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켓돌스튜디오]] [include(틀: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 ||<-2> '''{{{+2 포켓돌스튜디오}}}[br]POCKETDOL STUDIO''' || ||<-2>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width=260]] || || '''정식 명칭''' ||주식회사 포켓돌스튜디오 || || '''영문 명칭''' ||PocketDol Studio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2017년]] [[7월 12일]] || || '''업종명''' ||매니저업 || || '''임원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회장'''}}}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 사실상 실소유주. 전신 [[MBK 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이다. [[SG워너비]], [[터보(그룹)|터보]], [[홍진영]], [[다비치]], [[티아라(아이돌)|티아라]] 등 다수의 인기가수 제작자로 유명하다.[[http://www.dailyimpac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510|#]]][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대표이사'''}}} 손용근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프로듀서 (A&R)'''}}} [[조이현(1991)|조이현]][* 걸그룹 [[파이브돌스]], [[DIA(아이돌)|다이아]] 출신으로 [[BAE173]], [[FANTASY BOYS]]의 프로듀싱과 [[CLASS:y]]의 매니지먼트&프로듀싱을 맡고있다.] || || '''모기업''' ||[[MBK엔터테인먼트|[[파일:external/mbk-ent.com/7ddd33a0a874a2a8a29bcfa0d85f080d.png|width=50]]]] • [[인터파크|[[파일:인터파크 로고.svg|width=80]]]][* 설립 당시에는 [[MBK엔터테인먼트|MBK]]가 [[인터파크]]와 공동출자하여 포켓돌을 설립하여 인터파크의 지분이 있었지만 현재는 [[인터파크]] 지분은 없으며 남남이된 상태이다.] || || '''전신''' ||[[MBK엔터테인먼트|[[파일:external/mbk-ent.com/7ddd33a0a874a2a8a29bcfa0d85f080d.png|width=50]]]][* 기존 MBK 소속 아티스트와 직원 인력이 그대로 이적하였다.]|| || '''기업 규모''' ||[[중소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2>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강남구)|논현동]] 99-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포켓돌스튜디오, 너비=100%, 높이=100%)]}}} || ||<-2> {{{#fff '''공식 채널'''}}} || ||<-2> [[https://pocketdol.co.kr|[[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svg|width=55]] '''{{{#000,#e5e5e5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홈페이지}}}''']] [[https://post.naver.com/my.nhn?memberNo=41150529|[[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16]] '''{{{#000,#e5e5e5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네이버 포스트}}}''']] [[https://www.youtube.com/channel/UCFBr_RTe9eJPsISi_yPl65g/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000,#e5e5e5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유튜브}}}''']] [[https://twitter.com/PocketDolStudio|[[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16]] '''{{{#000,#e5e5e5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트위터}}}''']][br] [[https://m.tv.naver.com/pocketdolstudio/home|[[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6]] '''{{{#000,#e5e5e5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네이버TV}}}''']]]] [[https://youtube.com/@POCKETDOLLABEL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000,#e5e5e5 