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기도의 대로)] ||<-4> {{{#fff {{{+1 '''포은대로'''}}}[br] 圃隱大路 | Poeun-daero }}} || ||<-4> {{{#!wiki style="margin: -16px -11px" ||[[창룡대로|{{{#fff ← 창룡대로}}}]] || [[광주대로|{{{#fff 광주대로 ↑}}}]]||}}} || || ← [[세종특별자치시|{{{#!html세종}}}]] {{{#!html방면}}}[br][[창룡대로]] ||<-2><#0018a8> [[43번 국도|{{{#!html
43번
국도
}}}]] || [[철원군|{{{#!html철원}}}]] {{{#!html방면}}} →[br][[회안대로]] || || ← [[천안IC|{{{#!html천안}}}]] {{{#!html방면}}}[br][[용구대로]] ||<-2> [[23번 지방도|{{{#!html
23번
국가지원지방도
}}}]] || [[가양대교|{{{#!html서울}}}]] {{{#!html방면}}} →[br][[신수로]] || || {{{#!html
기 점}}} ||<-2><#2B3> [[광주시도|{{{#!html
1번
광주시도
}}}]] || [[송정동(경기 광주)|{{{#!html송정동}}}]] {{{#!html방면}}} →[br][[광주대로]] || ||<-4> '''{{{#fff 노선 번호}}}''' || ||<-4> '''[[43번 국도]]'''[* [[광교상현IC]]~[[고산IC]]][br]'''[[23번 지방도]]'''[* [[죽전역(분당선)|죽전사거리]]~풍덕천사거리][br]'''[[광주시도|1번 광주시도]]'''[* [[광주시]] 구간] || ||<-4> '''{{{#fff 기점}}}''' || ||<-4>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상현나들목 || ||<-4> '''{{{#fff 종점}}}''' || ||<-4> [[경기도]] [[광주시]] [[역동]] 역동사거리 || ||<-4> '''{{{#fff 연장}}}''' || ||<-4> 23.57km || ||<-4> '''{{{#fff 관리}}}''' || ||<-2> [[용인시]] ||<-2> [[광주시]] || ||<-4> 수원국토관리사무소 || ||<-4> '''{{{#fff 왕복 차로 수}}}''' || ||<-4> 4~8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광교상현IC]] ↔ 풍덕천사거리 ↔ 고산IC ↔ 역동사거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상현나들목부터 [[광주시]] 역동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포은 정몽주 선생묘|정몽주]] 무덤 행렬따라 생긴 길이다. 서쪽으로는 [[창룡대로]], 동쪽으로는 [[광주대로]]로 이어진다. '''용인시 구간은 '수지대로'라는 명칭이 있었다.''' 왕복 4~8차선이며, 수지구 구간 죽전삼거리에서 풍덕천사거리까지의 600m남짓한 구간을 제외하면 사실상 왕복 4~6차선 도로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용인시 수지구 구간이다. == 특징 == [[파일:경부고속도로_분당수서로_신수로_외.png|width=80%]] 수지구에서 [[풍덕천동]]과 [[죽전동(용인시)|죽전동]]의 이 도로변은 [[수지구]]의 [[난개발/경기도|난개발]]로 유명한 곳이다. [[2000년대]] 들어서 수지구의 난개발이 진정되면서 숨통의 트였지만, 난개발 중에는 그야말로 수지지옥을 봤다. 특히 난개발이 흥하던 1990년대 말 용인시 수지구의 대단위 아파트 단지들이 산을 깎아 들어서면서 교통량이 많아졌을뿐더러, 또한 [[모현읍]] 능원리, 오산리로 넘어가는 옛 고갯길은 경사가 험준하고 길폭이 좁아서 수지구 교통체증을 늘리는 원인 중 하나였다. 