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농구선수, rd1=게리 페이튼 2세)] ||<-2> '''[[포뮬러 2|{{{#000000 포뮬러}}} {{{#00bfff 2}}}]]'''[[상표|{{{#000000 ™}}}]] [br]'''{{{#000000 Formula}}} {{{#00bfff 2}}}'''[[상표|{{{#000000 ™}}}]] || ||<-2> [[파일:FIA_Formula_2_Championship_logo.jpg|width=300&align=center]] || || '''{{{#fff 정식 명칭}}}'''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상표|{{{#000000 ™}}}]] || || '''{{{#fff 영문 명칭}}}''' ||[[FIA]] Formula Two Championship[[상표|{{{#000000 ™}}}]] || || '''{{{#fff 창설}}}''' ||[[1967년]] ~ [[1984년]] (유럽 F2)[br][[1985년]] ~ [[2004년]] (국제 포뮬러 3000)[br][[2005년]] ~ [[2016년]] (GP2 시리즈)[br][[2017년]] ~ 현재 (F2) || || '''{{{#fff 드라이버}}}''' ||22명 || || '''{{{#fff 팀}}}''' ||11팀 || || '''{{{#fff 차체 및 섀시 공급 업체}}}''' ||달라라(Dallara)[* [[슈퍼 포뮬러]], [[인디카 시리즈]]도 담당한다.] || || '''{{{#fff 엔진 공급 업체}}}''' ||메카크롬(Mecachrome)[* 과거 1979년부터 [[F1]]에서 [[르노 스포트 F1 팀]]의 엔진을 도맡아 생산했던 적이 있으며, 다수의 컨스트럭터 팀을 월드 챔피언으로 이끌었다. [[알핀 F1 팀]]이 출범한 이후에도 엔진 등 파워트레인을 제조하고 있으며, F2는 2005년부터 공급하였고, [[WEC]]의 지네타 팀에도 공급했다.] || || '''{{{#fff 타이어 공급 업체}}}''' ||[[피렐리]] || || '''{{{#fff 최근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 ||[[펠리페 드루고비치]] ([[브라질]] / 2022) || || '''{{{#fff 최근 팀 챔피언}}}''' ||MP 모터스포트 ([[네덜란드]] / 2022) || || '''{{{#fff 공식 웹 사이트}}}''' ||[[http://www.fiaformula2.com|홈페이지]] || || '''{{{#fff 공식 매체}}}''' ||[[https://www.youtube.com/channel/UCB_qr75-ydFVKSF9Dmo6i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정식 채널이 없어서 F2와 F3 같은 대부분의 영상은 F1 유튜브에 올라온다. 한마디로 한솥밥 먹는 셈이다.] [[https://www.instagram.com/formula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formula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ormula2,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2019_F2_Race.jpg]] [[포뮬러 원|F1]]보다 4년 더 빠른 [[1946년]]부터 시작된 오픈휠 [[자동차]] 경주 대회.[* 다만 지금과 같은 포뮬러 2는 2005년 GP2를 시작으로 보고 있다.] F1 대회가 따로 개설된 현재로서는 '''[[F1 드라이버]]가 되기 위한 [[등용문|마지막 시험대]]다.''' 즉, F1이 오픈휠 싱글시터 클래스의 [[프리미어리그]]라면 F2는 그 바로 아래인 [[EFL 챔피언십]]이라고 보면 쉽다. 이전까지의 이름은 '''GP2 시리즈'''였으며, 그 전에도 유럽 F2나 국제 F3000같은 이름이 쓰였다. == 상세 == 대회 운영방식은 F1과 비슷하지만 전세계에서 개최되는 F1과 달리 F2는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운영중이다.[* [[바레인]]이나 [[UAE]]등에서도 열리기도 한다.] 또한 운영 예산도 F1의 1% 수준이다. 