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천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C_3200_619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00_6186.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포천시 CI_White.svg|width=20]] 포천시 직행좌석버스 32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포천 32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반월아트홀.여성회관)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4:40 ||<|2>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23:00''' || 막차 || '''00:40''' || ||<-2> 평일배차 || 15~20분 ||<-2> 주말배차 || 25~30분 || ||<-2> 운수사명 || [[선진시내버스]] ||<-2> 인가대수 || 14대[* 주말, 공휴일 10대 운행] || ||<-2> 노선 ||<-4> 반월아트홀.여성회관 - 신읍7통.포천축협입구 - 유한아파트 - [[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2리. 포천공구단지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터미널]] - 장암주공5단지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단지 - [[하계역]] - [[동부간선도로]]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환승센터]](4번) → [[제기동역]][* 2115번과 함께 가변차로 정류장에 정차했으나, 2115번의 정류장이 중앙차로 정류장으로 바뀌며 현재는 가변차로에 단독으로 정차한다.] →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2번) → 이후 역순 || == 개요 == [[선진시내버스]]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2.7km이다. [[https://map.naver.com/?busId=1751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舊 138-3번 === * [[시외버스 3003, 3005]]의 전신인 동송/와수리 - 운천 - 포천 - 대진대 - 송우리 - 의정부 - 장암주공 - 도봉산역 - 수유역 시외버스는 구간수요가 상당히 잘 나오던 알짜노선이었고 직행[* 포천 - 도봉산역 무정차], 완행[* 송우리, 의정부 경유] 통합 20분 간격으로 다닐 정도의 노선이었다. 하지만 시외버스여서 환승할인은 불가능한데다가 국도요금을 그대로 받아 요금이 상당히 비쌌다.[* 덕분에 예전 영종여객이 오지노선에서 벌어들인 적자를 시외버스로 극복했다는 설이 있다.] 이 때문에 포천 주민들의 불편이 있었고, 결국 [[경기고속]]으로 [[선진고속]]이 넘어갈 때 합의하여 기존 시외버스의 계통을 분리하여 완행노선은 포천으로 단축하고, 완행노선의 서울 유출입 인가를 이용해 [[선진시내버스]]가 대진대 - 창동역 좌석버스를 신설하게 된다. [[https://dcinside.com/board/bus/72903|#]] * 2010년 2월에 대진대학교 - 송우리 - 의정부터미널 - 장암동 - 수락산역 - 창동역을 오가는 [[일반좌석버스]]로 신설되었다. 원래는 창동역 동편에서 다른 노선들과 같이 정차했고, 몇 분 쉬다가 다시 포천으로 올라갔다. 게다가 이 시절에는 동부간선도로를 타지도 않았기에 동일로 정류장에 다 섰다.[* 138-3번 신설을 앞두고 선진시내는 송파상운에서 BS106L 05~06년식을 15대 가량 들여왔는데, 이 중에서 좌석개조만 해서 9대를 138-3번에 투입했다. 나머지 6대는 33, 33-1, 66, 138-5번 등에 투입했지만 모두 오래 못 가서 다시 중고로 팔렸다. 기존 BH115E는 전부 중고로 매각했다.][* 인가댓수 16대 중에서 나머지 7대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재고차를 가져와서 신차투입했다. ] * 그러다가 대진대에서 지속적인 연장요구가 있었고, 결국 2011년 12월 초에 동부간선도로를 경유하여 청량리역 환승센터로 연장이 실행된다는 공지가 올라왔을 때, 대다수 [[버스 동호인]]들은 이를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얼마 가지 않아 '''실제 공지가 인증으로 올라오면서 버덕들은 충격과 공포를 느끼게 되었다'''. 