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별궁과 궁가]][[분류:행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 [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목차] [clearfix]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 11월 23일 계해 5번째기사 1419년 명 영락 17년. >상왕이 영의정에게 포천과 풍양에 이궁 지을 뜻을 전해 말하다 >---- >[[태종 이방원|상왕]]이 [[조말생]]과 원숙을 불러서 말하기를, >"근일에 [[부엉이]]가 와서 우는데, 내가 괴이하다고는 생각지 않지마는, [[창경궁|궁]]을 떠나 피해 있는 것은 옛부터 있는 일이다. 또 《운회》 에 '유'자를 풀이하기를, '유는 새 이름인데, 울면 흉하다.' 하였으니, [[태종 이방원|나]]는 피해 있고자 한다. [[개경]] 같은 데는 물을 건너야 하고 또 길이 멀어서, 내가 [[1418년|전년]]에 왕래할 때 폐단이 많은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포천]]과 [[풍양궁|풍양]]에 본궁 [[노자]]만으로 집 10여 간을 짓고, [[낙천정]]에서 풍양을 거쳐 포천에 향하여 내왕하면서 〈흉한〉 방위를 피하고자 한다. '''[[포천]] 같은 데는 본궁에 〈딸린〉 전토와 백성이 많아서 집 짓기 어렵지 않으므로, 내가 이미 집을 짓도록 명하였지마는, 풍양 같은 데는 노자는 있어도 전토가 없다.''' 옛 읍터에 집을 짓고, 또 묵은 밭을 노자에게 주어서 그들의 생계를 돕고자 한다. 그러나 집 짓는 일은 맹세코 국가의 힘을 괴롭게 하지 않겠으니, 너는 〈이 계획을〉 다 영의정에게 말하라." >하니, 영의정이 마침 부름을 받고 수강궁에 왔다가 명을 듣고 아뢰기를, >"상교(上敎)가 매우 좋으니, 신이 〈명을〉 받들어 거행하겠나이다." 하였다. == 개요 == 조선 초기의 [[이궁]]. [[태종(조선)|태종]]이 [[상왕]]이 된 후 지었던 이궁 4곳 중 [[포천시|포천]]에 지었던 이궁이다. == 상세 ==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 12월 14일 甲申 4번째기사. >방패 보충군과 당령 선군에게 포천·풍양 이궁을 지을 재목을 벌채하게 하다. >---- >○上王命兵曹: "送防牌補充軍及當領船軍于天寶山, 伐材輸于抱川及豐壤, 以起離宮。" 태종은 상왕으로 물러나서 자신이 머무를 곳을 [[창덕궁]]과 [[창경궁]], [[경복궁]] 만으로 삼지 않고, 이궁을 세워서 머물도록 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포천이궁이다. 완공 후 태종은 포천이궁에서 종종 유숙하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이궁 3곳과는 달리, 태종 때 이후로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그나마 추정이 가능한 것은 《[[연산군일기]]》 속 금표가 세워져 있었다는 기록이 전부이기 때문에 태종이 죽은 직후부터 이미 황폐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포천이궁은 언제 사라졌는지 알 수 없으며, 형태도 어떤지 전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