과도 물론 좋지만 이 효과가 아무래도 주력이 될 것이다. 레듀팩 3에서 포톤 지원 위주로 나와 딱히 시너지를 보지 못했던 갤럭시 덱에게는 그나마 위안. 헷갈리기 쉽지만 이 효과는 필드 위에서 '장착되어 있는 카드'의 효과로 취급되므로, ''''몬스터 효과'로 취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덤의 지명자]]에 의해 묘지의 포톤 오비탈이 제외당하더라도 ②의 서치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갤럭시 덱에서 이 카드를 쓸 경우 이 카드의 실질적인 효과는 "자신 필드에 포톤 또는 갤럭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덱에서 포톤 또는 갤럭시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가 된다. 갤럭시 덱에는 이미 갤럭시 익스페디션이라는 훌륭한 카드가 있지만 4장째의 갤럭시 익스페디션처럼 활용하고, 또한 유사시에는 상술한 포톤 로드같은 에이스 몬스터에 전투 내성을 부여하는 용도로 쏠쏠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니온 캐리어]]의 효과를 이용해 장착 카드가 되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유니온 캐리어 자체가 빛 속성이기 때문에 포톤의 성역으로도 소환할 수 있다. 하지만 유니온 캐리어가 금지된 탓에 능동적으로 쓰기 어려워졌다. 일러스트는 듀얼 디스크를 펼친 [[오비탈 세븐]]이 [[텐조 카이토|주인님]]의 [[포톤 모드]] 변신 포즈를 따라하고 있는 모습. 같이 등장한 포톤 체인지와 일러스트를 비교해 보자. 갤럭시아이즈, 포톤, 갤럭시 테마를 모두 섞은 8축 엑시즈 덱은 유희왕의 대표적인 귀족덱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이 카드도 그중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수록팩이 하나밖에 없는데다 이미 절판되었으며, 재록 소식도 없고 봉입률이 높은 편도 아니었기에 장당 2만원이 넘는 엄청난 가격대를 보유했으며 대부분의 엑덱 몬스터가 1장만 들어가는 반면 최소 2장에서 3장 투입하게 되기에 부담이 크다. '''심지어 비싼 돈 내고 사려해도 매물이 없을 때도 있다(...)''' ~~3장 다 하면 타타갤보다 비싸진다~~ 이후 쿼센클 프라이드에서 재록되어서 사정이 한결 나아진 편. ||수록 시리즈 || ||<(>2018-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0-KR036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0-JP036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2022-10-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2TP-JP405 | [[토너먼트 팩#s-64|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2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24-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QCCP-JP054 |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s-3|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2018-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3-EN036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21-01-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2-EN051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2023-03-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AZE-EN046 | MAZE OF MEMO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CR)] || ==== 포톤 점퍼 ==== [[파일:フォトン・ジャンパー(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점퍼,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ジャンパー, 영어판명칭=Photon Jumper, 속성=빛, 레벨=4, 종족=전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이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다음 자신 배틀 페이즈를 스킵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포톤" 마법 / 함정 카드나 "갤럭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PhotonJumper-EN-Manga-ZX-NC.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점퍼,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ジャンパー, 영어판명칭=Photon Jumper, 속성=빛, 레벨=4, 종족=전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이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다음 자신 배틀 페이즈를 스킵한다.)]}}} ①번 효과는 원작 그대로의 효과. 문제는 [[배틀 페이더]]도 있고 당장 포톤 카드군 내에 [[크리포톤]]도 있으며, 애초에 갤럭시 덱은 속전속결형 덱이기 때문에 자신의 배틀 페이즈 스킵은 특히 뼈 아프다. 정말 안 쓰면 지는 상황에서만 써야 하는 비장의 수단. ②번 효과가 이 카드의 핵심 효과이자 OCG화하며 추가된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포톤과 갤럭시 마함을 아무거나 서치할 수 있게 해준다. '''포톤 점퍼 등장 이전의 갤럭시 덱에게 가장 필요했던 효과'''다. 장소를 따지지 않기 때문에 [[어리석은 매장]]같은 단순 덤핑 카드에도 대응하며, 비슷한 시기에 나온 갤럭시의 자체 덤핑 카드인 [[갤럭시 헌드레드]]의 활용도도 올랐다. 그리고 특히 [[갤럭시 솔저]]와의 궁합이 발군으로, 솔저의 효과로 이 카드를 버리게 되면 아드 손실은 없는데 필드에는 솔저가 깔리게 되며 전개에 필요한 카드 두 장이 패에 존재하게 되는 기적의 교환비를 가지게 된다.[* 다만 포톤 점퍼가 패에 들어왔을 때 버릴 수단이 한정적이라서 3꽉은 하지 않는다. 갤럭시 덱의 빡빡한 제약 탓에, 예를 들어 일반 소환한 후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로 링크 소환하는 등의 행위도 불가능하기 때문. 1장 넣으면 후속이 아예 없어지기에 2장 정도가 추천된다.] 원작에서는 '라인 월드'의 효과 탓에 자신 묘지로 보내지질 못했기에 설령 있었어도 발휘될 수 없던 효과. 포하노 지원으로도 영 미묘함을 지울 수 없던 포톤 갤럭시 덱의 마지막 피스를 끼워맞춰준 지원. [[https://m.dcinside.com/board/tcggame/1450848|덱 덤핑 카드를 매개로 '''갤럭시 트랜서'''를 서치해 1핸드 초동이 가능하다]]는 게 발견되었다. 원작에서는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서 [[텐조 카이토]]가 [[비차각]]과의 듀얼 중 사용. [[No.72 라인몬스터 채리엇 비차]]의 공격시 효과를 발동하여 패배를 면했다. 다음 카이토의 턴에 수비 표시로 변경되었으나, 그 다음 비차각의 턴에 채리엇 비차의 효과로 파괴되고 필드 마법 라인월드의 효과로 비차각의 묘지로 보내졌다. ||수록 시리즈 || ||<(>2023-04-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3PP-KRA12 |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2023|프리미엄 팩 2023 1st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d)] || ||<(>2024-05-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QCCP-KR056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프라이드|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2022-12-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3PP-JP012 |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2023|PREMIUM PACK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d)] || ||<(>2024-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QCCP-JP056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프라이드|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포톤 델타 윙 ==== [[파일:フォトン・デルタ・ウィング.