POCKETDOL LABELS 공식 유튜브}}}''']][* 기존 MBK엔터테인먼트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채널명이 변경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2017년 [[MBK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현재는 [[MBK엔터테인먼트]]가 폐업하면서 기존 아티스트와 직원 인력이 그대로 이적하여 사실상 [[MBK엔터테인먼트|MBK엔터테인먼트]]에서 사명만 변경된 상태이다. == 상호 변천사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82292D73-4297-4D15-A21C-48229C324BF0.jpg|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2B199DF1-656A-465C-A5C5-E4DD1D1002EE.gif|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A55C9CDD-110C-4790-A736-3747FF148562.jpg|width=3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svg|width=70]]}}} || || ''' GM기획[br]{{{-4 (1997 ~ 2007)}}}''' || '''코어콘텐츠미디어[br]{{{-4 (2008 ~ 2013)}}}''' || '''MBK엔터테인먼트[br]{{{-4 (2014 ~ 2022)}}}''' || '''포켓돌스튜디오[br]{{{-4 (2017 ~ 현재)}}} ''' ||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돌스튜디오/역사)] 1997년 GM기획을 시작으로 [[SG워너비]], [[터보(그룹)|터보]], [[엠씨더맥스]], [[조성모]], [[씨야]], [[다비치]], [[홍진영]], [[티아라(아이돌)|티아라]] 등을 히트시켜 한시대를 풍미한 연예기획자인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가 만든 기획사로, 과거 GM기획이 여러 우여곡절을 거쳐 [[코어콘텐츠미디어]]로 바뀌었고, 2014년 [[MBK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또 변경했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9/0003316673|#]]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SM,JYP,YG,DSP와 더불어 탑티어 기획사로 불렸으며 YG보다 더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 [[파일:IMG_8574.jpg]]] 그러나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티아라 사건]]을 기점으로 MBK가 회사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당시 회계연도 재무제표를 보면, MBK는 28억 2천7백만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했을 뿐 아니라 당기말 현재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54억 6천여만원 더 많고, 총부채가 총자산보다 26억 7천여만원 더 많은 등 심각한 자금난을 겪었다. 이 때문에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은 '회사가 사업을 계속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계속기업 가정의 불확실성)'라고 판단하기도 했다.]결국 2022년에 MBK가 [[https://m.nicebizinfo.com/ep/EP0100M001GE.nice?itgSrch=%EC%97%A0%EB%B9%84%EC%BC%80%EC%9D%B4%EC%97%94%ED%84%B0|폐업]]하며 자회사인 포켓돌스튜디오로 기존 인력들을 옮겨와 현재는 포켓돌이 MBK의 후신으로 운영되고 있다. 포켓돌스튜디오는 본래 [[MBK엔터테인먼트|MBK]]가 [[더유닛]] 제작을 위해 [[인터파크]]와 함께 설립한 회사로[* 현재 [[인터파크]]의 지분은 없으며 서로 남남이된 상태이다.], 설립 초반에는 [[연예 기획사]]보다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사로써의 역할이 더 컸다. [[더유닛]] 종영 이후에는 [[언더나인틴]]을 제작하였으나 두 프로그램 모두 성적이 저조하였으며 [[다이아(아이돌)|다이아]], [[UNB]], [[UNI.T]], [[원더나인]]이 연이어 적자를 내면서 경영이 매우 악화되었다. 