그래서 2000년대 들어 도로선형 개선공사를 통해 우회도로를 건설했고, 이후 옛 고갯길 대신 우회도로가 43번 국도에 편입됐다. --그러나 도로선형을 개선했더라도 고개가 여전히 가파른 것은 넘어가자.-- 용인시계~ 상현교차로 구간에는 지하차도를 만드느라 공사판이었다. 상현지하차도는 일단 전구간 개통.[* 몇 년째 [[티스푼 공사]]하였다. 사실 신분당선 공사와 같이 하느라 그럴수 있지만 신분당선보다도 오래 걸렸다.] 아쉽게도(?) [[신분당선]]은 [[풍덕천로]]와 [[수지로]] 지하를 쑤시고 다닌다. 한편,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왕산리 구간 일부는 동림IC에서 [[문형동]]을 지나간다. --그래서 일부 버스 노선은 [[광주시|광주]] 땅을 살짝 밟아서 [[아웃광주]]가 아니다.-- 혹시라도 자전거로 수지구 죽전동~상현동에서 [[광교신도시]], [[영통구]]로 갈 경우 포은대로로 갈 수 있지만 혼잡하다. [[네이버 지도]]로 검색하면 높은 확률로 포은대로로 안내하는데 고갯길은 둘째치더라도 노면 상태가 자전거 달리기에는 좋지 않으며[* 특히 신분당선 공사로 더 심해졌다.] 차량 통행량도 많아 사고위험이 있다. 대체 노선으로는 [[상현동]] 구간인 [[상현로]]를 지나는 방법이 있는데 지역난방공사쪽에서 [[만현로]]를 탄 뒤 만현마을에서 상현로를 관통해 상현3동에서 법조로로 들어가면 된다. 상현동 구간에서는 43번 국도의 이설 전구간이 [[수지로]](상현교차로- 두산기술원사거리- 정평육교)로 편입되었는데, [[성복역]] 인근에 [[롯데몰 수지]]가 건설되어 일부 구간이 폐쇄되었다. 이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는 수지이마트 혹은 지역난방공사 방향으로 우회중. == 명칭 유래 == '''이름 그대로 [[정몽주]]의 호인 포은에서 유래했다. 용인시 구간은 수지대로였다.''' 하지만 이 구간의 명칭을 통일할때, [[수원시]]와 [[광주시]]에서는 수원에서 광주를 잇는 도로이므로 수광대로라고 하려 했다. 그러나 [[용인시]]에서 반대하여 충렬서원이 포은 정몽주를 기리는데 유래한 포은대로로 이름을 붙였다. 거기다 정몽주 사후 그를 모시던 행렬이 지나가던 길이기도 해서 여러모로 적당한 느낌이 있다. 그때 용인시에서 포은대로 축에 사는 주민들에게 보낸 우편물에서 '''성리학의 창시자인 포은 정몽주를 기리기 위해 포은대로라고 이름을 붙였다'''[* 참고로 광주시 방면으로 가다 보면 [[포은 정몽주 선생묘]]가 있다] 라고 했다. ~~[[주자(철학자)|주희]]대로?~~ 그런데 포은 정몽주는 [[경상북도]] [[포항시]]/[[영천시]] 출신이다.[* 포항과 영천은 포은로라는 도로가 별도로 존재한다] ~~용인 출신인 정암 [[조광조]] 묘소도 이 도로 인근에 있으니 차라리 정암대로라고 했으면 어떨까?~~ 이후 수원 구간은 [[창룡문]]의 이름을 딴 [[창룡대로]]라는 이름으로 바뀐다. == [[국도]] 및 [[지방도]]구간 == [[광교신도시]]의 [[시계(동음이의어)#시계(市界)|시계]] [[광교상현IC]]부터 [[고산동(광주)]] 고산IC(고산육교)까지 [[43번 국도]] 구간이다. 또한 [[23번 지방도]]가 수지구 구간은 풍덕천사거리에서 죽전사거리까지 중첩된다. 수지구에서 풍덕천사거리~죽전사거리까지는 교통체증이 심각한 구간으로 악명 높다. ## 기본적으로 중앙선이 절선되어 있는 교차로만 작성합니다. ## (즉, 우회전으로만 진출입할 수 있는 골목길 수준의 교차로는 작성하지 않는 것입니다.) ## 단, 입체교차 시설이 갖추어진 교차로는 중앙선이 절선되어 있지 않더라도 작성합니다. ## 직진을 신호 없이 이동하게 하는 고가차도, 지하차도는 교차로명 아래에 괄호로 표기합니다. ## 이 내용은 토론을 통해 규정된 것이 아니므로 강제력이 없습니다.