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분류:가면라이더 포제/변신 장비]] [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 벨트)] [목차] == 소개 == [[파일:attachment/uploadfile/fourzedriver.jpg|width=550]] >'''3! 2! 1!''' [[가면라이더 포제]]의 등장 아이템으로 [[키사라기 겐타로]]가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포제]]로 변신할 때 사용하는 [[변신벨트]]. 성우는 불명. 포제 드라이버란 미지의 에너지 <코즈믹 에너지> 를 이용하는 힘을 가진 [[아스트로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관제용 콘솔이다. 충분히 조정을 실시한 아스트로 스위치를 이용해 코즈믹 에너지를 포제의 사지에 모듈로서 물질화시키는 것으로, 강대한 힘을 안정적으로 끌어내고 있다. 사실 이 포제 드라이버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주에 살고 있는 지적 생명체와의 접촉을 꿈꾸는 '프리젠터'를 만나기 위해 인간이 안전하게 워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면라이더 포제/기타 등장인물#s-2.7|우타호시 로쿠로]]가 연구한 결과물이다. 프리젠터로 가기 위한 워프 방법을 채택함에 있어 [[가모우 미츠아키]]는 [[조디아츠 스위치]]로 인류의 진화 속도를 강제로 가속시키는 방법을 채택했고, 우타호시 로쿠로는 세대를 이어 인류가 프리젠터를 만날 준비가 되었을 때 안전하게 워프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포제 드라이버를 준비한 것이다. 우타호시 켄고의 포제 드라이버를 키사라기 겐타로가 가로챘다는 사실 외에도 처음부터 켄고는 포제 드라이버를 장착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켄고의 정체와 관련되어 있었다([[우타호시 켄고]] 항목 참조). 또 이와는 별개로 [[메테오 드라이버]]를 지닌 [[사쿠타 류세이]]가 나타나기 전까지 라이더부에는 포제 드라이버를 장착하여 포제로서 싸울 수 있는 정도의 역량이 되는 사람이 없었기에 결국 포제는 겐타로만이 변신할 수 있게 되었다. [[가이아 메모리]]와 같이 최초 사용자의 접근만을 허락하는 인식 능력이 있는지는 극중에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포제 드라이버가 원래 사용되어야 했던 본 목적 상 사용자 인식 능력은 별도로 탑재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본편 14화에서 겐타로를 메디컬 모듈로 치료해야 할 때 포제로 변신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이 모듈을 굳이 특수 장비까지 만들어가면서 포제로 변신하지 않고 사용했던 것을 보면 켄고가 독단적으로 사용자 인식 기능을 탑재했을 수도 있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완구 'DX 포제 드라이버'의 매상은 75만개 이상. 이는 전작 [[가면라이더 오즈]]의 'DX [[오즈 드라이버]]'가 갱신한 [[헤이세이 라이더]] 변신벨트 완구 최다 판매수의 수치를 넘은 기록이라고 한다.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위자드&포제 MOVIE 대전 얼티메이텀]]에서는 포제 TV판 5년 후 교사가 된 겐타로가 사나기맨이 되어 방황하는 [[카제다 사부로]]를 설득하기 위해 포제 드라이버를 용광로에 던져버린다. 그래서 영화 중반부에서는 과거의 자신에게 빌린 드라이버로 변신했고 영화가 끝날 때 하루토를 통해서 다시 과거의 자신에게 돌려주었다. 국내판은 [[가면라이더 카부토|음성을 더빙하지 않고]]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그대로 일본판 음성으로 나온다.]] 어차피 저글리쉬이긴 하지만 죄다 영어밖에 없고 전작 [[오즈 드라이버]]가 워낙 혹평이라서 더빙하지 않은 듯. == 각부 설명 == ||<-2> [[|width=300]] || ||<#000000> {{{+1 {{{#FFFFFF 01}}} }}} || '''엔터 레버[br](エンターレバー)''' || ||<-2> 포제 드라이버의 인증용 핸들 레버.