이때 [[프로듀스 X 101]]에서 자사 연습생인 [[남도현]]과 [[이한결]]이 [[X1]] 데뷔에 성공하며 다시 상승세에 오르나 싶었으나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이 터지면서 당시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와 포켓돌 대표 박씨가 ID 1만개를 사들여 직원들에게 허위 온라인 투표시켜 데뷔한 것으로 밝혀져 소속사의 이미지가 나락으로 가게되었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79/0003360803|#]][* 이미 이전부터 [[김광수(음반기획자)|회사 대표]]의 만행들로 이미지는 시궁창이었다.] 이에 폐업의 길로 들어서나 했으나 [[TV조선]]과 협업하여 제작한 [[내일은 미스트롯]]과 [[송가인]]이 초대박을 치면서 기사회생한다. 이후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는 아이돌에서 트로트로 눈을 돌려 [[트롯전국체전]]을 제작하였고 이 또한 좋은 성과를 이뤘다. [[송가인]]과 트로트 프로그램들의 성공으로 사옥도 논현동의 100평이 넘는 사옥[* [[파일:FF547FFC-C005-4D3E-9A59-26EB935CAE16.jpg]]]으로 이전하게 되었고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는 다시 아이돌로 눈을 돌려 [[엠넷]] 국장 출신인 [[한동철]]PD를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382/0000456791|영입해]] [[방과후 설렘]]을 제작한다. [[방과후 설렘]]은 [[더유닛]], [[언더나인틴]]때와는 다르게 포켓돌 자체 연습생들로 진행되었으며 [[다이아(아이돌)|다이아]] 출신의 [[조이현(1991)|조이현]]이 직접 제작을 총괄했다. [[방과후 설렘]]은 흥행에 성공하였고 이에 힘입어 방과후 설렘 시즌2 [[소년판타지]]까지 제작한다. 그러나 여기서 데뷔한 [[CLASS:y]]는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와 [[조이현(1991)|조이현]]의 뻘짓들로 각종 논란에 시달리며 인해 하락세를 걷고 있고 [[FANTASY BOYS]] 역시 [[ZEROBASEONE|타사에서 제작한 그룹]]한테 화제성이 묻혀 상황이 좋지 않다. 지금까지 포켓돌에서 제작한 그룹만 10팀이 넘지만 아이돌로 성공한 그룹은 [[티아라(아이돌)|티아라]]가 유일하다. 2023년 현재, 기존 핵심 아티스트였던 [[정채연]]과 [[남도현]] 또한 회사를 떠난 상태라 [[송가인]]을 제외하면 사실상 수입원이 없는 상태이다.[* 그나마 [[소년판타지]]가 일본 [[ABEMA]]를 통해 동시방영된 덕분에 일본에선 나름 인지도가 높다. [[FANTASY BOYS]]의 첫 일본 팬콘서트가 총 9000석 전석 매진되기도 하였다.] == 지배 구조 ==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재환 || 37.5%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규헌 || 29.3%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리얼웍스 || 14.6% || ||기타 || 18.6% || == 소속 아티스트 == [include(틀: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 === 가수 === * [[송가인]] * [[BAE173]] * [[에스페로(그룹)|에스페로]] * [[FANTASY BOYS]] === 프로듀서 === * [[조이현(1991)|조이현]][* 前 조승희. [[파이브돌스]], [[다이아]] 출신 , 포켓돌스튜디오 산하의 [[연예 기획사]]인 [[엠이오|M25]]의 대표이면서 프로듀서 역할을 맡고있다.] == 과거 소속 == ===# [[MBK엔터테인먼트|MBK]]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BK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 ===# 아티스트 #=== * [[UNI.T]] ^^(2018. 05.18 ~ 2018. 10. 12)^^ * [[UNB]] ^^(2018. 04. 07 ~ 2019. 01. 27)^^ * [[비너스(걸그룹)|비너스]] ^^(2019. 08. 06 ~ 2019)^^ * [[원더나인]] ^^(2019. 04.13 ~ 2020. 08. 15)^^ * [[홍자(가수)|홍자]] ^^(2019 ~ 2020. 11. 27)^^ * [[오유진(2009)|오유진]] ^^(2021 ~ 2022. 07. 13)^^ * [[DIA(아이돌)|다이아]] ^^(2015. 09. 14 ~ 2022. 09. 17)^^ * [[유니스]] * [[주은]] * [[기희현]] * [[백예빈|예빈]] * [[정채연]] * [[은채(1999)|은채]] * [[남도현]][* [[X1]], [[BAE173]] 前 멤버] ^^(2020. 11. 19 ~ 2023. 06. 22)^^ ===# 연습생 #=== * [[BAE173|MBK BOYS]][* 2019년~2020년 MBK(포켓돌스튜디오)의 차기 보이그룹 연습생들로 구성된 데뷔조.