예비 F1 드라이버를 훈련시키기 위해 F1과 평균 랩당 5~6초 차이나는 차량을 사용하고 모든 출전팀들은 의무적으로 같은 [[엔진]], 섀시, [[타이어]]를 사용하는 점에서 F1과 달리 드라이버의 실력이 본인과 팀의 성적으로 직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차량세팅에서 경험과 자본이 우월한 팀이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완전하게' 동일한 차량으로 경쟁하지는 않는다.] [[야마모토 사콘]], [[티모 글록]] 등, 극히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면[* 이들은 기존에 테스트, 리저브 드라이버로 F1 팀에 소속되어 있다가 팀에서 대타 드라이버를 필요로 할때 먼저 F1에 데뷔하고 나서 얼마 못가 다시 이 리그로 내려온 드라이버들이다.] 드라이버들이 F1에 입성하는 데 마지막 관문격인 대회로, 탑 드라이버들이 활약하기 보다 예비 F1 드라이버를 [[마이너 리그|훈련시키거나 발굴해내는 성격]]이 더 강한 대회이다. [[포뮬러 3|F3]]에서 두각을 보였던 드라이버들이 F2에 올라와 실력을 입증하면 F1 드라이버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스폰서가 받춰져야 F1에 입성할 수 있다.] 보통 F1 드라이버는 [[카트]]→[[포뮬러 4|주니어 포뮬러(F4)]]→[[포뮬러 3|F3]]→'''F2'''→[[포뮬러 1|F1]]의 과정을 거친다.[* 이 5단계를 흔히 '로얄 로드'라고 부른다.] 위 과정이 가장 정석이나 어딜 가나 예외는 있다고. [[막스 베르스타펜|F3에서 바로 입성한 사람]]도 있으며, [[DTM]] 같이 포뮬러와 전혀 관계없는 투어링카 대회에서 상위권 입상해 올라간 사람도 있다. 그리고 정말 간혹 [[키미 라이코넨]]같이 주니어 포뮬러에서 F2나 F3를 거치지 않고 바로 F1 드라이버가 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다비드 발세키, 파비오 라이머처럼 (구 GP2)F2에서 챔피언이 되었다고 해서 바로 F1으로 진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챔피언이 된 이 둘보다 2012년 당시 6위였던 [[기에도 반데가르데]], 4위였던 [[맥스 칠튼]]이 F1 시트를 차지하였다. 당시 반데가르데와 칠튼은 각각 케이터햄과 마러시아 소속 GP2 팀에 있었는데 케이터햄은 인적 쇄신을 하기위해 드라이버를 아예 새로 바꾸기로 하였고 마러시아는 [[티모 글록]]이 은퇴한 자리를 새로 대체시키기 위해 올렸기 때문이다.] 기존 F1 드라이버들보다 실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리저브 드라이버에 그치거나 그만도 못한 자리에 머물다가 다른 카테고리로 방출되다시피 나가는 경우도 있다. 아니면 [[닉 더프리스]]처럼 [[포뮬러 E]]로 먼저 가는 경우도 있다. F1의 금요일 연습주행, 토요일 퀄리파잉[* 일요일 경기 그리드를 결정하는 주행], 일요일 본 경기로 구성된 방식과 달리, F2에서는 금요일 연습주행과 퀄리파잉, 토요일 RACE 1, 일요일 RACE 2 로 구성되어있다. RACE1 에서 상위 10명만 점수를 얻으며, RACE 2 에서는 RACE 1의 8위까지 드라이버가 역순으로 그리드를 배정받고[* 즉 토요일 8위었던 드라이버는 일요일 1그리드로 출발하며, 1등인 드라이버는 8그리드이다.] 시작하며 상위 8명만 점수를 얻는다. F2에서 챔피언이 될 경우 다음 시즌은 F2 챔피언쉽에 참여할 수 없다. 따라서 닉 더프리스처럼 다른 카테고리로 알바를 뛰기도 하고, 오스카 피아스트리처럼 리저브 드라이버로 존버를 선택하기도 한다.[* F1 시트는 실력뿐만 아니라 스폰서의 영향도 크기 때문에, 스폰서가 없거나 스폰 규모가 작은 드라이버들은 F1 데뷔에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 공식 규정 == * 팀 및 드라이버 목록 : [[https://www.fiaformula2.com/Teams-and-Drivers]] * 대회 규정 : [[http://www.fiaformula2.com/Guide-to/The-regulations/]] * 차체 규정 : [[http://www.fiaformula2.com/Guide-to/The-car-and-engine/]] == 2023 F2 시즌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include(틀:포뮬러 2 드라이버)] == 역대 챔피언(F3000, GP2, F2 통합) == || '''연도''' || '''이름''' || '''소속 팀''' || '''국적''' || '''포인트''' || '''비고''' || || [[1985년]] || [[크리스티안 대너]] || BS 오토모티브 || 독일 || 51 || 첫 F3000 