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지역에서 유래된 개의 품종, rd1=포메라니안)] [Include(틀:프로이센의 주)] ||<-6>
<#00a7de> '''{{{#ffffff {{{+1 포메른}}}[br] Pommern}}}''' || ||<-3><:><#dddddd>[[파일:2000px-Provinz_Pommern_flag.svg.png|width=150]] ||<:><-3><#dddddd>[[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2px-Coat_of_Arms_of_Pomerania.svg.png|width=100]] || ||<-3><#00a7de> '''{{{#ffffff 주기(州旗)}}}''' ||<-3><#00a7de> '''{{{#ffffff 주장(州章)}}}''' || ||<:><-6><#e1e1e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German_Empire_-_Prussia_-_Pomerania_(1871).svg.png|width=300]] || ||<-6><#00a7de><:> '''{{{#fff 1772년 ~ 1945년}}}''' || ||<-6> '''[[프로이센 왕국]] (1772~1871)[br][[독일 제국]] (1871~1918) [br][[바이마르 공화국]] (1919~1933) [br][[나치 독일]] (1933~1945)''' || ||<#00a7de><-6><:> [[제2차 세계 대전|'''{{{#fff 제2차 세계 대전}}}''']] '''{{{#fff 이후}}}''' || ||<-6><#4b92db> [[연합군 점령하 독일|'''{{{#fff 연합군 점령하 독일}}}''']] || ||<-6><#cc0000> [[폴란드 인민 공화국|'''{{{#fff 폴란드 인민 공화국}}}''']] || ||<#00a7de><-6> '''{{{#fff 행정}}}''' || ||<#00a7de><-2> '''{{{#fff 시간대}}}''' ||<-4>(UTC+1/+2) || ||<#00a7de><-2> '''{{{#fff 주도(州都)}}}''' ||<-4>[[슈체친|슈테틴]] || ||<#00a7de><-6> '''{{{#fff 인문환경}}}''' || ||<#00a7de><-2> '''{{{#fff 면적}}}''' ||<-4>30,120km² (1905년 기준) || ||<#00a7de><-2> '''{{{#fff 인구}}}''' ||<-4>1,684,125명 (1905년 기준) || ||<#00a7de><-2> '''{{{#fff 인구밀도}}}''' ||<-4>55.9명/km² || [목차] [clearfix] == 개요 == [[발트해]] 남쪽 해안 지대 일부분을 가리키는 옛 지명으로, 그 범위는 대략 서쪽으로 독일의 [[슈트랄준트]][* 이 곳의 지역구 연방하원 출신이 최장수 [[독일 총리]]인 [[앙겔라 메르켈]]이다.]에서 동쪽으로 폴란드의 [[그단스크]](독일명 단치히) 일대까지였다. 본래 포메른의 일부였던 포메렐리아가 1466년 이후 [[서프로이센]]에 넘어갔기 때문에 그 이후 포메른이라고 하면 대부분 포메른 공국과 그 후신인 독일의 구 포메른 주를 지칭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데르-나이세 선|오데르 강이 독일과 폴란드의 새로운 국경으로 지정됨에 따라]] 포메른 지역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오데르 강 이동(以東) 지역은 폴란드의 영토로 할양되어 현대 폴란드의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주, [[포모르스키에]] 주, 그리고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주의 일부가 되었다. 독일의 영토로 잔존한 서부 지역은 메클렌부르크 지역과 합쳐져 오늘날의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로 재편성되었다. == 역사 == 포메른이라는 명칭은 고대 [[슬라브족]]의 언어로 바다 근처 땅이라는 의미를 가진 'Po More'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6세기 경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유틀란트 반도에서 [[게르만족]]이 이주해 포메른에 정착했다. 이후 5세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때 게르만족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빈 땅이 되었고, 5~6세기경 슬라브 계통 부족들이 동쪽에서 이동해 포메른에 정착했다. 