[br]이 레버를 조작하면 포제 변신 시퀀스 개시나, [[아스트로 스위치]]의 파워를 최대한 끌어내는 필살기 '리미트 브레이크' 발동 허가가 아스트로 스위치와 드라이버에 송신된다. || ||<#000000> {{{+1 {{{#FFFFFF 02}}} }}} || '''릴리스 버튼[br](リリースボタン)''' || ||<-2> 포제 드라이버를 벗기 위한 록 해제 버튼. 좌우에 2개 존재한다. || ||<#000000> {{{+1 {{{#FFFFFF 03}}} }}} || '''스테이터스 모니터[br](ステイタスモニター)''' || ||<-2> 포제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br]각부의 가동 상황이나 아스트로 스위치의 기동 여부 등을 그래피컬하게 표시한다. || ||<#000000> {{{+1 {{{#FFFFFF 04}}} }}} || '''히트 싱크 플레이트[br](ヒートシンクプレート)''' || ||<-2> 메인 컴퓨터 시스템인 ASX-40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 플레이트.[br]좌우에 2개 존재한다. || ||<#000000> {{{+1 {{{#FFFFFF 05}}} }}} || '''트랜스위치[br](トランスイッチ)''' || ||<-2> 아스트로 스위치와 포제 드라이버의 회로를 접속시키는 스위치.[br]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접속 상태가 되어 변신이나 포제 모듈 전개가 가능해진다. || ||<#000000> {{{+1 {{{#FFFFFF 06}}} }}} || '''스위치 소켓[br](スイッチソケット)''' || ||<-2> 아스트로 스위치를 포제 드라이버에 고정시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공급용 소켓.[br]포제 드라이버에는 총 4개가 존재하며, 대응하지 않는 스위치의 장전을 막기 위해 각각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 ||<#000000> {{{+1 {{{#FFFFFF 07}}} }}} || '''ASX-4000'''[* 에이에스엑스-포티 헌드레드로 읽는다.] || ||<-2> 포제 드라이버의 메인 컴퓨터 시스템.[br]스테이터스 모니터 하부의 마더 보드 유닛에 격납돼 있으며, 포제의 심장부와 같다.[br]CPU로는 동작 주파수 2.0GHz로 억눌리면서도 매우 안정성이 높은 제어용 코어 칩 'Frontier C3'가 4개 사용되었다. || ||<#000000> {{{+1 {{{#FFFFFF 08}}} }}} || '''피트 컨트롤 베이스[br](ピットコントロールベース)''' || ||<-2> 제어용 유닛이 내장된 포제 드라이버의 외장.[br]아스트로 스위치를 장전하는 스위치 소켓이나, 트랜스위치를 시작으로 한 입력 디바이스를 총합한 컨트롤 인터페이스이다. || ||<#000000> {{{+1 {{{#FFFFFF 09}}} }}} || '''캡처 핸들[br](キャプチャーハンドル)''' || ||<-2> 엔터 레버의 핸들 그립. || ||<#000000> {{{+1 {{{#FFFFFF 10}}} }}} || '''파워 하네스[br](パワーハーネス)''' || ||<-2> 포제 드라이버를 장착자의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렉시블 밴드.[br]체형에 맞춰 자동으로 조정되기에 변신자가 의식할 필요는 거의 없다. || ||<#000000> {{{+1 {{{#FFFFFF 11}}} }}} || '''클리핑 브릿지[br](クリッピングブリッジ)''' || ||<-2> 포제 드라이버의 안전장치. 장착자의 등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돼 있다.[br]장착자의 피부 표면이나 신경 내부의 전기 신호를 읽어들여, 아스트로 스위치의 이상을 검지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버의 시스템을 셧다운한다. || ||<#000000> {{{+1 {{{#FFFFFF 12}}} }}} || '''언브리컬 인젝터[br](アンビリカルインジェクター)''' || ||<-2> 피트 컨트롤 베이스의 뒷면, 장착자의 배에 닿는 부분에 존재하는 커넥션 게이트.[br]포제 드라이버에서 포제의 슈트로 에너지를 직접 공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