챔피언 || || [[1986년]] || [[이반 카펠리]] || 제노아 레이싱 || 이탈리아 || 38 ||<|7> || || [[1987년]] || [[스테파노 모데나]] || 오닉스 || 이탈리아 || 40 || || [[1988년]] || [[로베르토 모레노]] || 브롬리 모터스포트 || 브라질 || 43 || || [[1989년]] || [[장 알레시]] || 에디 조던 레이싱 || 프랑스 || 39 || || [[1990년]] || [[에릭 코마스]] || 담스 || 프랑스 || 51 || || [[1991년]] || [[크리스티안 피티팔디]] || 퍼시픽 레이싱 || 브라질 || 47 || || [[1992년]] || [[루카 바도어]] || 크립톤 엔지니어링 || 이탈리아 || 46 || || [[1993년]] || [[올리비에 파니스]] ||<|2> 담스 || 프랑스 || 32 || 최저 득점 챔피언 || || [[1994년]] || [[장크리스토프 불리옹]] || 프랑스 || 36 ||<|10> || || [[1995년]] || [[빈센조 소스피리]] || 슈퍼 노바 레이싱 || 이탈리아 || 42 || || [[1996년]] || 요르그 뮐러 || RSM 마르코 || 독일 || 52 || || [[1997년]] || [[리카르도 존타]] ||<|2> 슈퍼 노바 레이싱 || 브라질 || 39 || || [[1998년]] || [[후안 파블로 몬토야]] || 콜롬비아 || 65 || || [[1999년]] || [[닉 하이트펠트]] || 웨스트 컴페티션 || 독일 || 59 || || [[2000년]] || 브루노 준퀘이라 || 페트로브라스 주니어 팀 || 브라질 || 48 || || [[2001년]] || [[저스틴 윌슨(F1 드라이버)|저스틴 윌슨]] || 코카콜라 노르딕 레이싱 || 영국 || 71 || || [[2002년]] || [[세바스티앙 부르데]] || 슈퍼 노바 레이싱 || 프랑스 || 56 || || [[2003년]] || 비욘 빌드하임 ||<|2> 아르덴 인터내셔널 || 스웨덴 || 78 || || [[2004년]] || [[비탄토니오 리우치]] || 이탈리아 || 86 || 마지막 F3000 챔피언 || || [[2005년]] || [[니코 로즈버그]] ||<|2> 아트 그랑프리 || [[독일]] || 120 || 첫 GP2 챔피언 || || [[2006년]]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 114 ||<|9> || || [[2007년]] || [[티모 글록]] || i스포트 인터내셔널 || [[독일]] || 88 || || [[2008년]] || [[조르지오 판타노]] || 레이싱 엔지니어링 || [[이탈리아]] || 76 || || [[2009년]] || [[니코 휠켄버그]] || 아트 그랑프리 || [[독일]] || 100 || || [[2010년]] || [[파스토르 말도나도]] || 라팍스 || [[베네수엘라]] || 87 || || [[2011년]] || [[로맹 그로장]] ||<|2> 담스 || [[프랑스]] || 89 || || [[2012년]] || 다비드 발세키 || [[이탈리아]] || 247 || || [[2013년]] || 파비오 라이머 || 레이싱 엔지니어링 || [[스위스]] || 201 || || [[2014년]] || [[졸리언 팔머]] || 담스 || [[영국]] || 276 || || [[2015년]] || [[스토펠 반두른]] || 아트 그랑프리 || [[벨기에]] || 341.5 || 최고 득점 챔피언 || || [[2016년]] || [[피에르 가슬리]] ||<|2> 프레마 레이싱 || [[프랑스]] || 219 || 마지막 GP2 챔피언 || || [[2017년]] || [[샤를 르클레르]] || [[모나코]] || 282 || 첫 F2 챔피언 || || [[2018년]] || [[조지 러셀]] ||<|2> 아트 그랑프리 || [[영국]] || 287 ||<|5> || || [[2019년]] || [[닉 더프리스]] || [[네덜란드]] || 266 || || [[2020년]] || [[믹 슈마허]] ||<|2> 프레마 레이싱 || [[독일]] || 215 || || [[2021년]] || [[오스카 피아스트리]] || [[호주]] || 252.5 || || [[2022년]] || [[펠리페 드루고비치]] || MP 모터스포트 || [[브라질]] || 265 || == 주요 인물(F1 드라이버) == === F2 출신 === (괄호 안에 F1 출전 경력, F2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1 드라이버는 볼드체로 