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포톤 델타 윙, 일어판 명칭=フォトン・デルタ・ウィング, 영어판 명칭=Photon Delta Wing, 레벨=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1800, 수비력=9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포톤 델타 윙"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빛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다른 "포톤 델타 윙"이 존재할 경우\, 상대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V와의 듀얼에서 등장한 몬스터. 모습이 보이지 않는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를 공격하다 막히고 다이슨 스피어에게 전투로 파괴당한다. 직후 포톤 파이레츠의 효과 코스트로 제외된다. 사르갓소에서의 듀얼에서는 포톤 스래셔와 함께 휘광제의 엑시즈 소재가 된다.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에서 OCG화되면서 1의 효과가 추가되었다. 덱 특소 능력은 좋지만 일반 소환에만 대응하며 동명의 몬스터만을 소환할 수 있기에 복수 투입이 요구되며 이는 패말림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패에서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2장이 잡혀도 전개가 가능한 건 그나마 다행인 부분. 2번 효과는 원작에서도 있었던 공격 차단 효과. 보통 이 카드로 특수 소환시킨 몬스터는 엑시즈나 링크 소재로 쓸 것이기에 그냥 덤으로 보는 게 좋다. 원래 일소권을 많이 쓰는 갤럭시 덱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카드였으나 [[타키온(유희왕)|타키온]] 지원이 나온 후 갤럭시/포톤 테마 내에서 트랜서 없이 유일하게 원핸드로 4레벨 2체를 뽑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아 [[데먼스미스]]를 채용한 갤럭시 덱의 핵심 초동 카드가 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23-06-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C03-JP014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레벨 5 === ==== 포톤 슬레이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50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슬레이어,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スレイヤー, 영어판명칭=Photon Slasher, 속성=빛, 레벨=5, 공격력=21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카이토의 첫 턴에 바로 특수 소환되어,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 소재가 되었다. 자신 상대 가리지 않고 엑시즈 몬스터만 있으면 튀어나갈 수 있어 반격의 시발점을 만들거나 굳히기에 들어갈 수 있다. 물론 직접 싸우진 못하므로 랭크 5 [[엑시즈 소환]]을 노리자. 포톤 새털라이트가 있으면 랭크 6도 간단히 된다. [[갤럭시 솔저]]의 등장으로 활용도는 더욱 상승했다. 영어판에서는 이름이 "포톤 슬래셔"가 되었는데, 그래도 Thrasher인 [[포톤 스래셔]]와는 다른 단어이다. ||수록 시리즈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13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13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ZTIN-EN008 | '''Zexal Collection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6 === ==== 포톤 레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879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레오,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レオ, 영어판명칭=Photon Leo, 속성=빛,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1100, 종족=야수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상대는 되돌린 수만큼 드로우한다.)] 상당히 미묘한 효과. 공격력도 2400 이하인 데다 일반 소환 시에만 효과가 발동하므로 트윈 포톤 리저드로 서포트해 줄 수도 없다. 원작에서는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과의 듀얼에서 [[리버스 버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하여 포톤 허리케인으로 올린 아스트랄의 패를 강제로 교체시킨 다음 포톤 스피어를 장착해 관통 데미지를 준다. 다음 턴 포톤 스피어의 효과로 [[더블 코스트 몬스터]]로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 소재로 릴리스된다. 공격명은 '''실버 팽(Silver Fang)'''. 효과명은 '''하울링 블로우(Howling Blow)'''. ||수록 시리즈 || ||<(> 2012-02-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ORCS-KR010 | '''[[오더 오브 카오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08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1-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ORCS-JP010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08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RCS-EN010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레벨 7 === ==== 포톤 와이반 ==== [[파일:フォトン・ワイバ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와이반,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ワイバーン, 영어판명칭=Photon Wyvern,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에 세트된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folding [ 원작 효과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와이반,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ワイバーン, 영어판명칭=Photon Wyvern,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드래곤족, 효과1=이 카드가 소환되었을 때\, 상대의 세트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AL 코믹스]] 특별편에서 [[텐조 카이토]]가 [[츠쿠모 유마]]와의 듀얼 중 사용. [[포톤의 성역]]으로 특수 소환된 포톤 토큰을 릴리스하여 어드밴스 소환된 뒤, 자신의 효과로 유마가 세트한 [[간바라 나이트]]를 파괴했다. 