[[https://theqoo.net/total/1089459966|#]] 2019년부터 남자 연습생들을 공개하기 시작했고 가칭이 원래는 엠비케이 보이즈(MBK BOYS)였으나 중간에 포켓돌즈(POCKETDOLZ)로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18582|변경되었다.]] 현재 [[BAE173]]으로 데뷔하지 못한 연습생들은 모두 포켓돌스튜디오에서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 [[김기중(가수)|김기중]] * [[프로듀스 X 101/참가자|김영상]] * [[프로듀스 101 시즌2/참가자|이준우]] *[[이재억]] - [[원쿨잭소 엔터테인먼트]]로 이적 * [[방과후 설렘/참가자]][* 포켓돌스튜디오에서 [[DIA(아이돌)|DIA]] 이후 런칭하는 차기 걸그룹 연습생 83명으로 구성되어있으며,[[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379325&memberNo=41150529&vType=VERTICAL|1학년]][[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395464&memberNo=41150529|2학년]][[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370818&memberNo=41150529|3학년]][[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387739&memberNo=41150529 |4학년]] 이 83명은 공개 오디션을 통해 지원자 8만7000명 중 선발된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055550&memberNo=41150529|인원이다.]] 연습생 83명 선발과 이후 트레이닝 총괄을 [[조이현(1991)|조이현]]이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82232|직접 했다고 한다.]] 83명의 모든 참가자가 [[등교전 망설임]] 방송 전 포켓돌스튜디오에서 몇 달간 연습생 생활 및 평가를 거친 후 프로그램에 출연했다.(다만 일부 참가자는 원 소속팀이나 원 소속사가 있었다.) 본래 약 160명의 연습생이 있었으나 프로그램 촬영 전 자체 평가를 통해 83명으로 줄였다고 한다. 방송 종영 이후 [[CLASS:y|최종 데뷔조]]와 파이널에 진출한 연습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연습생들은 서바이벌 탈락과 동시에 포켓돌스튜디오에서 퇴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https://m.dcinside.com/board/girlgroup/10258726|#]]][* [[방과후 설렘]]의 데뷔조인 [[CLASS:y]] 외에도 파이널 탈락 참가자들이 포켓돌과 계약 해지를 하지 않은 바 알려지면서 차후 그녀들로 구성된 걸그룹도 따로 런칭될 가능성이 높아졌었다. 산하 레이블인 [[펑키스튜디오]] 소속 걸그룹으로 데뷔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였다.단, [[미희|이미희]]는 원 소속사 및 [[BOTOPASS|돌아갈 팀]]이 있으므로 제외. 이후 [[김유연]]이 고독방에서 콘서트가 취소되었다고 밝히면서 이들 5명의 앞날마저 불투명해졌다. 몇달 후 [[이영채]]는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불가피한 일로 늦게 인사드리게 되었다"고 고백하기도 했으며 이지우와 김유연은 [[tripleS]]의 멤버로 확정되며 포켓돌스튜디오 연습생 계약 해지를 확정지었다. 나머지 연습생들도 SNS 계정을 개설하여 포켓돌스튜디오와의 계약 해지를 알렸다.] *[[방과후 설렘/참가자/1학년#고은채|고은채]][*1학년] - [[하이헷엔터테인먼트|하이헷]]으로 이적 *[[방과후 설렘/참가자/1학년#김민솔|김민솔]][*1학년] - [[인터파크뮤직플러스]]로 이적 * [[선유|김선유]][*1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보미세라]][*1학년] - [[쏘스뮤직]]으로 이적 * [[보은(CLASS:y)|박보은]][*1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정유주/방과후 설렘|정유주]][*1학년] - [[하이헷엔터테인먼트|하이헷]]으로 이적 *[[최수빈/방과후 설렘|최수빈]][*1학년] - [[하이헷엔터테인먼트|하이헷]]으로 이적 * [[리원|김리원]][*2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박유라/방과후 설렘|박유라]][*2학년] - [[온원엔터테인먼트|ON1]]으로 이적 * [[이하담/방과후 설렘|이하담]][*2학년] - [[온원엔터테인먼트|ON1]]으로 이적 * [[지민(CLASS:y)|원지민]][*2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최사랑/방과후 설렘|최사랑]][*2학년] - [[미스틱스토리]]로 이적 *[[방과후 설렘/참가자/3학년#조예주|조예주]][*3학년] -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로 이적 *[[수혜|김수혜]][*3학년] - [[143엔터테인먼트|143]]으로 