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배경색이 {{{+1 {{{#00ccff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C8C8C8> '''[[광주대로]]''' 직결 || || '''[[중앙로(경기광주)|중앙로]]'''[br] 광주축협 방면|| ← || '''역동사거리''' || → ||'''[[중앙로(경기광주)|중앙로]]'''[br]경안 제1교 방면 || ||<-5> 장지교(직리천) || || '''[[경충대로]]'''[br][[성남시]] 방면|| ← || '''역동삼거리'''[br]'''[[광주IC]]''' (광주IC교) || → ||'''[[경충대로]]'''[br][[초월역]], [[곤지암읍]] 방면 || ||<-5> 오포육교(고산천) || || [[역동로]][br][[경기광주역]] 방면|| ← || 장지삼거리 |||| || || '''[[순암로]]'''[br][[태전동(경기 광주)|태전동]] 방면|| ← || '''장지사거리''' || → ||'''[[양벌로]]'''[br]양벌리 방면 || || '''[[회안대로]]'''[br][[하남시]] 방면|| ← || '''고산IC''' || → ||'''[[회안대로]]'''[br][[모현읍|모현]], [[포곡읍|포곡]] 방면 || ||<|2> '''[[오포로]]'''[br][[추자리]] 방면||<|2> ← ||<|2> '''문형교차로'''[br](문형육교) || → ||'''[[문현로(용인)|문현로]]'''[br]왕산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외대]] 방면 || || → ||'''[[오포로]]'''[br]능평리 방면 || || '''[[태재로]], [[57번 지방도]]'''[br][[태재고개]], [[분당구]] 방면|| ← || '''능원IC''' || → ||'''[[57번 지방도]]'''[br][[포곡읍|포곡]] 방면 || ||<-5> 능원교(용인 오산천) || || '''[[동백죽전대로]]'''[br] 죽전동, 분당 무지개마을 방면|| ← || '''꽃메교차로'''[br](죽전5교) || → ||'''[[동백죽전대로]]'''[br]마북IC, [[동백동]] 방면 || ||<-5> '''죽전2교([[탄천]][*A 성복천])''' || || '''[[대지로]]'''[br]대지마을 방면|| ← || '''죽전삼거리''' |||| || || '''[[용구대로]]'''[br] [[오리역]], [[성남대로]] 방면|| ← || '''죽전사거리'''[br](죽전고가차도) || → ||'''[[용구대로]]'''[br][[보정역]], [[기흥구|기흥]] 방면 || |||| || '''풍덕천삼거리'''[br]([[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분당수서로]]) || → ||[[용구대로|용구대로2469번길]][br]보정교차로, [[마북동]] 방면 || |||||||||| '''[[경부고속도로]]''' || || '''[[신수로]]'''[br]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 궁내동 방면|| ← || '''풍덕천사거리'''[br](풍덕고가차도) || → ||'''[[신수로]]'''[br]삼막골, [[수원신갈IC]] 방면 || || '''[[문정로(용인)|문정로]]'''[br] [[수지구청역]] 방면|| ← || '''[[수지구청]]사거리''' || → ||[[신수로]] 방면 || ||<-5> 풍덕천교(탄천[*A]) || || '''[[정평로]]'''[br] 정평초등학교 방면|| ← || '''[[풍덕고등학교|풍덕고교]]사거리''' || → ||'''[[진산로]]'''[br]진산마을, [[보정동]] 방면 || || [[수지로112번길]][br] 수지초등학교 방면|| ← || '''정평사거리''' || → ||'''[[만현로]]'''[br]상현동 방면 || ||<-5> 정평교(탄천[*A]) || || [[성복2로]][br][[성복역]], [[서수지IC]] 