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톤(유희왕))] ||<-3>
'''{{{#!html포톤 스래셔}}}'''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otonThrasher-JP-Anime-ZX-NC.png|width=100%]]}}} ||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ZEXAL|ZEXAL]], [[유희왕 VRAINS|VRAINS]] || || '''사용 캐릭터''' || [[텐조 카이토]], [[후지키 유사쿠]] || || '''첫 수록 ''' || [[ORDER OF CHAOS]] || || '''카테고리''' || [[특수 소환(유희왕)|특수 소환]] / 효과 || || '''소속 테마군''' || [[포톤(유희왕)|포톤]]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원작 == [[파일:PhotonThrasher-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4>'''포톤 스래셔'''|| || 일어판 명칭 ||<-4>'''フォトン・スラッシャー'''|| || 영어판 명칭 ||<-4>'''Photon Thrash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전사족]] || 2100 || 0 || ||<-5>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 ZEXAL === [[유희왕 ZEXAL]]에서는 [[텐조 카이토]]가 사용. 듀얼 중에 상당히 자주 등장해서 준 에이스 급 몬스터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대우를 받는다. 다만 마찬가지로 공격력 높은 하급 어태커인 [[포톤(유희왕)|포톤 크러셔]]처럼 어태커로서 활용된 적은 전무하며, 주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 코스트로 쓰였다. 작중에서는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특수 소환된 직후 [[포톤(유희왕)|포톤 크러셔]]와 함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로 사용되었다. [[V(유희왕)|V]]와의 듀얼에서도 특수 소환하여 [[포톤(유희왕)|포톤 파이레츠]]과 함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로 쓰인 후, 마법 카드 [[미래로의 생각]]으로 되살아나고 시프트 업으로 레벨이 8로 변경되고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엑시즈 소재가 된다. 유마를 파트너로 한 [[III(유희왕)|III]] & [[IV(유희왕)|IV]]와의 태그 듀얼에서는 일반 소환되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로 쓰인다. 이외에도 등장은 많으며 카이토의 마지막 듀얼에서도 등장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릴리스로 쓰였다. 화면을 마구 베어 가르며 등장하는 소환 시의 연출을 보면 의도한 이름은 Slasher임이 분명함에도 한글판을 포함한 해외판에선 Thrasher로 번역이 됐는데, 이는 과거에 등장했던 [[체인 스래셔]] 때문. 두 카드의 일본어 표기가 'スラッシャー'로 같아서 일어난 오역으로, 해당 카드는 말 그대로 사슬을 채찍처럼 들고 있는 일러스트라서 'Thrasher'가 맞겠지만 이 카드는 베기 위한 검만을 들고 있으므로 'Slasher'가 더 타당하다. === ARC-V / VRAINS === ARC-V 코믹스 특별편에서 공격을 맞는 장면에서 잠깐 등장했는데, 상대는 다름아닌 아카바 레이지의 머플러(...) [[유희왕 VRAINS]] 64화에서는 과거의 [[후지키 유사쿠]]가 사용. 첫 턴에 맨 먼저 특수 소환된 후 다음에 소환된 [[선봉 대장]], [[이그자리온 유니버스]]와 함께 [[전영의 기사 가이아세이버]]의 링크 소재가 되었다. 주연급 인물, 그 중에서도 카드군 사용자의 카드들은 보통 후속작으로 넘어가면 카메오 출현조차 기적일 정도로 출현이 완전히 사라지는 게 대부분인데, 이 카드는 그런 악조건 속에도 불구하고 후속작에서 멀쩡하게 등장한 희귀한 사례에 속한다. 참고로 해당 듀얼에서 사용된 카드는 대부분 [[스타터 덱 2017]] 수록 카드였다. ||[[파일:PhotonThrasher-JP-Anime-ZX-NC.png|width=100%]]||[[파일:PhotonThrasher-JP-Anime-VR-NC.png|width=100%]]|| || [[유희왕 ZEXAL]] || [[유희왕 VRAINS]] || 원작에서는 소환될 때 [[용자검법]] 포즈를 선보이는데, 이후 VRAINS에서 재등장했을 때도 똑같은 자세를 취한다. == [[유희왕/OCG|OCG]] == [[파일:フォトン・スラッシ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톤 스래셔, 일어판명칭=フォトン・スラッシャー, 영어판명칭=Photon Thrash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2100, 수비력=0, 종족=전사족, 특수소환=,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 성능 ===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소환 조건, 자신 필드에 다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의 공격을 봉쇄하는 [[지속효과]]를 가진 하급 [[특수 소환]] 몬스터. 하급 주제에 공격력은 [[사이버 드래곤]]급. 저 사이버 드래곤이 그랬던 것처럼 [[포톤(유희왕)|포톤]] 몬스터들 중에서도 최강급의 범용성을 자랑한다. 사이버 드래곤과는 달리 상대 필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대신에 다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공격 불가능한 디메리트가 있다. 즉, 대량 전개보다는 혼자 노는 걸 좋아하는 스타일. 귀찮으면 [[싱크로 소환/튜너|튜너]]나 레벨 4 몬스터를 불러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을 하는 것도 좋다. 공격용으로 쓰기에는 저 디메리트가 좀 불편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쓰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공격에 들어가는 것도 좋다. 공격력이 매우 우수하여 특수 소환을 방해하는 [[번개왕]]이나 [[인벨즈 로치]], [[벨즈 나이트메어]] 등의 능력치보다 높기 때문에 이들의 효과 대상을 이쪽으로 돌리도록 견제할 수 있고, 저들과 같은 라인의 하급 정도는 일방적으로 때려잡을 수 있다. 또한, 수비력이 0이기 때문에 일단 정식 소환 후 묘지로 보내지면 [[가면레온]]의 효과로 되살려서 엑시즈와 싱크로 소환을 노릴 수도 있다. 종족 때문에 [[히어로 비트]]에 들어가서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나 [[H-C 엑스칼리버]]의 소재가 되기도 하고 상대의 제거 카드를 솔선해서 맞아주는 등 화려한 활약을 보이고 있다. 어떻게 보면 포톤 카드 중에서는 가장 흥한 셈. 이 카드의 소속군이기도 한 [[포톤(유희왕)|포톤]] + [[갤럭시(유희왕)|갤럭시]] 덱에서 굉장한 활용성을 보인다. 우선 가장 좋은 활용법은 바로 포톤 버니셔와 함께 일소권 소모 없이 [[갤럭시 포톤 드래곤]]을 엑시즈 소환하는 것. 또한 갤럭시 나이트의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을 위한 요소가 되기도 하며, 이를 통해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이나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등이 소환이 될 경우 효과가 무효화되어 전투요원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카드와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있을 경우에도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으로 상대 몬스터랑 포톤 드래곤을 제외하고 홀로 남아 공격 선언을 할 수도 있다. 원작과는 달리 통상 소환 불가 디메리트가 붙었으니 주의. 즉 하급이지만 엄연히 '''특수 소환 몬스터'''다. 일단 패에서 한번 특수 소환하지 않은 이 카드가 묘지로 가면 [[소생 제한 룰]]에 걸려 소생시킬 수 없으니 실수하지 말자.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08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텐조 카이토|카이트]] 편- || DP13-KR006 || [[노멀]] || 한국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08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텐조 카이토|카이토]] 편- || DP13-JP006 || [[노멀]]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08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Astral Pack One || AP01-EN003 || [[얼티밋 레어]] || 미국 || 절판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103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