이적 후 [[LIMELIGHT]]으로 데뷔 *[[이지우(tripleS)|이지우]][*3학년] - [[모드하우스]]로 이적 후 [[tripleS]]로 데뷔 * [[서윤주]][*3학년] - [[예스아이엠엔터테인먼트|예스아이엠]]으로 이적 후 [[mimiirose]]로 데뷔 * [[김다솜(2003)|김다솜]][*4학년] - [[모드하우스]]로 이적했다가 퇴사 * [[김유연]][*4학년] - [[모드하우스]]로 이적 후 [[tripleS]]로 데뷔 * [[형서|명형서]][*4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채원(CLASS:y)|윤채원]][*4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혜주(CLASS:y)|홍혜주]][*4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소년판타지 - 방과후 설렘 시즌2/참가자]][* 기존 소속 연습생을 [[소년판타지 - 방과후 설렘 시즌2|소년판타지]]에 참가시킨 것이 아닌 프로그램 미팅 후 계약한 것으로 보인다. [[방과후 설렘|이전 시즌]]과 다르게 본방송 전 따로 포켓돌에서 트레이닝 기간을 가지지 않았다.][* 김범준을 제외한 나머지 연습생들은 [[FANTASY BOYS]]로 데뷔하는데 성공했다.] * [[소년판타지/참가자|김범준]] == 산하 레이블 == ||<-2> '''{{{+2 {{{#fff 포켓돌 레이블즈}}} }}}[br]{{{#fff POCKETDOL LABELS}}}''' || ||<-2> [[파일:포켓돌 레이블스.jpg|width=70%]] || || {{{#fff '''링크'''}}} ||[[https://www.youtube.com/@POCKETDOLLABEL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기존 [[MBK엔터테인먼트]] 계정을 이어서 사용한다.] || === [[엠이오]] === ==== 소속 아티스트 ==== * [[조이현(1991)|조이현]][* 소속사 대표] * [[CLASS:y]] - [[형서]], [[채원(CLASS:y)|채원]], [[혜주(CLASS:y)|혜주]], [[리원]], [[지민(CLASS:y)|지민]], [[보은(CLASS:y)|보은]], [[선유]] * [[FANTASY BOYS]] - [[오현태]], [[히카루(FANTASY BOYS)|히카루]], [[김규래]], [[케이단]], [[강민서(FANTASY BOYS)|강민서]], [[히카리(FANTASY BOYS)|히카리]], [[김우석(FANTASY BOYS)|김우석]], [[소울(FANTASY BOYS)|소울]], [[홍성민(FANTASY BOYS)|홍성민]], [[유준원]], [[링치]], [[이한빈(FANTASY BOYS)|이한빈]] === [[펑키스튜디오]] === ==== 소속 PD ==== * [[한동철]] - [[엠넷]] 국장 출신 PD로 당시 [[프로듀스 101]] 등 [[엠넷]] 대표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담당했다.[* [[한동철]] PD 말고도 [[엠넷]] 출신 PD들이 소속되어 있다. [[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3173553|#]]] === [[케이에이치컴퍼니]] === ==== 소속 아티스트 ==== * [[이우(가수)|이우]] * [[김한결(1988)|김한결]] * [[김도희(가수)|김도희]] * [[박제업]] * [[최낙타]] == 사옥 == [[파일:A24F063A-BA5A-49FB-93E8-C24FE8A15F04.jpg]] 전신 [[MBK엔터테인먼트]] 시절 사옥. [[https://mnews.jtbc.co.kr/News/Article.aspx?news_id=NB11490862|#]] 포켓돌스튜디오도 설립 초에는 주소지가 이곳으로 되어있었다. 과거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이 발생하여 결국 이 사옥 앞에서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고, 심지어 건물이 계란을 맞는 장면이 [[JTBC]] [[연예특종]]에 방송되기도 했다.[[http://m.media.daum.net/m/entertain/newsview/20120804144307223|관련 기사]] [[파일:54E937FE-1FEB-44DE-9FDB-5F8BB78809BE.jpg]] 구 [[역삼동]] 사옥. 2018년 기존 MBK 사옥에서 이곳으로 독립하였다. [[파일:95BE8CA3-6F3D-4717-AF6E-287B1B4E087F.jpg]] [[파일:FF547FFC-C005-4D3E-9A59-26EB935CAE16.jpg]] 현 [[논현동(강남구)|논현동]] 사옥. [[2020년]]에 역삼동 사옥에서 이곳으로 이전하였으며 주소는 강남구 논현동 99-10이다. [[등교전 망설임]]과 [[방과후 설렘]]에서 나오는 연습실이 이곳이다.[* 다음 시즌인 [[소년판타지]]의 경우 포켓돌 연습실이 아닌 서경대학교 연습실을 이용했다.] == 제작 프로그램 == [[DIA(아이돌)|다이아]] 이후론 주로 방송사와 협업하여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제작해 신인 그룹을 론칭하고 있다.