작중에서는 소환시 본편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카이토가 상공으로 던진 십자가형 물체로부터 변형되어 탄생하는 것으로 연출된다. OCG화 되면서 파괴 범위가 세트된 몬스터에서 카드로 상향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사용하기에는 여러모로 무리가 있기에 정 사용하겠다면 [[토템 드래곤]]이나 [[사황제의 능묘]]등으로 릴리스를 줄여야 할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4]] || PP14-JP002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거신룡부활|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巨神竜復活-]] || SR02-JP013 || [[노멀]] || 일본 || || || 2012 Premium Collection Tin || PRC1-EN015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109 || [[레어]][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7]] || PP07-KR02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거신룡부활|스트럭처 덱 R-거신룡부활-]] || SR02-KR013 || [[노멀]] || 한국 || || === 레벨 8 ===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 [[포톤 카이저]] ==== ==== 포톤 엠페러 ==== [[파일:フォトン・エンペラー(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엠페러,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エンペラー, 영어판명칭=Photon Emperor, 속성=빛,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이외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포톤" 몬스터나 "갤럭시" 몬스터가\, 자신 필드나 묘지에 존재하고 있으면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때에 적용한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등장한 포톤 덱의 새로운 지원 카드. 필드 이외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체 소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는 그 전까지 갤럭시와 포톤 덱에서는 가지고 있지 않던 자체 소생 효과로 [[갤럭시 솔저]]가 이 카드를 코스트로 버리고 특수 소환을 할 경우, 자체 소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엑시즈 소재로 묘지에 보내질 경우에도 특수소환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전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갤럭시 덱의 경우, 갤럭시 나이트나 갤럭시 위저드와 같은 일반 소환이 필요한 카드들이 많았는데, 이 카드의 ②번 효과가 그러한 카드들을 보조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함께 출시된 [[갤럭시 헌드레드]]와도 좋은 연계가 될 것으로 보이나, 이 경우에는 자체 특수 소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헌드레드 이외에 묘지나 필드에 갤럭시, 포톤 카드가 필요하다. 레벨이나 이름[* 카이저는 독일어, 엠퍼러는 영어로 황제를 뜻하는 단어다.]을 보면 [[포톤 카이저]]의 리메이크. 포톤 카이저의 수비력이 공격력으로 바뀌었다. 거기다가 [[제왕(유희왕)|제왕]]을 의식한 건지 수비력이 1000이 되어서 제왕 서포트를 받는다. 여담으로 포톤 카이저가 나온지 약 11년 만에 리메이크된 카드인데,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이 카드 출시로부터 약 15개월 후]] OCG에는 나오지 못할 것으로 여겨졌던 [[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가 되는 몬스터|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가 되는 효과]]를 지닌 [[샤크(유희왕)#드레이크 샤크|몬스터]]가 실제로 출시되는 바람에 다소 아쉽게 되었다. 포톤 카이저도 최초의 2장만큼의 엑시즈 소재 몬스터였기에 만약 15개월만 늦게 리메이크되었다면 이 카드도 해당 효과를 재현했을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수록 시리즈 || ||<(>2023-01-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HY-KR001 | '''[[포톤 하이퍼노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22-10-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HY-JP001 | '''[[포톤 하이퍼노바|フォトン・ハイパーノヴァ]]'''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24-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QCCP-JP055 |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s-3|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2023-02-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HY-EN001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의식 몬스터 == === 레벨 4 === ==== [[나이트 오브 포톤 드래곤]] ==== == 융합 몬스터 == === 레벨 6 === ==== 트윈 포톤 리저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트윈 포톤 리저드, 일어판명칭=ツイン・フォトン・リザード, 영어판명칭=Twin Photon Lizard,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소재="포톤"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이 카드의 융합 소환에 사용한 융합 소재 몬스터 1세트를 자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folding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winPhotonLizard-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트윈 포톤 리저드, 일어판명칭=ツイン・フォトン・リザード, 영어판명칭=Twin Photon Lizard,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수비력=1000, 효과1="포톤 리저드" + "포톤 리저드", 효과2=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이 카드의 융합 소환에 사용했던 융합 소재 몬스터 1세트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융합 소환! 등장하라, '''트윈 포톤 리저드''' ! >融合召喚!現れろ、'''ツイン・フォトン・リザード'''! 자신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융합 해제|융합 소재로 사용된 몬스터를 묘지에서 소생시키는]] 기동 효과를 가진 융합 효과 몬스터. 원작과는 달리 소재 지정이 포톤 몬스터 2장으로 완화되었다. 이 카드가 엑스트라 덱에 있으면 [[융합(마법 카드)|융합]] 카드가 '패 / 필드의 포톤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라는 효과로 바뀐다고 생각하면 좋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등의 강력한 포톤 몬스터를 소재로 했다면 패에서 단숨에 강력한 몬스터를 필드에 소환할 수 있으며, 소재가 레벨이 같은 몬스터라면 원작에서처럼 융합을 해제한 다음 바로 엑시즈 소환으로 이어나갈 수도 있다. 게다가 릴리스되어 묘지로 간 이 카드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 효율이 괜찮다. 융합 1장만 있으면 패에 잡힌 레벨 8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2장으로 이 카드를 소환 → 효과 발동 → 포톤 드래곤 2장 →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프라임 포톤]],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풀아머 포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사이퍼 드래곤]] 중 택 1 소환이라는 콤보도 가능하다. [[포톤(유희왕)#포톤 사벨타이거|포톤 사벨타이거]]와는 상성이 좋다. 사벨타이거 1장을 일반 소환하고 사벨타이거가 물어다 준 다른 사벨타이거와 함께 융합 후 효과를 발동하면 공격력 2000의 사벨타이거 2장이 필드에 바로 모인다. 단 공격력의 총합은 높아질지 몰라도 타점이 도로 낮아진다는 게 문제. 한가지 주의할 것이 반드시 1세트를 전부 소환해야 한다는 것. 융합 소재 세트 중 하나라도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융합 소재가 묘지에서 벗어나면 당연히 안 되고, 특수 소환 몬스터인 [[포톤 스래셔]]를 패에서 그냥 융합해버리면 [[소생 제한 룰]]에 걸리기 때문에 효과 발동이 불가능해진다. 어지간하면 포톤 스래셔를 융합할 일은 없겠지만 설령 한다고 해도 필드에 있는 녀석을 융합해야 한다. 