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천시의 시내버스]][[분류: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폐선된 138-7번과 138-8번, rd1=포천 버스 138-7)] [include(틀:포천시의 버스)] [include(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8-5_1048.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천 버스 138-5_5794.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포천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포천시 좌석버스 138-5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포천 138-5 노선도.png|width=100%]]}}}|| ||<-2><:>기점||<:>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도평리터미널)||<-2><:>종점||<:>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2><:>종점행||<:>첫차||<:>05:00||<|2><:>기점행||<:>첫차||<:>06:35|| ||<:>막차||<:>21:30||<:>막차||<:>23:10|| ||<-2><:>배차간격||<-4><:>20~40분|| ||<-2><:>운수사명||<:>[[선진시내버스]]||<-2><:>인가대수||<:>9대|| ||<-2><:>노선||<-4><:>도평리 - 장암5리, 한빛아파트 - 이동 - 노곡리 - 노곡2리, 노곡사거리 - 수입3리, 아랫갈기 - 용암천 - 화대2리, 제인온천 - 일동면사무소, 농협 - 일동시장입구 - 기산1리, 배리 - 기산5리, 생이고개 - 길명1리 - 지현교 - 금주4리 - 금주3리, 만세교 - 윤중, 신포천아파트 - 신북대교 - 가채2리, 승방동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어룡2통 - 자작2통, 군단앞 - 선단1통.[[대진대학교]] - 설운3통, 여단앞 - 송우리터미널 - 원일아파트, 송우5리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1리, 용상골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3리, 무란마을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회차)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개요 == '''경기도 일반좌석버스 최장거리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18.9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750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예전에는 660번과 660-1번이 있었으며,[* 포천고 - 도평리. 660번은 일동사이판을 경유했으며, 660-1번은 원평마을을 경유했다. 처음에는 포천교통과 영종여객 공동배차였지만, 영종여객에서 선진시내버스가 분리된 후에는 선진시내버스가 단독운행하였다.] 138-5는 경복대를 찍고 갔으며, 138-8번은 아예 없는 노선이었다. 그리고 138-7번은 현재 노선과 무관한 '자일리(영북)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구 138-7번에 대해서는 [[포천 버스 1386]] 문서를 참조.][* 구 660번과 660-1번에 대해서는 오른쪽 링크를 참조.([[http://www.cyworld.com/gyeonggibus/3005371|660번]], [[http://www.cyworld.com/gyeonggibus/3005286|660-1번]]. 당시 유명했던 글로벌 900 좌석차량도 있다.)] 당시 운행댓수는 138-5번이 4대, 660번 6대, 660-1번 5대였으며 138-5번은 포천교통, 660, 660-1번은 선진고속이 운행했으나 138-5번을 선진시내로 넘기고서 138-5번은 9대, 660, 660-1번을 합쳐서 4대가 운행했다. * 2010년 초에 660번이 폐선되었다. 폐선인가는 138-5번 증차에 쓰였다. * 2011년 3월 1일에는 660-1번이 의정부로 연장되면서, 138-7번으로 번호변경했다. 그와 동시에 138-8번도 신설. * 2014년 2월 26일부터 138-6번과 함께 경복대학교 포천캠퍼스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456141|관련 게시물]] * 2014년 7월 1일에 의정부 막차가 익일 0시 40분에서 0시로 단축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989650|관련 게시물]] 단축 이전에는 막차가 도평리 23시 출발, 의정부 01시 출발, 도평리 2시 40분 도착이라 [[버스 기사]]의 피로 문제가 대두되었기 때문. * 2014년 7월 25일에 [[포천 버스 88|88번]]의 변경된 포천시내 구간과 맞바꿔서 '포천축협 - 보건소 - 유한아파트, 극동2차아파트' 구간이 '포천중학교 - 보건소 - 포천시청'으로 변경되었다. * 2015년 11월 13일에 [[포천 버스 72-3|72-3번]]이 포천중학교, 포천시보건소를 경유하게 되면서 138-7번은 골든아파트 직진으로 변경되었고, 138-8번은 138-5번으로 흡수되었다.(138-5 증차) * 2018년 1월 1일 시간표 변경으로 인하여 첫차시간이 늦춰지고 막차시간이 '''또''' 단축되었다. * 2018년 7월 11일에 138-5번은 도평리 막차가 21시에서 21시 20분으로, 의정부역 막차가 22시 40분에서 23시로 늦춰졌다. 138-7번은 도평리 첫차가 5시 50분에서 40분으로, 의정부역 첫차가 7시 20분에서 10분으로, 도평리 막차가 20시 40분에서 21시로, 의정부역 막차가 22시 25분에서 4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9년 1월 1일에 138-5번이 1대가 늘어 10대로 다니며, 대신 138-7번이 1대가 줄어 2대로 운행한다. 