표시) ##ㄱ-ㄴ-ㄷ 순으로 기재## * [[니콜라스 라티피]] (2020~2022) * [[니키타 마제핀]] (2021) * ''[[닉 더프리스]]'' (2022^^이탈리아 GP 한정^^, 2023^^[[영국 그랑프리]]까지^^) * '''[[로건 사전트]]''' (2023~) * '''[[랜도 노리스]]''' (2019~) * ''[[믹 슈마허]]'' (2021~2022) - 2020년 F2 챔피언 * ''' ''[[샤를 르클레르]]'' ''' (2018~) - 2017년 첫번째 F2 챔피언 * [[세르게이 시로트킨]] (2018) * '''[[알렉산더 알본]]''' (2019~2020, 2022~) * '''[[저우관위]]''' (2022~) * ''' ''[[조지 러셀]]'' ''' (2019~) - 2018년 F2 챔피언 * '''[[츠노다 유키]]''' (2021~) * ''' ''[[오스카 피아스트리]]'' ''' (2023~) - 2021 F2 챔피언 === 前 GP2 출신 === (괄호 안에 F1 출전 경력, GP2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1 드라이버는 볼드체로 표시) ##ㄱ-ㄴ-ㄷ 순으로 기재## * [[고바야시 카무이]] (2009~2012, 2014) * [[기에도 반데가르데]] (2013) * [[나카지마 카즈키]] (2007~2009) * ''[[니코 로즈버그]]'' (2006~2016) - 2005년 첫번째 GP2 챔피언 * ''[[니코 휠켄버그]]'' (2010, 2012~2019) - 2009년 GP2 챔피언 * [[넬슨 피케 주니어]] (2008~2009) * ''[[로맹 그로장]]'' (2009, 2012~2020) - 2011년 GP2 챔피언 * ''' ''[[루이스 해밀턴]]'' ''' (2007~ ) - 2006년 GP2 챔피언 * [[루카스 디 그라시]] (2010) * [[리오 하리안토]] (2016) * [[마르쿠스 에릭손]] (2014~2018) * [[맥스 칠튼]] (2013~2014) * [[브루노 세나]] (2010~2012) * [[브랜든 하틀리]] (2017~2018) * [[비탈리 페트로프]] (2010~2012) * [[샤를 픽]] (2012~2013) * [[스캇 스피드]] (2006~2007) * ''[[스토펠 반두른]]'' (2016~2018) - 2015년 GP2 챔피언 * '''[[세르히오 페레스]]''' (2011~ ) * [[세바스티앙 부에미]] (2009~2011) * [[야마모토 사콘]] (2006, 2007, 2010)[*참조A F1 데뷔는 2006년에 슈퍼 아구리에서 먼저 시작.] *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2013~2014, 2016) *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2017, 2019~2021) * [[알렉산더 로시]] (2015) * ''[[조르지오 판타노]]'' (2004) - 2008 GP2 챔피언 * [[제롬 담브로시오]] (2011~2012) * ''[[졸리언 팔머]]'' (2016~2017) - 2014년 GP2 챔피언 * [[쥘 비앙키]] (2013~2014) * [[카룬 찬독]] (2010~2011) * ''[[티모 글록]]'' (2004, 2008~2012) - 2007년 GP2 챔피언[*참조B F1 데뷔는 2004년에 조던 GP에서 먼저 시작.] * ''[[파스토르 말도나도]]'' (2011~2015) - 2010년 GP2 챔피언 * ''' ''[[피에르 가슬리]]'' ''' (2017~ ) - 2016년 마지막 GP2 챔피언 * [[펠리페 나스르]] (2015~2016) * [[헤이키 코발라이넨]] (2007~2013) === 前 F3000 출신 === (괄호 안에 F1 출전 경력, F3000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1 드라이버는 볼드체로 표시) ##ㄱ-ㄴ-ㄷ 순으로 기재## * [[케니 애치슨]] * [[크리스티안 알버스]] * ''[[장 알레시]]'' * [[필리페 아일럿]] * '''[[페르난도 알론소]]''' * [[지오반나 아마티]] * [[마르코 아피셀라]] * ''[[루카 바도어]]'' * [[줄리안 베일리]] * [[파브리지오 바르바자]] * [[파올로 바릴라]] * [[루벤스 바리첼로]] * [[마이클 바르텔스]] * [[졸트 바움가르트너]] * [[폴 벨몬도]] * [[올리비에 베레타]] * [[에릭 베르날드]] * [[엔리케 베르놀디]] * [[엔리코 베르타지아]] * [[마크 블런델]] * ''[[장크리스토프 불리옹]]'' * ''[[세바스티앙 