[* 과거 [[DIA(아이돌)|DIA]] 또한 TV 서바이벌 방송을 통해 멤버를 선발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17/0002556175|#]]][* 에스페로를 제외하면 현재 소속 아티스트 전원 [[서바이벌 프로그램]] 경험이 있다.] * [[KBS 2TV|KBS2]]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 * [[MBC TV|MBC]] [[언더나인틴]]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 * [[KBS 2TV|KBS2]] [[트롯 전국체전]] * [[MBC TV|MBC]] [[등교전 망설임]] * [[MBC TV|MBC]] [[방과후 설렘]] * [[MBC]] [[소년판타지 - 방과후 설렘 시즌2]] == 친밀한 방송국 == === MBC === [[MBC]]와는 관계가 매우 좋아 보인다. [[언더나인틴]], [[방과후 설렘]], [[소년판타지 - 방과후 설렘 시즌2|소년판타지]]를 [[MBC]]와 협업하여 제작하였고 [[방과후 설렘 시리즈]]를 최초로 [[MBC]]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에서 시리즈화 한걸보면 관계가 좋은걸로 보인다. 그리고 [[송가인]]이 [[MBC]] 인기 예능인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했다. [[송가인]]뿐만 아니라 [[CLASS:y]]도 [[전지적 참견 시점]]에 나오고 리얼리티 방송을 편성해주는걸로 보아 [[MBC]]와의 관계는 좋은걸로 보인다. 다만 과거 [[MBK엔터테인먼트|GM기획]] 시절에는 2006년까지 [[SG워너비]], [[씨야]] 등 [[MBC]]에 출연하지 못했다. ==== MBC 플러스 ==== [[쇼챔피언]]에 116회(2014년 8월 16일)에 [[효민]]이 출연한 이후 한동안 MBK/포켓돌스튜디오 소속 가수들은 쇼챔피언에 출연이 없었다. 다만 [[프로듀스 101 시리즈]]로 최종 데뷔한 [[정채연]]과 [[남도현]], [[한결(BAE173)|이한결]]이 [[아이오아이|최종]] [[X1|데뷔그룹]]으로 활동하고있을때 출연했으나 그 이후로는 출연이 없었다. 그리고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의 데뷔조 역시 출연이 없었다. 하지만 [[MBC|모회사]]의 [[언더나인틴|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데뷔한 [[원더나인]]만이 예외적으로 출연하였다.그리고 384회(2021년 2월 24일)에 [[송가인]]이 출연하면서 무려 6년 6개월만에 순수 MBK/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가 [[쇼챔피언]]에 출연했고, 이후 포켓돌스튜디오 소속 가수들의 출연은 계속 이어지는 중이다. 이후 2022년에는 출연이 뜸하다가 432회(2022 5월 4일)에 [[송가인]]이 출연하면서 다시 순수 MBK/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가 출연했다. 그 다음주인 433회(2022년 5월 11일)에서는 [[CLASS:y]]가 출연했다.[* 다만 이쪽도 [[방과후 설렘|모회사의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신이다]]] 다만 [[BAE173]]이 [[INTERSECTION: BLAZE]]로 활동할때 유일하게 [[쇼챔피언]]의 출연이 없었다. [[ODYSSEY : DaSH]]로 컴백한 [[BAE173]]이 [[쇼챔피언]]에 나오는 걸 보아 [[MBC]] 뿐만 아니라 [[MBC]] 계열사들과도 사이가 좋은 걸로 보인다. === KBS === [[KBS]]와의 관계도 매우 좋아보인다. 신인그룹인 [[CLASS:y]]를 [[매터돌]] , [[아이돌 인간극장]]에 출연시켜주었으며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과 [[트롯 전국체전]]을 KBS를 통해 방영한걸로 보아 [[KBS]]와 긍정적인 관계인 것으로 보인다. === CJ ENM ===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가 과거 CJ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으며 [[CJ]]에서 포켓돌스튜디오의 전신인 [[MBK엔터테인먼트|코어콘텐츠미디어]]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은 남남이 되어서 다른 기획사랑 비슷하다. 