이 슬라브족들을 포모제인이라고 부르며, 폴란드인과 마찬가지로 서슬라브 계통에 속한다. 지금도 폴란드에는 [[카슈브어|카슈브인]] 등 언어적으로 포모제인의 후계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있다. 12~14세기 경에는 [[신성 로마 제국]], [[덴마크]], [[폴란드 왕국|폴란드]]가 이 지역을 놓고 경쟁했다. 폴란드는 [[볼레스와프 3세 크쉬보우스티|볼레스와프 3세]] 시절 포메른 공국과 뤼겐 공국을 봉신국화 하고 나머지 영토도 점령 하면서 거의 대부분을 정복했으나 볼레스와프 사후 포메렐리아 공국만 남고 속국이였던 포메른 공국과 뤼겐 공국은 독립하였다. 그러나 포메른 공국은 [[1164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구성국 중 하나인 작센 공국의 속국이 되었고, 이후 [[1181년]]부터 포메른 공국은 신성 로마 제국 본국의 구성국이 되었으나 [[1185년]]부터는 뤼겐 공국과 함께 덴마크의 이중 봉신국이 되었다. 이후 [[1227년]], [[덴마크 국왕]] [[발데마르 2세]]가 홀슈타인 백국과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이 포메른 공국의 종주권을 되찾아 제후국화 시키고, 뤼겐 공국 또한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이 되었지만 뤼겐 공국은 덴마크로부터 완전히 풀려나진 않고 [[1325년]] 해체되기 전까지는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이자 덴마크의 봉신국인 특수한 지위로 남았다. 이후 [[튜튼 기사단]]의 정복 활동과 [[동방식민운동]]으로 포메른 공국뿐만 아니라 포메렐리아 지역까지도 [[독일/문화|독일화]]가 상당부분 진척되었다. 그러나 1446년 튜튼 기사단이 폴란드 왕국과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포메렐리아는 폴란드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해야만 했다. 폴란드는 포메렐리아와 친폴란드 서부 프로이센 지역을 묶어 [[서프로이센]]의 전신이 되는 왕령 프루시라는 지역을 만들었다. 이후 포메렐리아의 최대 항구이자 폴란드 최대 항구도시가 된 그단스크에서는 폴란드에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진압되었다. 한편 신성 로마 제국과 폴란드 왕국의 이중 봉신이었던 포메른 공국은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당시 아스카니아(Askania) 가문이 통치하던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종속국으로 만들어버렸고, 이때부터 포메른 공국의 역사는 브란덴부르크와의 종주권을 청산하기 위한 갈등의 연속이었다. 이 종주권 문제는 결국 1529년에 브란덴부르크가 포메른 공국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하는 대신, 포메른 그라이펜 가문[* 항목 최상단에 위치한 표 속 주기에 등장하는 붉은 독수리가 이 가문의 문장이다. 이 가문 출신으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칼마르 연합]]의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국왕|국]][[노르웨이 국왕|왕]]이었던 [[에리크 7세|포메른의 에리크]].]이 단절되면 포메른을 상속받기로 하는 그림니츠 조약이 체결되며 일단락되었다. 비슷한 시기 [[종교 개혁]]의 물결이 유럽 북부를 휩쓸면서 북독일 [[영방국가]]들이 [[루터교회]]로 개종할때 그라이펜 가문은 요하네스 부겐하겐[* [[마르틴 루터]]의 장례식을 주관했을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고, 포메른 공국의 종교개혁 이후 덴마크로 건너가 [[크리스티안 3세]]를 보좌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서 종교개혁을 실시하였다.]의 주도로 루터교회로 개종하였다. [[30년 전쟁]] 시기 [[합스부르크 가문]]의 황제 [[페르디난트 2세]]와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전장이 된 포메른은 피비린내 나는 아수라장이 되었다. 1637년, 최후의 포메른 공작 보기슬라프 14세가 사망하며 그라이펜 가문의 대가 끊겼고, 1648년에 체결된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포메른은 분할되어 서부지역은 스웨덴이, 동부 지역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이 차지했다. 