노선이 연장되면서 기존에 들어가던 창동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가대수가 16대 뿐이었던 데다[* 선진시내는 138-3번을 신설하는 과정에서 선진고속 '''면허''' 9대와 자체출고 7대를 신차로 들여오면서 16대로 운행했다.], '''동부간선도로가 심하게 정체되어서''' 배차간격 유지가 힘들 거라는 의견이 중론이었는데...... 연장과 동시에 3100에서 2대를 빼와서 증차하는 데 성공했고 이후로도 3100이나 타 노선에서 계속 차를 빼고 불법증차까지 해서 어찌어찌해서 20대 넘게 배치하는 데는 성공했다. 그래도 배차는 15~25분으로 약간 복불복성이 짙은 편. * 청량리역까지 연장되면서 청량리역에서 볼 수 있는 두 번째 좌석 노선이 되었다. 첫 번째는 [[남양주 버스 330-1]].[* 138-3의 광역전환으로 다시 청량리에서 보는 유일한 일좌노선이 되었다.] 330-1번과는 달리 이 노선에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들어갔다.[* 일부 소수 차량은 05년식 에어로 스페이스 LD CNG 찬량이었다. 그래도 연식은 330-1보단 나은 상태였다. 330-1번은 03년식 BS106L 9대에 07년식 BS106L 2대였으니...]그러나 리클라이닝은 없다. 그래서 같은 좌석차종인데 일반운임 받는 [[남양주 버스 202]]나 [[남양주 버스 707]] 등을 보면 위화감이 느껴질지도... === 형간전환 === * 그러나, 급행 운행을 해야 하지만 정작 인가는 '''모든 정류소 정차'''로 나 있는 [[일반좌석버스]]의 한계로 인해, [[선진시내버스]]는 이 노선을 [[직행좌석버스]]로 승격시키기로 결정했고, [[2012년]] [[4월 23일]] 직행좌석버스로 등급을 올렸다. 그와 동시에 [[현대 유니시티]] 신차 투입과 [[제기동역]] 연장도 이루어졌다.[* 기존 차량은 138-5로 보내어 138-5의 차급이 그나마 좋아지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그 쪽도 2013년~2015년에 3100번에서 쓰던 BH116으로 차량이 교체되어 이젠 옛날 이야기.] * 2012년 6월 19일부터 노원구청 정류장이 폐지되고, 노원역 - 중계역 - 하계역을 경유한 뒤 동부간선도로([[월계1교]])로 진입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대진대 - 하계역 구간은 3100번과 동일한 노선이었지만 이후 3100번은 석계역까지 들어가도록 변경되었다. * 2012년 12월 10일부터 [[왕십리역]]까지 연장됐다.[[http://www.daejin.ac.kr/gopage/unitedboardview.jsp?type=N&bbsConfigFK=2&pkid=7356&menuCodeValue=003002010|#]] 처음에는 단순히 성동구청 정류장에 정차하고 왕십리 지하차도에서 유턴하는 경로였지만, '''7일만에''' 행당동 삼부아파트를 끼고 회차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왕십리역 광장에 정차하게 된다. * 2013년 12월 29일부터 노선분리가 되어, 송우리 방면은 [[포천 버스 3201]]로 분리되어 경동시장까지만 운행하며, 3200번의 기점이 소흘읍 직동리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포천 버스 70]]번이 다녔으며 이 노선의 기점이 변경됨에 따라 폐선. 아울러 이 시기부터 공릉, 태릉입구역을 경유한다. * 2014년 1월 23일에 다시 번호가 바뀌었는데 3200번을 '대진대 - 청량리'로, 3201번을 '직동리 - 왕십리'로 변경했다. 3200번은 사실상 [[제기동역]]에서 회차하던 개통 초기로 환원된 셈.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442174|관련 게시물]] * 2014년 2월 7일에 기점이 대진대입구에서 포천 신읍동(반월아트홀)으로 연장되었다. [[http://www.pocheon.go.kr/www/selectBbsNttView.do?bbsNo=18&nttNo=13798&key=3095|포천시 공지사항]] 덕분에 포천시내에서는 서울 접근성이 좋아졌다. 이 여파로 인해 경기고속이 운행하던 철원 - 포천 - 동서울/수유역 시외버스의 운행횟수가 더 줄어버리고 말았다.