이외에도 포톤의 성역으로 뽑은 포톤 토큰을 융합 소재로 삼아도 토큰을 특수 소환할 수 없어 효과 발동이 불가능하다. 드래곤족이라 [[용의 거울]]로도 소환이 가능하지만, 소재가 묘지에 남지 않으므로 효과를 사용할 의미가 없어진다. 그래도 패 1장으로 공격력 2400의 몬스터를 꺼낼 수 있으니 제거 효과에 대비한 돌다리 두드려보기의 일환으로 채용할 가치도 있을 것이다. [[포톤 리저드]]로 [[포톤 스래셔]]를 서치 후 특수 소환한다는 자연스런 흐름으로 소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 카드 자신도 포톤 테마에 속하는지라 2장째 포톤을 갖추기는 용이하다. 소비가 더 들기는 해도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카우스트|세이크리드 카우스트]] 등을 써서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를 비롯한 랭크 6 엑시즈 몬스터를 소재로 써봐도 좋을 듯 하다. 덱 구축 난이도가 좀 있긴 하지만, [[라이트펄서 드래곤]]이나 [[성각#성각룡-토페니 드래곤|성각룡-토페니 드래곤]]으로 [[성각#성각용왕-아툼스|성각용왕-아툼스]]를 연계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전개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파일:트윈포톤리저드 애니메이션.jpg]] [[유희왕 ZEXAL]] 22화에서 [[텐죠 카이토]]가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 중 사용. [[포톤 리저드]] 2장을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다. 넘버즈를 사용할 것이라 예상했던 료가는 엑시즈 소환이 아닌 융합을 발동하는 것을 보고 다양한 전술을 다룰 수 있는 것이냐며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후 [[샤크토퍼스]]를 공격해 파괴했으며, 전투로 파괴된 샤크토퍼스가 효과로 장착되어 공격력을 0으로 떨어뜨리고 표시 형식도 변경할 수 없게 하나, 자신의 효과로 소재인 [[포톤 리저드]] 2장으로 분리해버려서 장착돼있던 샤크토퍼스도 날려버렸다. 이후 남은 포톤 리저드 2장은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공격명은 '서브라임 브레스(サブライム・ブレス)'. [[사이버 트윈 드래곤]], [[푸른 눈의 쌍폭렬룡]]을 잇는 쌍두룡 컨셉의 카드지만, [[갤럭시아이즈]]가 아닌 포톤인 것이 특징. 여담으로 원작에선 저렇게 소재 몬스터 명칭이 명확히 표기되어있어서 카이토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인 [[심안의 여신]]을 덱에 투입하고 있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3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カイト編-]] || DP13-JP018 || [[노멀]]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39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tar Pack 2014 || SP14-EN020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3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 DP13-KR018 || [[노멀]] || 한국 ||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휘광룡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 ==== [[파일:輝光竜フォトン・ブラスト・ドラゴン(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휘광룡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 일어판명칭=輝光竜(きこうりゅう)フォトン・ブラス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Starliege Photon Blast Dragon,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4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포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엑시즈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공격력 2000 이상의 몬스터는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상대는 그것들을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3=③: 상대 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간만에 [[갤럭시(유희왕)|갤럭시]]가 아닌 포톤을 지원하는 새로운 엑시즈 몬스터로, 본인도 포톤 카드군에 속하니 서포트를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다. 범용 랭크 4 엑시즈 몬스터이기에 내성을 주는 용병으로서 채용이 가능하며 포톤 덱에서도 [[포톤 스래셔]], 포톤 어드밴서, 포톤 버니셔 등 특수 소환 가능한 레벨 4 몬스터가 많기에 쉽게 소환할 수 있다. 1번 효과로 엑시즈 소환에 성공하면 곧바로 패에서 포톤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해주기에 패에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잡혀있다면 곧바로 소환해 줄 수 있으며 같이 수록된 배니셔에게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서치 효과가 있기에 곧바로 연계가 가능하다. 또한 2번의 강력한 내성 효과덕에 이렇게 불러낸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나 다른 고타점 몬스터들이 상대 효과에 나오자마자 쓸려나가는 걸 방지해주며, 안전하게 상대 효과를 씹고 전투할 수 있게 해준다. 그 대신이랄지,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1800이라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소환 코스트나 자신의 ②의 효과 등 공격력 2000 이상을 지정하는 서포트를 피해간다는 것에 주의. 이 점은 같은 팩에 나온 포톤 오비탈을 장착해서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대상 지정/효과 파괴/전투 내성이라는 내성 떡칠 몬스터가 되어버린다. 물론 공격력이 2300밖에 되지 않으므로 돌파용으로는 못 쓰고, 벽으로 세워서 버티다가 패가 갖춰지면 오비탈의 효과로 역전의 발판을 만드는 데에 쓰일 수 있다. 3번 효과는 상대 턴에 1번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는 것으로 묘지나 제외 존에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특수 소환시켜주는 효과로 함께 나온 포톤 체인지와 상성이 매우 좋다! 상대 턴에 세트해 둔 포톤 체인지를 발동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묘지로 보내 덱에서 새로운 포톤을 특수 소환하고 포톤 카드 1장을 서치. 묘지로 보내진 갤아포는 이 카드로 부활시키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묘지뿐만 아니라 제외 존에서도 불러와 주기에 상대의 제거 효과로 제외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다시 불러와줄 수도 있다. [[포톤 하이퍼노바]]에 신규 추가된 [[갤럭시 포톤 드래곤]]과는 호궁합. 갤럭시 포톤의 지속 효과인 타점 500 증가로 인해 이 카드의 약점이었던 자신의 2번 효과를 자신이 받지 못하는 점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 듀얼리스트 3 || DP20-JP03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포톤 버터플라이 어쌔신]] ==== ==== [[포톤 알렉산드라 퀸]] ==== ==== [[갤럭시 포톤 드래곤]] ==== === 랭크 6 === ====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 ==== === 랭크 8 === ====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 ==== ====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 [[No.90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 ==== ====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 마법 카드 == === 포톤 베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7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 베일,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ベール, 영어판명칭=Photon Veil, 효과1=①: 자신의 패에서 빛 속성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의 덱에서 빛 속성 /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3장까지 패에 넣는다. 2장 이상 패에 넣을 경우에는\, 전부 이름이 같은 몬스터이어야 한다.)] 