이 시기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는 프로이센 공작을 겸했고 프로이센 공작으로서는 명목상 폴란드 왕을 섬겼지만, 포메른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폴란드 왕의 명목상의 지배조차도 받지 않았다.[* 물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봉신국이었기에 명목상으로는 [[합스부르크 가문]]을 섬겼다.]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1656년 [[대홍수(역사)|대홍수]]와 [[북방전쟁]]을 기회로 [[프로이센 공국]]을 폴란드에서 독립시켰고 1701년 [[프로이센 왕국]]이 되었다. 프로이센 왕국은 1712년 [[대북방전쟁]]으로 스웨덴으로부터 포메른 최대 도시인 [[슈테틴]] 일대를 할양받았으며 1791년과 1793년 두 차례의 [[폴란드 분할]]에서 폴란드 왕령 프루시까지 획득해 포메른 대부분 지역이 프로이센의 수중으로 들어왔다. 이에 따라 프로이센은 포메른 공국 지역에는 포메른 주(Provinz Pommern), 왕령 프루시 지역에는 [[서프로이센|서프로이센 주]](Provinz Westpreußen)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을 신설했고, 이는 [[1945년]]까지 존속되었다. 이후로도 프로이센 왕국의 승승장구는 계속되어서 [[빈 회의]]에서 스웨덴이 가지고있던 마지막 독일 영토인 스웨덴령 포메른을 가져와 포메른 주에 편입시켰고, 프로이센이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이 수립되자 포메른 역시 자연스럽게 독일 제국의 일원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포메른은 옛부터 토양이 농사에 부적합하여 성장이 더디었으며 특히 서포메른은 슈테틴, 슈트랄준트, [[비스마르]] 등 항만 한자 도시들을 중심으로 상업이 발달한데 반해 동포메른의 해안은 사막을 방불케하는 모래사장이 끝없이 펼쳐져 마땅한 항만을 건설하기에 부적합했던 까닭에 교통운수에 큰 어려움을 겪었고 경제/문화적으로도 다른 지역보다 현저히 뒤쳐졌다. 그 영향으로 보수적이었던 [[융커]]들이 포메른 일대를 장악하였는데,[* 다른 것 다 제치고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포메른 지주 출신이다.] 포메른 일대에서 공식적으로 농노제가 폐지된 것이 1807년의 일이지만 그 후로도 포메른 농민들은 소작농으로서 별로 농노와 다를 바 없는 생활[* 자작농으로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던 [[재산권]]이 전혀 인정받지 못했다. 이 재산권이 제한적이나마 인정된 것은 1850년의 일.]을 해야만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정작 1차 대전 와중에 포메른 지역에는 전투 한 번 안 일어났다. 애초에 1차 대전 당시 독일 국내에서 전쟁이 벌어진 것이 얼마 되지 않았으며 그마저도 국경과 가까운 지역에서 발생했다.] [[포젠]]과 [[서프로이센]] 일대가 [[폴란드 회랑|신생 폴란드에게 넘어감]]에 따라 독일에 남은 포메른은 급작스럽게 폴란드와 국경을 마주한 최동단 지역[* [[동프로이센]]도 있었지만 이 곳은 본토와 떨어져 폴란드 한 가운데 위치한 [[월경지]]가 되었다.]이 되었고, 이러한 국경 변화는 포메른에 뼈아픈 타격으로 다가왔다. 전통적으로 농업을 핵심 산업[* 1925년 [[바이마르 공화국]]이 낸 통계에서 포메른 인구의 51%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으로 하는 포메른은 농업 생산물은 근교의 [[슐레지엔]], [[포젠]], [[서프로이센]] 등지의 시장에 내다팔면서 먹고 살았는데 이 시장이 한 순간에 사라져버린 것. 불황과 더불어서 융커들의 본거지라는 배경[* 당장 1919년 [[독일 혁명]] 이후 [[스파르타쿠스 봉기]], [[카프 폭동]], [[맥주홀 폭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포메른 지역의 융커들은 [[자유군단]]을 거의 [[사병]]처럼 운용하면서 좌익 세력들을 때려잡았다. 