[* 이미 KD 운송그룹은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시외버스의 운행횟수를 감편시키고 있었다.] * 2014년 5월 12일자로 포천 기점 막차시각은 23:10에서 22:30으로, 회차지 막차시각은 00:30에서 00:00으로 앞당겨졌다. *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로 인해 2014년 7월 16일부터 동부간선도로에 들어가지 않기로 하였으나 한동안 동부간선도로를 여전히 경유하다 8월 이후 먹골역, 중화역, 중랑역 경유로 변경되었다. * 그러나 운행시간 증가[* 그런데 출퇴근시간대에는 동부간선로가 막혀서 오히려 동일로 경유가 빠르기도 했다.]로 인한 승객들의 불편이 지속, 2014년 11월 1일에 본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대신 회차 시 제기동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2015년 9월 1일부터 태릉입구역까지 가지 않고 하계역에서 바로 동부간선도로로 들어가도록 변경되었으며, 제기동역을 다시 경유한다. * 2018년 11월 12일에 포천 막차가 22시 30분에서 23시로, 청량리 막차가 0시에서 0시 30분으로 늦춰졌다. * 2020년 1월 6일부터 이동교1리.용상골에도 정차한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98127|관련 게시물]] * 2021년 8월부터 [[경기도 공공버스]]정책이 적용되었다. * 2022년 1월 1일에 포천 첫차가 04시 50분에서 04시 40분으로 10분 당겨졌다. [[https://gall.dcinside.com/m/transit/433993|관련 게시물]] == 특징 == * 다른 경기도 직행좌석 노선들 중에서 보기 드물게 노선이 '''경기도''' - '''서울''' - '''고속화도로''' - '''서울''' 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동사 3100번, 3500번, 3600번도 해당된다. * 중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 다양한 수요를 가지고 있어서 물갈이가 꽤 잘된다. '''포천~송우리/의정부''', '''포천/의정부~노원''', '''노원~청량리''' 구간이 주 수요처이며 특히 '''의정부~노원''' 구간의 경우 상당히 높은 수요를 보여준다.[* 이는 의정부~노원 구간을 오가는 버스들의 혼잡도가 매우 높고 느리기 때문. 따라서 비싸도 빠르고 착석까지 보장되는 직행좌석버스들의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편. 무엇보다 이 구간을 오가는 포천선진 직행좌석 4개의 노선을 모두 합치면 배차간격의 의미가 없을 정도로 자주 온다.] *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중 가장 최북단까지 가는 노선이었으나 138-6번 버스가 [[포천 버스 1386|1386번]]으로 바뀐 이후로는 1386번이 가장 북단으로 가는 노선이 되었다. 이후 [[연천 버스 G2001|G2001번]] 버스가 개통되어 과거의 일이 되었다. * 2015년 10월 [[포천 버스 3500|3500번]]이 [[건대입구역|건대입구]]행으로 바뀐 뒤, 이 노선의 왕십리 재진입을 바라는 여론이 생겼다. 하지만 고산자로 구간의 정체가 심하고, 형간전환 초창기와는 달리 이 노선에 인가댓수가 14대밖에 없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도 [[왕십리역]]으로 가려면 3200번-[[청량리역]]-[[왕십리역]] 경로 내지는 3500번-[[군자역]]-왕십리역 경로, 또는 3006번-[[잠실역]]-왕십리역 경로가 추천된다. * [[노원구]] 등지에서 청량리역으로 갈 경우, 이 노선을 기다리기보단 [[서울 버스 105|105번]]을 타는 게 시간, 요금 면에서도 더 이득이다. 이 노선이 지나가는 [[월계1교]] 구간과 [[중랑교]] 구간의 정체가 심하기에 그냥 [[동일로]]를 경유하는 것과 다를 바 없고, 고속화도로를 타는 메리트가 거의 없기 때문.[* 일찍 가봤자 길어야 5분밖에 안 된다. 그나마 상행은 [[월계로]] 구간을 경유하지 않기에 조금 더 빠르다.] 아니면 전철[* 창동역에서 1호선 환승. 인천급행 이용시 창동역~광운대역 사이의 중간역을 무정차 통과한다.]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과거에 제기역 회차구간에서 두 개의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했었지만 현재는 제기동역 가변차로를 정차한 후 바로 동대문 중앙 새마을금고에 정차한다.