빛 속성에 레벨 4 이하이기만 하면 아무거나 다 패로 가져올 수 있는 강력한 서치 효과를 지녔지만, 빛 속성을 3장이나 덱에 되돌리고 발동한다는 조건이 좀 무겁고 같은 이름의 카드 3장을 서치해 오지 않으면 패 손해가 막심하다. 게다가 마법도 아니고 똑같은 몬스터 카드가 패에 3장이나 있는 경우는 사실 항상 반길 만한 일은 아니다. 패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디클레어러]] 계열이나 패에 여러 장 있지 않으면 바닐라가 되는 [[데이브레이커]], 또 패에서 마법같이 쓸 수 있는 [[마굉신|마굉신 그리므로]]같이 같은 이름의 카드라도 일단 패에 많이 있는 게 좋은 몬스터를 쓴다면 써볼 만하다. 또 [[초시공전투기(유희왕)|초시공 전투기 빅 바이퍼]]를 쓰는 로망 덱일 경우 이거 한 방에 필수 카드이면서도 서치가 힘든 옵션을 전부 가져와 [[원턴 킬]]을 노려볼 만하다. [[홀리 라이트닝]] 역시 도움이 된다. [[와타폰]]을 지정하면 순식간에 필드에 와타폰 3장을 내놓을 수 있기에 링크 소환으로 연결하기 쉽다. 문제는 같은 이름의 카드라는 특성 때문에 가져왔다가 상대가 [[마인드 크러시]]를 발동하면 상당히 힘들 것이다. 정 급할 땐 손해를 감수하고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같이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카드 1장만을 가져올 수는 있다. 그나마 이것조차 불가능했으면 정말 썩기 쉬운 카드가 되었을 것이다. [[사이퍼(유희왕)|사이퍼 윙]]의 전개를 위해 채용할 수는 있겠지만, 사이퍼 윙이 사이퍼 몬스터를 지정하는 걸로 봐서 포톤에서의 포톤 스래셔와 같은 소환하기 쉬운 사이퍼 몬스터가 나온다면 쓰이지 않을 것이다.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가 무제한으로 풀린 이후로는 필드에 빛 속성이 깔려있을 때 이걸로 어니스트 3장을 가져와서 우주 관광을 보내버리는 경우도 보인다. 원작에서는 유마와 듀얼할 때 [[데이브레이커]], [[심안의 여신]], [[샤이닝 엔젤]]을 되돌리고 데이브레이커 3장을 서치했다. ||수록 시리즈 || ||<(> 2011-11-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SW-KR050 | '''[[빛의 충격파]]'''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23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7-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SW-JP050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23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1-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SW-EN050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13-04-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AP02-EN023 | '''Astral Pack Tw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PWA-EN050 | '''[[스피릿 워리어즈|Spirit Warrio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포톤 리드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76_1.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PhotonLead-PHSW-EN-C-1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포톤 리드,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リード, 영어판명칭=Photon Lead, 효과1=①: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카드의 효율 자체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광신화]]처럼 상급 / 최상급도 나올 수 있게 하는 것도 아니고, 평범하게 패의 하급을 전개하기 위해 추가로 카드를 한 장 더 사용하는 건 어드 소모도 많고 불안정하다. 특히 이 카드가 소속된 포톤 카드군에는 포톤 슬래셔, 버니셔, 어드밴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등 특수 소환 효과를 내장한 카드가 무척 많고, 액셀 라이트, 갤럭시 익스페디션, 갤럭시 제로, 갤럭시 트랜서 등의 카드도 있어서 굳이 이 카드를 쓸 필요가 없다. 때문에 이 카드는 '빛 속성'이면서 '천사족이 아니고', '특수 소환 시 유발 효과'가 있으며, '하급 몬스터' 위주인 덱일 때에야말로 빛을 발한다. 가장 적합한 예는 [[테라나이트]]. 일러스트에는 빛 속성의 양대 리크루터인 [[샤이닝 엔젤]]과 [[콜링 노바]]가 나와있다. 수출되면서 일러스트가 정말 심하게 편집당했는데, 샤이닝 엔젤의 링이 없어진 건 원래 그렇다 치지만 여기서는 아예 날개까지 떼어내 버려서 그냥 사람이 하늘에 둥둥 떠있는 꼴이 되어버렸다(…) 거기다 배경까지 어두워졌다. 원작에서는 카이토가 유마와 듀얼할 때 패의 데이브레이커를 특수 소환해 효과를 발동했다. 데이브레이커는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에서 "데이브레이커"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카드. ||수록 시리즈 || ||<(> 2011-11-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SW-KR051 | '''[[빛의 충격파]]'''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1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3-KR024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7-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SW-JP051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3-JP024 | '''[[듀얼리스트 팩#카이트 편|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カイ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1-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SW-EN051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부스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29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 부스터,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ブースター, 영어판명칭=Photon Booster, 효과1=①: 토큰 이외의 필드의 레벨 4 이하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및 필드의 같은 이름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2000 이 된다.)] 공격력을 무조건 2000으로 만드는 것인지라 공격력 2000보다 높은 몬스터에게 쓰면 공격력이 오히려 떨어져 버린다. 원래 공격력이 2000에 가까울수록 효과가 미미하니 하급 어태커의 보조용이라면 차라리 지속적으로 무조건 500을 튀겨주는 [[속성 필드 마법|샤인 스파크]]를 채용하는 것이 낫다. 샤인 스파크 깔고 포톤 스래셔 + 어지간한 하급 어태커를 일반 소환해도 포톤 드래곤은 뽑힌다. 포톤 드래곤의 보조용으로 쓰기보다는 공격력은 낮지만 직접 공격이나 연속 공격이 가능한 [[일렉]] 계통과 함께 써보자. 