이로 인해 138-7번 도평리 첫차가 5시 40분에서 7시 35분으로, 의정부 첫차가 7시 10분에서 9시 20분으로 늦춰졌다. 막차는 기존과 동일.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08999|관련 게시물]] * 근로시간 단축과 길명리 구간의 수요 저조를 이유로 2019년 9월 2일에 138-7번이 폐선되면서, [[포천 버스 12|12번]]을 신설하여 '도평리 - 포천고(용정산단)' 구간을 대체하며, 138-5번은 길명리 구간을 삭제하고 일동터널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http://www.pocheon.go.kr/www/selectBbsNttView.do?bbsNo=191&nttNo=224549&key=5329&pageUnit=10&pageIndex=1|포천시 공지사항]]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68982|관련 게시물]] 이와 더불어 첫/막차가 조정되었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69062|관련 게시물]] 138-7번이 폐선되었지만, 138-5번은 증차없이 그대로 10대로 운행한다. * 도평리 첫차: 변동없음(05:00) * 의정부 첫차: 06:30 → 06:20 * 도평리 막차: 21:20 → 21:00 * 의정부 막차: 23:00 → 22:40 * 길명리 일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019년 11월 1일에 일동터널 미경유, 길명리 경유로 환원되었다. [[http://www.pocheon.go.kr/hhm/selectBbsNttView.do?key=6351&bbsNo=103&nttNo=226029|포천시 공지사항]] * 2021년 1월 1일에 운행횟수가 1일 40회에서 1일 39회로 감회되었다. 이후 일자 미상으로 31회로 감회되었으며, 막차시간대 배차간격이 최대 40분까지 벌어졌다. 다만 막차시간이 다시 21:30으로 환원되었다. * 2022년 7월 4일부로 다시 1대가 늘어 9대가 35회 운행한다. == 특징 == * 경기도 일반좌석버스 승객 수 6위 노선이다. * 노선이 서로 통폐합이 되기 전 138-5번과 138-7번의 두 노선이 서로 다르게 경유하는 구간은 이동면~길명리 구간이다. * 138-5 : 이동~ 노곡리, 수입리 ~일동~ 생이고개 ~길명리 * 138-7 : 이동~ 연곡리, 사직리 ~일동~ 기산교차로 ~길명리 추가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138-7번은 더 이상 포천아트밸리를 경유하지 않는다. * 일반시내버스 요금이 1천원 이었던 시절(2010년 초반)에 이동 ~ 일동 구간 한정으로 이 버스도 지역 주민들에게 요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좌석버스 요금이 아닌 시내버스 요금으로 받은 적이 있었다. 단, 카드가 아닌 현금 한정이었으며 현재는 폐지되어 정상 요금을 받는다. * 과거에는 타 노선에서 온 대우 BH116 차량도 있었으나, 현재는 전부 대차되어 현대 에어로시티 F/L 차량으로 운행한다. * 두 노선 모두 노선이 길다. 특히 138-8번은 '''경기도 최장거리 [[일반좌석버스]] 노선'''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었다. 아래는 세 노선의 길이이다. 지금은 노선 변경으로 인해 운행거리가 대폭 단축되어 타이틀은 사라졌다. * 138-5번: 118.9km[* 경복대 포천캠퍼스를 경유했을 때에는 운행거리가 132.2km 정도 나왔으나, 경복대 포천캠퍼스 미경유로 인해 운행거리가 줄어들었다.], 138-7번: 110.6km (없어진 138-8번은 약 127.9km였다.) * 이동, 일동터미널 일대에서 포천시내로 가는 유일한 노선에 배차간격 또한 일반시내버스는 평균 2시간이 넘는거에 비해 138-5번은 매우 짧은 편이라 이용 수요가 많다. 사실상 일동면, 이동면 일대의 핵심 교통수단. 이쪽주민, 특히 군장병들이 포천시내나 의정부를 가기 위해 많이 이용한다. --와수리쪽 장병들도 의정부로 점프뛰기 위해 많이 이용한다-- * 이 노선의 정류장 중 하나인 "일동사이판"은 2015년까지 영업했었던 포천시의 워터파크이다.[* 근처 바로 옆에 있는 "일동용암천"도 현재 운영을 중단한 상황이며 남아있는 온천은 "일동제일유황온천" 1곳 뿐이다.] 그런데 폐업하고 건물이 철거된지 몇년이 지났는데 정류장 이름을 바꾸지 않고 있다.[* 실제 정류장에는 수입3리로 표기되어 있다.] === 시간표 === ||<-4> {{{#ffffff 포천 138-5번 버스 운행시간표}}}[br]{{{#ffffff 2023년 2월 21일 기준}}} || || 횟수 || 도평리출발 || 의정부역 출발 || || 1 || 05:00 || 06:30 || || 2 || 05:20 ||<|29> 도착후 회차 || || 3 || 05:50 || || 4 || 06:20 || || 5 || 06:50 || || 6 || 07:30 || || 7 || 08:00 || || 8 || 08:30 || || 9 || 09:10 || || 10 || 09:50 || || 11 || 10:20 || || 12 || 10:50 || || 13 || 11:20 || || 14 || 11:50 || || 15 || 12:20 || || 16 || 12:50 || || 17 || 13:30 || || 18 || 14:10 || || 19 || 14:40 || || 20 || 15:10 || || 21 || 15:40 || || 22 || 16:10 || || 23 || 16:40 || || 24 || 17:10 || || 25 || 17:50 || || 26 || 18:30 || || 27 || 19:10 || || 28 || 19:50 || || 29 || 20:30 || || 30 || 21:00 || || 31 || 21:30 || 23:10 || ||<-6><:> 연곡리는 [[포천 버스 12|12번]] 버스 이용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경전철]]: [[의정부중앙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