여기서 배차시간을 맞추려고 장시간 정차할지 모르니 중랑교에서 타면 바로 간다.[* 이와 더불어 1215번 폐선, 2223번 폐선으로 약령시로 일대의 교통이 불편해진 감이 있다.] * 포천시내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대진대 근처에서 출발하는 다른 버스들과 달리 가스충전이 어렵다.[* 그나마 기점이 같은 72-3번은 시내버스이니 그나마 사정이 좀 낫다.] 이 문제 때문에 전 차량이 디젤차량으로 운행한다.[* 다만 일부 차량이 정비나 고장으로 순번에서 빠지게 되면 유니시티 가스 예비차들(전중문형)이 대신 운행을 하는 경우도 있다.] === 노선 === || 포천시 직행좌석버스 3200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6> 회차 || ||<|2>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br]06287 ||<|2> ||<-2> {{{#ffffff ←}}} ||<|2> ||<|2> 제기역약령시장[br]06105 || || || || || 현대코아[br]06285 ||<#f00> ↓ || ||<#f00> ↑ || ||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br]06022 || ||<-6> ''' 청량리역환승센터(2번승강장) · 청량리역환승센터(4번승강장)[br] 02015 · 02018 ''' || || 청량리미주상가앞[br]06112 ||<#f00> || ||<#f00> || || 청량리미주아파트.동대문세무서[br]06021 || || 서울성심병원[br]06114 ||<#f00> ↓ || ||<#f00> ↑ || || 떡전교사거리.동대문노인복지관[br]06014 || || 휘경동입구[br]06117 ||<#f00> || ||<#f00> || || 시조사삼거리[br]06013 || || 삼육서울병원[br]06012 || ||<#f00> ↓ ||<#f00> ↑ || || 삼육서울병원[br]06011 || || 중랑교[br]06010 || ||<#f00> || ||<#f00> || 휘경미소지움아파트[br]06422 || || 하계시영아파트[br]11453 ||<#f00> ↓ || || ||<#f00> ↑ || 하계극동아파트[br]11452 || || - ||<#f00> || || ||<#f00> || 하계우성아파트[br]11454 || || 하계역[br]11416 ||<#f00> ↓ || || ||<#f00> ↑ || 하계역[br]11447 || ||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br]11374 ||<#f00> || || ||<#f00> || 노원구민의전당[br]11367 || || 백병원[br]11257 ||<#f00> ↓ || || ||<#f00> ↑ || 상계주공1단지[br]11246 || || 상계주공6단지[br]11255 ||<#f00> || || ||<#f00> || 상계주공3단지[br]11244 || || 도봉면허시험장[br]11185 ||<#f00> ↓ || || ||<#f00> ↑ || 도봉면허시험장[br]11186 || || 마들역[br]11273 ||<#f00> || || ||<#f00> || 마들역[br]11829 || || 수락산역3번출구[br]11196 ||<#f00> ↓ || || ||<#f00> ↑ || 수락산역[br]11197 || || 장암역삼거리[br]미정차 ||<#f00> || || ||<#f00> || 장암역삼거리[br]미정차 || || 장암IC[br]미정차 ||<#f00> ↓ || || ||<#f00> ↑ || 장암IC[br]미정차 || || 장암주공5단지.한국.풍림아파트[br]08191 ||<#f00> || || ||<#f00> || 장암주공5단지앞[br]08190 || || 추동아파트[br]08172 ||<#f00> ↓ || || ||<#f00> ↑ || 신동초.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앞[br]08171 ||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br]08169 ||<#f00> || || ||<#f00>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br]08152 || || 꽃동네입구[br]08196 ||<#f00> ↓ || || ||<#f00> ↑ || 꽃동네입구[br]08197 || || 금오초등학교[br]08212 ||<#f00> || || ||<#f00> || 금오초등학교[br]08211 || || 세아아파트.