이것도 몬스터 1장에만 쓰기에는 다른 공격력 강화 카드들이 많아서 좀 미묘하니 같은 이름의 카드를 전부 강화한다는 점을 살려 [[지옥의 폭주소환]] 등으로 대량 전개를 하고 쓰는 것이 좋다. ||수록 시리즈 || ||<(> 2011-11-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SW-KR052 | '''[[빛의 충격파]]'''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1-07-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SW-JP052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1-11-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SW-EN052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4-06-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18-EN013 | '''Duelist League 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포톤의 성역 === [[파일:フォトン・サンクチュアリ.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의 성역,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サンクチュアリ, 영어판명칭=Photon Sanctuary,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빛 속성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포톤 토큰"(번개족 / 빛 / 레벨 4 / 공 2000 / 수 0) 2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토큰은 공격할 수 없으며\, 싱크로 소재로도 할 수 없다.)] 코믹스판 카이토가 사용한 카드. 포톤 드래곤의 소환을 위한 카드 중에서는 꽤나 범용성과 성능이 높은 편에 속한다. 이런 류의 카드가 대개 그 턴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이 막히는 제약을 걸어놓은 반면 빛 속성 한정으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을 열어놨기 때문에 빛 속성 덱에서라면 사실상 '''아무 제약도 없이 갑자기 토큰 2장을 뽑아내는''' 카드가 된다. 싱크로 소재로 쓰지 못하는 걸 제외하면 활용법은 다양하여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은 물론이요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 [[마제스티 데블]] 같이 반드시 어드밴스 소환해야 하는 강력한 빛 속성 몬스터의 소환에도 쓸 수 있고, 빛 속성 덱에서의 [[단결의 힘]] 효과 증폭, 또 좀 변칙적이지만 [[마의 안개비]]를 써서 수비력 2000 이하의 몬스터를 전부 박살낼 수도 있으며, 융합 소환이 막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젬나이트#젬나이트 세라피|젬나이트 세라피]]를 소환하거나, [[엘섀도르 네피림]]을 소환하는 데 쓸 수 있고, 트윈 포톤 리저드를 소환하는 데 쓸 수도 있다. [[링크 소환]] 도입 후 쓸모가 늘었는데, 마스터 룰 4로 타격을 입은 갤럭시 덱에서 바로 일반 소환권 없이 2마커를 가진 [[LAN 포링쿠스]], [[슈퍼 스타#하이퍼스타|하이퍼스타]],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의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예 이 카드 2장으로 포톤 토큰 4장 소환-빛 속성 2링크 2장 소환-'''[[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상대가 빛 속성 위주라면 조요의 광령사 라이너를 경유해 상대방 몬스터 2장(묘지 1장, 필드 1장)을 잡아먹고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라는 돌파용 빌드도 사용할 수 있다. 여러모로 [[길 잃은 아기양]]의 상위 호환 카드. 아기양과 마찬가지로 세트는 가능하기에 빛 속성 몬스터 이외의 상급 몬스터도 세트할 수 있다.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이나 [[오시리스의 천공룡]]같은 카드를 세트한 뒤 [[태양의 서]] 등으로 뒤집는 일도 가능하다.~~[* 삼환신들은 "이 카드를 '''통상 소환'''할 경우, 3장을 릴리스하고 '''일반 소환해야 한다.'''"라는 텍스트 때문에, 세트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세트도 엄연히 통상 소환의 일종이지만, 통상 소환하려면 무조건 세트가 아닌 일반 소환이라는 제약이 걸려있기 때문이다.][* [[삼사신(유희왕)|삼사신]]의 경우는 이와 다르게 3장을 릴리스만 하면 세트도 가능하다.] 참고로 이 효과로 소환되는 포톤 토큰은 원래 공격력이 정해져 있는 토큰 중에서는 공격력이 톱 클래스[* 가장 높지는 않고 [[비셔스 클로]]의 효과로 소환되는 이블 토큰이 공격력 2500으로 가장 높다. 다만 이블 토큰은 '''상대 필드 위에 소환'''된다.]로 이 정도 공격력을 가진 토큰은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로 소환되는 배틀 이글 토큰이나 [[용사 토큰]]밖에 없다. 이쪽은 소환 불가 디메리트나 공격 불가 및 싱크로 소재 불가 같은 제약이 아예 없지만 엔드 페이즈에 자괴하는 데에다 소환된 턴 전투 데미지 불가 디메리트가 있고, 무엇보다 갤럭시 토마호크 자체가 소환이 힘들기에 사용하기엔 포톤 토큰 쪽이 좀 더 쉽고 간편하다. [[폭주투군]]을 쓰면 좋을 것 같지만, 수비 표시로 소환되며 공격도 불가능해서 애석하게도 공격력이 별 의미가 없다. 이 카드 한 장으로 갤럭시 덱은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 등의 링크 몬스터를 소환해 카드를 서치할 수 있지만, 빛 속성 몬스터 소환 제약 때문에 다양한 용병 카드를 투입하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갤럭시 덱의 계륵과도 같은 존재. 원래 이름은 "포톤 생추어리"였는데 한글판에서는 "포톤의 성역"으로 그대로 번역했다. 데블즈 생추어리였던 [[데블의 성역]]의 번역 방식을 따른 것이다. 이 카드 자체가 저 데블의 성역의 패러디로 보인다. 또한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빛 속성으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종언의 화염과 대조된다는 것도 포인트. ||수록 시리즈 || ||<(>2012-08-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7-KR029 | '''[[프리미엄 팩/한국판#s-8|프리미엄 팩 Vol.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20-09-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GB1-KR032 | [[레전더리 골드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2011-12-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4-JP009 | '''[[프리미엄 팩#s-1.4|PREMIUM PACK 1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2016-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T13-JP007 | [[토너먼트 팩#s-37|어드밴스드 토너먼트 팩 2016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9-12-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GB1-JP032 | [[LEGENDARY GOLD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2024-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QCCP-JP063 |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s-3|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2012-03-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RC1-EN022 | '''Premium Collection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2013-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2-EN167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MR 패러렐 레어의 공식 DB 표기는 Mosaic Rare로, 글리치 효과를 연상시키는 사각형 패턴이 덧씌워져 있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2023-02-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21-EN019 | OTS Tournament Pack 2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트라이든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470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포톤 트라이든트,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トライデント, 영어판명칭=Photon Trident, 효과1=①: 자신 필드의 "포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에게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700 올리고\,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3=●그 몬스터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포톤 한정으로 [[돌진(유희왕)|돌진]]의 완전 상위 호환이 되며 관통 효과가 덤으로 붙는 덕분에 거의 확실하게 마함을 박살 낼 수 있는 카드. 