방면|| ← || '''상현동육교교차로'''[br](망현1육교) || → ||'''[[상현로]]'''[br][[상현동]] 방면 || || '''[[수지로]]'''[br][[성복역]] 방면|| ← || '''상현교차로'''[br](상현지하차도) || → ||'''[[상현로]]'''[br]상현동 방면 || |||| || '''광교중앙로삼거리'''[br](상현지하차도) || → ||'''[[광교중앙로]]'''[br][[상현역]], [[광교신도시]] 방면 || || 광교수리마을 방면|| ← || |||| || || '''[[용인서울고속도로]]'''[br]서울, [[서수지IC]]방면|| ← || '''[[광교상현IC]]''' || [* 진입 불가능] ||'''[[용인서울고속도로]]'''[br][[흥덕IC]], [[동부대로(경기도)|동부대로]] 방면 || ||||||||||<#C8C8C8> '''[[창룡대로]]''' 직결 || == 주요 시설 == [[수지구청]],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이마트 죽전점]], [[분당선]] [[죽전역(분당선)|죽전역]]이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포은대로 도로명주소를 받았다.[* [[정몽주]]의 호를 딴 문화시설인 [[용인포은아트홀]], [[수지레스피아]], 포은아트갤러리가 죽전역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다.] 심곡서원, 수지지역난방공사, 수지도서관, [[문정중학교(경기)|문정중학교]], 용인신촌초등학교, [[대지고등학교]]는 포은대로 도로변에 있다. == 경유 버스 == 엄밀히 말하자면, 전체 구간을 왕복하는 버스는 없다. 수지 죽전동의 꽃메교차로에서 [[현암고등학교]] 방면으로 진입하는 노선버스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다만 [[경기광주 버스 60|60번]]의 노선을 따라 수지농협, 길훈아파트삼거리 지점에서 [[현암고등학교]]를 관통하는 도로인 대지로가 시종점 모두 포은대로와 직결되는 우회도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구간을 제외하고 직결되는 [[창룡대로]]시점부터 장지삼거리까지 [[경기광주 버스 60|60]]번이 경유한다. 660번은 노선 단축 이후 광교중앙로삼거리 시점부터 경유한다. 길훈아파트삼거리로 진입하지 않고 성현마을[* 우미이노스빌, 반도유보라 뒷편.], 내대지마을로 우회해 가고 능원리~태전동 구간으로 우회하며, 60번은 상현로, 성복역, '''[[오리역]] 왕복''', 내대지마을, 능평리,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매산리, 양벌리로 우회해 [[경강선]] [[경기광주역]]을 경유한다. 그리고 다시 [[경안동]]에서 광주시공설운동장을 우회해 송정동으로 진입한다. 또한 상현로를 통해 위 두 노선은 [[상현동]] 구간으로 이동한다. [[수지구]] 구간에서는 [[용인 버스 670]]번이 [[죽전역(분당선)|죽전역]]부터 광교중앙로 삼거리까지 [[상현동]] 투어 없이 [[풍덕천동]] 및 [[죽전역(분당선)|죽전역]]과 [[광교신도시]]를 직결한다. [[성복역]]으로 우회하는 [[화성 버스 720-3]]도 있다. [[상현역]]과 수지지역난방공사 사이 현대홈타운[* 공항버스 정류장], 상현마을 현대2차아이파크만 지나고 [[상현동]] 투어 없이 3정거장만에 지역난방공사를 가므로 빠르다! 그 외, 수지구 구간 풍덕천사거리에서 죽전사거리에 이르는 교통체증량 상습 구간, 헬게이트, 정평사거리- 풍덕고사거리 구간, 광교중앙로삼거리- 상현교차로 구간에는 수많은 버스들이 지나간다. [[분류:경기도의 대로]][[분류:용인시의 도로]][[분류:수지구의 도로]][[분류:처인구의 도로]][[분류:광주시의 도로]][[분류:43번 국도]][[분류:정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