거성아파트.벽산아파트[br]08227 ||<#f00> ↓ || || ||<#f00> ↑ || 세아아파트.거성아파트.벽산아파트[br]08228 || || 의정부성모병원[br]08241 ||<#f00> || || ||<#f00> || 의정부성모병원[br]08242 ||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br]40003 ||<#f00> ↓ || || ||<#f00> ↑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br]40001 || || 이동교3리.무봉리[br]40014 ||<#f00> || || ||<#f00> || 이동교3리.무봉리[br]40012 || || 이동교4리.대방아파트[br]40054 ||<#f00> ↓ || || ||<#f00> ↑ || 윗용상골.대방아파트[br]40051 || || 용상골[br]40062 ||<#f00> || || ||<#f00> || 이동교1리.용상골[br]40060 || || 원일아파트.송우5리[br]40093 ||<#f00> ↓ || || ||<#f00> ↑ || 홈플러스[br]40087 || || 송우시장사거리.우리병원[br]40160 ||<#f00> || || ||<#f00> || 송우6리시장앞[br]40102 || || 송우리터미널[br]40117 ||<#f00> ↓ || || ||<#f00> ↑ || 송우리터미널[br]40115 || || 주공2단지석향마을[br]40127 ||<#f00> || || ||<#f00> || 주공2단지석향마을[br]40131 || || 설운3통.여단앞[br]40167 ||<#f00> ↓ || || ||<#f00> ↑ || 설운3통.여단앞[br]40166 || || 선단1통.대진대학교[br]40207 ||<#f00> || || ||<#f00> || 선단1통.대진대학교[br]40210 || || 자작2통군단앞[br]40231 ||<#f00> ↓ || || ||<#f00> ↑ || 자작2통군단앞[br]40232 || || 어룡2통[br]40235 ||<#f00> || || ||<#f00> || 어룡2통[br]40236 || || 극동.주공아파트[br]40658 ||<#f00> ↓ || || ||<#f00> ↑ || 극동.주공아파트[br]40660 || || 유한아파트입구[br]40242 ||<#f00> || || ||<#f00> || 유한아파트입구[br]40369 || || 포천동주민센터입구[br]40249 ||<#f00> ↓ || || ||<#f00> ↑ || 포천동주민센터입구[br]40589 || || 포천시보건소[br]40257 ||<#f00> || || ||<#f00> || 포천시보건소[br]40496 || || 신읍7통.포천축협입구[br]40587 ||<#f00> ↓ || || ||<#f00> ↑ || 신읍7통.포천축협입구[br]40588 || ||<-6> '''반월아트홀.여성회관[br]41242''' || }}}}}} || ||<#f00> || === 시간표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83106|2023년 02월 01일 기준]] [[https://m.blog.naver.com/qwerty708090/222770560413?view=img_1|2022년 06월 13일 기준]]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회기역]], [[청량리역]], [[제기동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 [[노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청량리역]], [[회기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청량리역, 회기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청량리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 [[동오역]] * 일반 철도역 : 청량리역(KTX, ITX-새마을/마음/청춘,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 둘러보기 == [include(틀:의정부-노원역간 버스)] [[분류:포천시의 시내버스]][[분류:201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포천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