심지어 저 멀리 [[베스트팔렌]] [[루르 공업 지대|루르 지역]]에서 일어난 노동자들의 파업까지 진압하러 원정갈 정도였다.]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내내 포메른의 정치 지형을 우경화하는데 일조했고, 1920년대 내내 [[독일 국가인민당]](Deutschnationale VolksPartei)라는 극우 성향의 정당[* 1933년 히틀러를 총리로 삼는 보수 세력의 연정에 동의한 [[알프레트 후겐베르크]]가 바로 이 당의 지도자이다.]이 이 곳에서 세를 떨친다.[* 다만 [[나치당]]은 별로 세를 못 떨쳤다. 나치가 본격적으로 포메른 지역에서 세력이 왕성해진 것은 다른 독일 대부분 지역과 마찬가지로 1929년의 [[대공황]] 이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을 알린 [[폴란드 침공]]의 첫 공세가 포메른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나치 독일이 승승장구하면서 대부분의 전투가 독일 국외에서 벌어지면서 포메른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나날[* 다른 지역은 산업지대라서 [[독일 본토 항공전|연합국의 공습]]에 죽도록 시달렸지만 포메른은 농업지대라서 그런 것도 없었다. 그나마 산업이 발달하고 [[베를린]]의 외항을 담당했던 [[슈테틴]]이 드문드문 폭격을 당했으나 그것도 베를린이나 [[드레스덴]]이나 [[함부르크]]가 당한 것과 비교하면 새발의 피였다.]들을 보냈다. ~~독일에 점령된 포메렐리아와 그단스크 지역은...~~ 그러나 동쪽에서 진격하기 시작한 소련군이 마침내 1945년 2월 8일 포메른을 공략하기 시작했다. 독일군은 [[국민돌격대|소년과 노인들까지 긁어모아]] 동지 작전(Fall Sonnenwende)이라는 이름의 반격을 감행했지만 [[망했어요]]. 결국 1945년 4월 20일 소련군은 포메른을 완전히 점령했다. 2차 대전 종전 후 포츠담 회담을 통해 양국의 국경선이 최종적으로 확정됐고, 연합국 사이의 합의에 따라 전후 독일과 폴란드 사이의 국경이 [[오데르-나이세 선|오데르 강과 나이세 강]]으로 정해짐에 따라서 이 국경선 외부에 위치했던 오데르 나이세 선 이동이 고스란히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에게 넘어갔다. 이에 따라 포메른의 대부분도 [[동프로이센]], [[서프로이센]], [[슐레지엔]], [[포젠]]과 함께 폴란드에 할양되었으며, 이때 오데르-나이세 선 서안에 위치한 슈테틴(폴란드명 슈체친)도 폴란드에 같이 넘어갔다. 한편 슈체친을 제외한 오데르-나이세 선 서부의 구 포메른 지역은 포어포메른(Vorpommern)[* '전(前) 포메른'이라는 의미다. [[동방식민운동]] 당시 독일인이 포메른 지역 중 상대적으로 먼저 정착한 지역이라서 전(前)자를 붙였다.]이라는 명칭으로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메클렌부르크]]와 합쳐져서 행정적으로 재편성되었다.[* 그 와중에 포메른의 일부 지역은 뜬금없이 [[브란덴부르크]] 주로 편입되었다.] 폴란드는 옛 독일령 포메른 주에는 슈체친 주를, 포메렐리아 지역에는 그단스크 주를 설치했고, 이후 행정구역이 몇 번 바뀌면서 현재에는 서포모제 주, 포모제 주와 쿠야비포모제 주의 일부분이 되었다. 오데르-나이세 선 이동에 거주하던 독일계 주민들은 대다수가 폴란드와 소련에 의하여 강제 추방되어 오데르-나이세 선 이서의 독일 본토로 이주했으며, 그 빈 자리는 [[커즌 라인|소련에게 뺏긴 동쪽 영토]]에서 마찬가지로 추방당한 폴란드 이주민들이 채웠다. [[냉전]] 시기 독일계 실향민들은 추방민 연합회라는 정당을 건설하고 옛 영토를 되찾을 것을 주장하는 목소리를 드높이기도 했지만 1970년대 [[빌리 브란트]] 당시 서독 총리가 '''사실상''' 변경된 국경선을 승인한데 이어서 1990년 [[동서독 통일|통일]] 과정에서 [[헬무트 콜]] 전 총리가 통일을 승인받는 대가로 '''구 동방 영토의 영구 포기'''를 선언했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강역이 폴란드의 영토로 영구히 정착된 상황이다. == 같이 보기 == * [[포메라니안]] * [[튜튼기사단]] * [[프로이센 왕국]] * [[동방식민운동]] * [[포메른 요리]]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2차대전 후 독일과 폴란드의 영토 문제]] * [[뤼겐 섬]] * [[슈트랄준트]] * [[슈체친]] [[분류:독일의 역사]][[분류:유럽의 지명]]