다만 [[정채연]]과 MBK 소속 연습생인 [[남도현]]과 [[한결(BAE173)|이한결]]이 [[엠넷]] [[아이오아이|오디션]] [[X1|프로그램]]에서 모두 데뷔에 성공한걸보면 관계가 나쁘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광수 대표가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프로듀스 시리즈 조작 사태]]에 가담한 것으로 밝혀졌다. [[BAE173]]이 [[로드투맥스|로드투엠카운트다운]]에서 2기 우승해 [[엠카운트다운]]에서 특별 무대를 하였고 , [[CLASS:y]]가 [[엠넷]] 예능 프로그램인 [[TMI NEWS SHOW]]에 패널로 출연했다. === TV조선 === [[내일은 미스트롯]] 방영 이후 [[TV조선]]과 포켓돌스튜디오의 사이가 안좋아진것으로 보였지만 [[서혜진(PD)|서혜진]] PD가 [[TV조선]]을 퇴사하면서 소속 가수인 [[송가인]]이 다시 [[TV조선]] 예능으로 복귀한다고 기사가 나왔다[* [[https://tenasia.hankyung.com/topic/article/2022071112584|기사]] ] [[TV조선]]과 사이가 다시 좋아진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송가인]]의 전국투어 콘서트가 추석 연휴 [[TV조선]]을 통해 단독으로 공개된다. == [[포켓돌스튜디오/논란 및 비판|사건사고 및 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돌스튜디오/논란 및 비판)] === [[MBK엔터테인먼트|MBK]]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BK엔터테인먼트/논란 및 비판)] == 여담 == * 설립 초반에는 [[MBK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지만 [[MBK엔터테인먼트]]의 [[https://m.nicebizinfo.com/ep/EP0100M001GE.nice?itgSrch=%EC%97%A0%EB%B9%84%EC%BC%80%EC%9D%B4%EC%97%94%ED%84%B0|폐업]]으로 기존 아티스트와 직원 인력이 그대로 포켓돌스튜디오로 이적하였다. 사실상 MBK엔터테인먼트에서 포켓돌스튜디오로 사명만 변경된 것으로 과거 코어콘텐츠미디어에서 MBK로 사명이 변경된 것과 같은 경우이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9/0003316673|#]] 물론 [[MBK엔터테인먼트/논란 및 비판|MBK 시절의 무수한 실책들]]로 인해 여론은 좋지 않다. * GM기획 → 코어콘텐츠미디어 → MBK엔터테인먼트 → 포켓돌스튜디오 사명을 무려 네번이나 바꿨다. * [[MBK엔터테인먼트]] 설립자 및 대표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가 총괄프로듀서를 담당하고 있다.[* 사실상 대표] * [[파이브돌스]], [[DIA(아이돌)|다이아]] 출신 배우 [[조이현(1991)|조이현]]이 프로듀서로도 일하고 있다. 2019년 하반기에 공동대표로도 약 한 달간 올라와 있었으나 2020년에 본인이 대표가 아니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629/0000021110|#]] * 소속 가수들의 앨범의 넘버링을 이상하게 정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규앨범과 미니앨범을 한 번에 하는 건 기본이고[* 데뷔 앨범을 [[Do It Amazing|정규앨범]]으로 한 [[DIA(아이돌)|다이아]]의 다음 앨범이 [[HAPPY ENDING(DIA)|두번째 미니앨범]]이라든지...], 미니앨범 리패키지로 봐야할 것[* [[티아라(아이돌)|티아라]]의 [[존트라볼타 워너비]], [[Funky Town]], [[MIRAGE]]등.]을 별도의 미니앨범으로 구분한다. 또한 [[CLASS:y]]의 수록곡들을 올타이틀로 설정해 많은 팬들에게 혼란을 주었다. * [[SG워너비]], [[터보(그룹)|터보]], [[엠씨더맥스]], [[홍진영]], [[더 씨야]], [[다비치]], [[티아라(아이돌)|티아라]], [[송가인]] 등 지금까지 배출한 연예인 라인업만 보더라도 대기업급으로 기가 막히고 노래도 잘 뽑는걸로 유명하지만 [[TS엔터테인먼트|TS]], [[스타제국]]과 더불어 가장 악명 높은 기획사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아티스트에 대한 관리 능력이 엄청나게 부실하고 소속사의 자질이 엉망이라는 평가가 많다.[* [[https://twitter.com/0758zzz/status/1652006477299687424?s=46|#]] 위 링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팬들의 여론도 굉장히 좋지 않다. [[김광수(음반기획자)|회사 대표]]부터 소속 연예인을 [[https://v.daum.net/v/20110218070208845|도구]]로 생각하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 * [[한동철]] PD를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382/0000456791|포함한]] [[엠넷]]출신 PD들을 [[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3173553|영입하였다.]] 