부르데]]'' * [[데이비드 브라밤]] * [[개리 브라밤]] * [[아드리안 캄포스]] * ''[[이반 카펠리]]'' * [[페드로 차베스]] * [[안드레아 치베사]] * ''[[에릭 코마스]]'' * [[데이빗 쿨싸드]] * [[크리스티아노 다 마타]] * [[야닉 달마스]] * ''[[크리스티안 대너]]'' * [[베르나르드 드 드리버]] * [[장데니스 델레트라즈]] * [[페드로 디니즈]] * [[마틴 도넬리]] * [[로버트 둔보스]] * [[조니 덤프리스]] * [[토마스 엔지]] * [[코라도 파비]] * [[파스칼 파브레]] * ''[[크리스티안 피티팔디]]'' * [[그레고르 포이텍]] * [[노베르토 폰타나]] * [[프랑코 포리니]] *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 [[패트릭 프리에사커]] * [[베페 가비아니]] * [[베트랑드 가초]] * [[마크 제네]] * [[장마크 구논]] * [[올리비에 귀릴라드]] * [[마우리지오 구겔민]] * [[하토리 나오키]] * ''[[닉 하이트펠트]]'' * [[조니 허버트]] * [[데이먼 힐]] * [[타키 이노우에]] * [[에디 어바인]] * [[카타야마 우쿄]] * [[니콜라스 키에사]] * [[프랭크 라고르세]] * [[얀 라머스]] * [[페드로 라미]] * [[클라우디오 레인지]] * [[니콜라 라리니]] * [[지오반니 라바기]] * [[JJ 레토]] * [[람베르토 레오니]] * ''[[비탄토니오 리우치]]'' * [[타르소 마르케스]] * [[피에르루이지 마티니]] * [[가스통 마자카네]] * [[페리 맥카시]] * [[앨런 맥니시]] * ''[[스테파노 모데나]]'' * [[프랭크 몽타니]] * [[티아고 몬테이로]] * [[안드레아 몬테르미니]] * ''[[후안 파블로 몬토야]]'' * [[지아니 모르비델리]] * ''[[로베르토 모레노]]'' * [[나카지마 사토루]] * [[엠마누엘 나스페티]] * [[노다 히데키]] * ''[[올리비에 파니스]]'' * [[조르지오 판타노]] * [[마시밀리아노 파피스]] * [[루이 페레즈살라]] * [[엠마누엘 피로]] * [[안토니오 피조니아]] * [[피에르헨리 라파넬]] * [[리카르도 로셋]] * [[스테판 사라진]] * ''[[빈센조 소스피리]]'' * [[필리페 스트레피]] * [[스즈키 아구리]] * [[가브리엘 타퀴니]] * [[마이크 택웰]] * [[에스테반 투에로]] * [[에릭 반데포엘레]] * [[자크 빌르너브]] * [[마크 웨버]] * [[볼커 베들러]] * [[칼 벤들링어]] * ''[[저스틴 윌슨(F1 드라이버)|저스틴 윌슨]]'' * [[알렉스 융]] * [[알레산드로 자나르디]] * ''[[리카르도 존타]]'' === 포뮬러 2 영구결번 === ||<-2><#000000> '''{{{#ffffff 포뮬러 2 영구 결번 }}}''' || ||<-2><#FF69B4><:> {{{#ffffff '''No. 19'''}}}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hoineHelmet.jpg|width=100%]]}}} || ||[[파일:33E233FE-2575-4289-85D2-72A8BCF7BACF.png|width=100%]] || [[파일:AnthoineHubert19.jpg|width=100%]] || ||<#ffffff> '''{{{#146cb2 RACING FOR}}} {{{#DC143C ANTHOINE}}}''' ||<#ffffff> '''AH19''' || ||<-2><#FF69B4> '''{{{#ffffff 앙투안 유베르트}}}''' || * [[앙투안 유베르트]] (No.19) - 2019시즌 9라운드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에서 열린 본 레이스 1의 2랩에서 중심을 잃고 방호벽에 크래쉬 후 뒤따라오던 후안 마누엘 코레아가 피할 겨를도 없이 그대로 유베르트의 차량의 측면으로 돌진하면서 크래쉬. 병원으로 이송되기도 전에 이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향년 22살. 차체가 아예 두동강이 나서 나뒹굴어졌고 드라이버의 모습이 바깥으로 드러날 정도로 끔찍한 사고였다. == 기타 == * 상위 시리즈 [[포뮬러 1|[[파일:포뮬러 1 로고.svg|width=200]]]] * 하위 시리즈 [[포뮬러 3|[[파일:FIA_Formula_3.png|width=200]]]] [[분류:모터스포츠 대회]][[분류:1962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