몬스터에게 효과 부여가 아님에도 잔존한 효과가 체인을 만들어 발동하는 [[마도서(유희왕)#휴그로의 마도서|휴그로의 마도서]] 같은 형식을 지니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3-01-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P5-KR038 | '''[[엑스트라 팩#s-7|엑스트라 팩 201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10-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P12-JP038 | '''[[엑스트라 팩#s-7|EXTRA PACK 201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RCS-EN087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제너레이터 유닛]] === 일단 이름에 "포톤"이 들어가고 빛 속성 몬스터와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사이버 레이저 드래곤]] 전용 특수 소환 카드라 위의 카드들과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 일단 포톤 점퍼로 서치도 할 수 있는 등, 엄연히 포톤 카드군인 것은 맞다. === [[파멸의 포톤 스트림]] === 역시 이름에 "포톤"이 들어가지만 [[갤럭시아이즈]]만을 서포트하는 카드다. === 포톤 핸드 === [[파일:フォトン・ハン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 핸드,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ハンド, 영어판명칭=Photon Hand,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10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발동시에 자신 필드에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엑시즈 몬스터밖에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사냥을 시작해 보실까? 네 녀석의 영혼까지 전부!''' - [[카이트(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트]] 전용 대사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3]]에 수록된 포톤 지원 카드. 딱 봐도 알겠지만 이쪽은 카이토의 포톤 핸드를 모티브로 했다. 10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뺏어 오는 효과지만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없을 땐 엑시즈 몬스터만 가져올 수 있어서 제대로 사용하려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모티브에 맞게 일러스트는 [[넘버즈 헌터]]가 포톤 핸드로 영혼을 빼앗는 모습. ||수록 시리즈 || ||<(> 2018-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0-KR037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0-JP037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3-EN037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1-01-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2-EN056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함정 카드 == === 포톤 라이징 스트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232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 라이징 스트림, 일어판명칭=反射光子流(フォトン・ライジング・ストリーム), 영어판명칭=Photon Current,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 빛 속성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folding [ 원작 효과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 라이징 스트림, 일어판명칭=反射光子流(フォトン・ライジング・ストリーム), 영어판명칭=Photon Current, 효과1=필드의 빛 속성 몬스터가 공격해왔을 때\, 자신의 빛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을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AL 코믹스]]에서 [[텐조 카이토]]가 [[츠쿠모 유마]]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 애니판의 [[광자화]]와 같은 역할을 했으며, [[No.39 유토피아]]가 [[크로스 어택]]의 효과로 직접 공격을 선언하는 순간 발동하여 공격력을 2500 올린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으로 공격 대상을 변경시켰다.[* 코믹스다보니 카드 텍스트에 생략이 많지만 작중 대사를 보면 공뻥 외에도 공격 대상을 변경시키는 효과도 있다. OCG화할 때는 카드 텍스트만을 기준으로 해버렸기에 원작과 같은 상황 재현은 불가.] 그렇게 결판이 나려던 순간 카이토가 듀얼을 중단하면서 승부가 나지 않았다. 빛 속성 드래곤족 한정으로 일단 효과만 놓고 보면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와 같은 효과를 내주며, [[광자화]]와는 달리 바로 상대 몬스터를 역관광 내줄 수 있다. 하지만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시점에서만 발동이 가능해서 데미지 스텝 중에 상대가 다른 카드를 발동해서 결국 털릴 수도 있고, 무엇보다도 효과를 받을 대상이 이렇게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좋지 않다. 상대 몬스터를 지정하는 게 아니라는 점에서 대상 지정 내성 몬스터도 잡아낼 수 있다는 점이나 자신의 몬스터 공격력의 배가 넘는 몬스터가 덤벼 오더라도 처치할 수 있다는 점, 반사 데미지를 더 줄 수 있다는 점등으로 [[수축(유희왕)|수축]] 같은 카드와 차별화할 수 있다. 어니스트가 제한이였을 시절에야 [[푸른 눈의 백룡]],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라이트펄서 드래곤]], [[미라지 드래곤]] 등 철저하게 빛 속성 위주로 짜여진 드래곤족 덱에서 2, 3장째 어니스트라고 생각하고 넣어볼 만도 했지만 어니스트가 무제한으로 내려왔기에 거의 필요가 없다. 애초에 전투 반응 효과 자체가 쇠퇴했기도 하고. 카드명은 '반사광자류'라고 쓰고 '포톤 라이징 스트림'이라고 읽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4]] || PP14-JP010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12 Premium Collection Tin || PRC1-EN02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7]] || PP07-KR03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포톤 체인지 === [[파일:フォトン・チェン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포톤 체인지,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チェンジ, 영어판명칭=Photon Change, 효과외1=이 카드는 발동 후\, 2번째의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진다.