과거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 회장의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382/0000663598|인터뷰]]를 보아하니 [[방과후 설렘 시리즈]] 이후에도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소속 아이돌을 론칭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DIA(아이돌)|다이아]] 또한 TV 서바이벌 방송을 통해 멤버를 선발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17/0002556175|#]]] *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더유닛]], [[언더나인틴]], [[내일은 미스트롯]], [[트롯 전국체전]], [[방과후 설렘 시리즈]]를 제작했다.[* 무려 모두 [[DIA(아이돌)|다이아]]가 활동했던 시기에 반영이 되었으며 이로인해 [[DIA(아이돌)|다이아]]는 오랜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 2019년 [[TV CHOSUN]]에서 방영된 [[내일은 미스트롯]] 관련 공연권과 매니지먼트권을 갖고 있다. 미스트롯 결승 진출자들은 포켓돌스튜디오와 계약을 체결하고 활동하게 된다. 다만 후속 시즌인 [[내일은 미스터트롯]]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 [[방과후 설렘]]은 사실상 포켓돌스튜디오의 [[DIA(아이돌)|DIA]] 직속 후배그룹을 뽑는 오디션이며 [[방과후 설렘]] 방영 전 오디션에 최종 합격한 약 150명의 연습생들이 약 4개월간 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연습생으로 매월 월말평가를 치렀고 최종 선발된 83명이 방송에 출연했다. * [[방과후 설렘 시리즈]]의 데뷔그룹은 자회사 [[엠이오|M25]]와 함깨[* 물론 엠이오가 포켓돌의 자회사이기때문에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의 간섭을 많이 받긴 받는다. [[CLASS IS OVER]],[[LIVES ACROSS]]를 2종으로 발매하지 않고 [[CLASS IS OVER|데뷔 앨범 초동 기간이 끝나자마자]] 바로 [[LIVES ACROSS|다음 앨범의 예판을 내놓은걸 보면 마케팅이 부족한걸 보아 [[김광수(음반기획자)|팡수가 관여한걸로 보인다.]]]]] 관리하고 사실상 포켓돌스튜디오에서 단독으로 매니지먼트하는 아이돌 그룹은 [[BAE173]]이 유일하다 * [[미스트롯]]에 이어 ‘[[트롯 전국체전]]’과 ‘[[방과후 설렘]]’ 등 일련의 엔터 프로그램들을 성공적으로 제작하면서 ‘K-OTC’등 장외 거래 시장에 상장 논의도 진행 중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097102?sid=101|기사]] * 엠넷을 소유한 [[CJ E&M]]을 제외한 현존하는 연예 기획사들 중 가장 많은 [[서바이벌 프로그램|오디션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주로 공중파 방송사와 협업한다.] * 역대 소속 아이돌 그룹인 [[티아라(아이돌)|티아라]], [[남녀공학(아이돌)|남녀공학]], [[파이브돌스]], [[스피드(아이돌)|스피드]], [[DIA(아이돌)|다이아]], [[BAE173]] 및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선발한 [[UNB]], [[UNI.T]], [[원더나인]], [[CLASS:y]]까지 신기하게도 전부 100% 한국인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다만 2023년, [[FANTASY BOYS]]에는 외국인 멤버들이 포함되었다.] * 자회사 [[엠이오|M25]]랑 같은 주소지다. 다만 [[펑키스튜디오]]는 [[MBC]]랑 가까운 상암동에 위치해있다 * [[DIA(아이돌)|다이아]]의 전속계약이 만료되어 현재 [[MBK엔터테인먼트|MBK]]시절 데뷔한 아티스트가 전부 소속사를 떠났다. * [[SG워너비]]를 잇는 보컬 그룹 론칭을 준비 중이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18/0005328073|#]] * [[2023년]] [[2월]] 사옥을 확장했다.[* 주소는 강남구 논현동 108-6으로 단독 사옥은 아닌 건물의 3층만 사용한다.] [[https://twitter.com/bae173_official/status/1620618257026908161?s=46&t=9vZbdU3VTJeQ7keqxO-eTA|#]] [[CLASS:y|소속 아이돌]]이 팬사인회에서 회사 사옥 이전했냐는 질문에 그대로 기존 포켓돌스튜디오 연습실을 사용한다고 한 것을 보아 새로 확장한 사옥은 [[소년판타지 - 방과후 설렘 시즌2|소년판타지]] 참가자들이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 기존 [[MBK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명을 [[https://youtube.com/@POCKETDOLLABELS|PocketDol Labels]]으로 변경한것으로 보아 레이블 사업을 시작하는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