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포톤" 몬스터 또는 "갤럭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했을 경우\, 양쪽을 선택할 수 있다., 효과2=●그 몬스터와 원래의 카드명이 다른 "포톤"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덱에서 "포톤 체인지" 이외의 "포톤"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3]]에 수록된 포톤 지원 카드로, 카이토의 포톤 체인지를 카드화시켰다.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건 [[넘버즈 헌터]]. 효과는 상당히 강력하며 그 디메리트로 발동 후 2번째 스텐바이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진다.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포톤 / 갤럭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대신 2개의 효과 중 하나를 발동할 수 있으며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묘지로 보내면 둘 다 발동이 가능하다. 하나는 그 몬스터와 원래 카드명이 다른 포톤을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아무 포톤 / 갤럭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면 덱에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불러올 수 있다. 이렇게 불러온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다음 턴에 또다시 코스트로 써 2가지 효과를 전부 사용할 수도 있다. 2번째인 포톤 체인지 이외의 포톤 카드를 서치해 오는 효과.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좋은 효과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묘지로 보내면 덱에서 포톤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서 새로운 포톤을 서치할 수 있기에 상대 턴 종료 시에 사용하여 다음 자신 턴에 밑준비를 하는 데에 쓰기 매우 좋다. 또한 포톤 "몬스터"가 아니라 카드기에 파멸의 포톤 스트림이나 포톤 핸드를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지속 함정이기에 요격당하기 쉽고 함정이기에 느리다는 점은 조금 아쉽다. 서치 자체는 포톤 로드로 쉽게 가능하여 간편한 편. ||수록 시리즈 || ||<(> 2018-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0-KR038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0-JP038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8-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3-EN038 |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1-01-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2-EN057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포톤 리타데이션 === [[파일:フォトン・リタデイショ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포톤 리타데이션, 일어판명칭=フォトン・リタデイション, 영어판명칭=Photon Timestop, 효과1=①: "포톤"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 또는 "갤럭시"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덱에서 고르고\,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놓는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상대 턴에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에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또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는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하면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가 된다.)] ①의 효과는 덱에서 포톤, 갤럭시 지속 카드를 패에 넣거나 필드에 놓는 효과로, 범위가 너무 좁아서 갤럭시 웨이브, 갤럭시 헌드레드, 포톤 체인지만 서치할 수 있다. 웨이브는 아예 실전성이 없으며, 헌드레드를 필드에 놓을 경우 발동 시의 효과 처리인 덤핑을 사용할 수 없어 서치로 고정된다. 사실상 포톤 체인지의 전용 효과로, 이 카드로 놓으면 포톤 체인지의 발동 카운트를 세지 않는다. 때마침 이 카드의 다음 장면이 포톤 체인지로 연결된다. ②의 효과는 포톤 드래곤이나 포톤 드래곤을 소재로 한 엑시즈 몬스터가 있고 세트된 상태에서 상대 효과로 파괴되면 엔드 페이즈가 되는 효과. 얼핏 보면 로망용 효과로 볼 수 있지만, 이 효과를 능동적으로 격발 가능하게 해주는 엑시즈 몬스터가 있다. 바로 상대의 효과를 마함 파괴로 바꾸는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듀란달|아티팩트-듀란달]]인데, 랭크 5라 기존의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대신 갤럭시 솔저로 뽑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빛 속성이라 포톤의 성역의 제약에 걸리지 않아 실전성은 충분하다. 듀란달과 포톤 드래곤을 뽑기만 한다면 상대 턴을 강제로 넘기고 무방비한 상대를 끝장낼 수 있다. 일러스트는 [[텐조 카이토]]가 원작에서 오비탈의 힘을 빌려 시간을 1/10000로 흘러가게 해서 거의 멈춘 뒤 첫 등장한 씬을 카드화했는데, ②의 효과로 시간정지를 재현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1-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HY-KR071 | '''[[포톤 하이퍼노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10-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HY-JP071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2-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HY-EN071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서포트 카드 == 카드 텍스트에서 "포톤"을 지정하는 카드들이다. === 몬스터 카드 === * 효과 몬스터 * [[오보미#s-4]] * [[오비탈 7(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오비탈 7]] * [[갤럭시 나이트]] * [[갤럭시 브레이버]] * [[갤럭시 프리스트]] * [[갤럭시#갤럭시 서머너|갤럭시 서머너]] * 엑시즈 몬스터 * [[휘광제 갤럭션]] * 링크 몬스터 *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 === 마법 카드 === * [[갤럭시 익스페디션]] * [[갤럭시 제로]] * [[갤럭시 트랜서]] * [[갤럭시 헌드레드]] * [[액셀 라이트]] === 함정 카드 === * [[이터널 갤럭시]] * [[이터널 본드]] == [[포톤(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톤(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톤 새털라이트,version=3, title2=트윈 포톤 리저드,version2=16, title3=크리포톤,version3=8, title4=포톤 리저드,version4=3, title5=포톤 카이저,version5=22, title6=포톤 와이반, version6=2, title7=포톤 오비탈, version7=13, title8=포톤 점퍼, version8=22, title9=포톤 어드밴서, version9=3, title10=휘광룡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version10 =34, title11=포톤 라이징 스트림,version11=2)]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